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21:15:12

2024 VCT Pacific Stage 1/플레이오프/2라운드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24 VCT Pacific Stage 1/플레이오프

1. 개요2. 경기 진행
2.1. 1경기 GEN 1 : 2 T1
2.1.1. 경기 내용
2.1.1.1. 1세트2.1.1.2. 2세트2.1.1.3. 3세트
2.1.2. 총평
2.2. 2경기 DRX 1 : 2 PRX
2.2.1. 경기 내용
2.2.1.1. 1세트2.2.1.2. 2세트2.2.1.3. 3세트
2.2.2. 총평
3. 여담

[clearfix]

1. 개요

2024 VCT Pacific Stage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경기 진행 기록을 서술한 문서.

2. 경기 진행

2.1. 1경기 GEN 1 : 2 T1

Gen.G T1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파일:2024 퍼시픽 S1 PO R2 GEN vs T1.jpg
Gen.G - 3승 3패로 알파조 1위로 2라운드에 직행하긴 했으나 정규시즌 마지막 주차에서 자신들의 천적관계였던 RRQ와의 매치에서 1:2 충격의 패배로 천적관계가 깨져버리며 킥오프와 마스터스에서 파괴적인 모습을 보여줬던 젠지의 모습은 온데간데 없고 텍스쳐 원맨팀으로 다시 롤백이된 젠지가 되어버렸다.

T1 - 첫 주차 부터 PRX에게 셧아웃은 물론이요, DFM과 TLN에게도 내리 패배를 하며 그대로 플옵 탈락을 하나 싶었던 T1이지만 라운드 득실에서 어찌저찌 우위를 점하며 어렵게 플레이오프에 안착했다. 그러나 퍼시픽의 다크호스, PRX를 셧아웃 낸 TS를 대떡으로 잡아내며 분위기 좋게 2라운드에 진출했다.

T1이 TS를 상대로 승리하며 2라운드에 진출하며 티젠전이 성사되었다. 마스터스까지만 놓고보면 젠지의 강우세까지도 평가받을 수 있던 매치였지만 젠지가 마지막 주차에 RRQ에게 패배하며 삐끗했다는 점과 팀 분위기도 그렇게 까지는 좋지 않다는 점을 들면 T1에게도 살짝은 웃어주는 상황이 생겼다. RRQ에게 삐끗했으나 그래도 젠지의 우세가 점쳐지는 매치업이지만 T1도 1라운드에서 로씨를 앞세워 딱히 기복없는 좋은 모습을 보여주었기에 잘하면 백중세까지도 예상 가능한 상황이다.

그리고 젠지, T1 두 팀 다 라키아와 카르페라는 고점과 저점이 확실한 구멍들이 존재하기에 누가 더 터져주냐의 싸움이 될 수도 있기에 두 팀 다 치밀한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2.1.1. 경기 내용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2023. 05. 04.)
[[Gen.G Esports/발로란트|{{{#aa8a00 Gen.G}}}]] 1 2 [[T1/발로란트|{{{#FFF T1}}}]]
× × ×
3라운드 패자조 진출 결과 3라운드 승자조 진출
마스터스 상하이 진출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MVP
1세트 2세트 3세트
다니엘 아베드랍보
(Rossy)
김태오
(Meteor)
하정우
(Sayaplayer)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2024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Stage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1경기 선발 라인업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colbgcolor=#01D2D7>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파일:T1 로고.svg
[[Gen.G Esports/발로란트|{{{#aa8a00 Gen.G}}}]] [[T1/발로란트|{{{#FFF T1}}}]]
<colbgcolor=#aa8a00><colcolor=#000> 김나라
(t3xture)
<colbgcolor=#000><colcolor=#fff> 하정우
(Sayaplayer)
김태오
(Meteor)
이재혁
(carpe)
김종민
(Lakia)
함우주
(iZu)
변상범
(Munchkin)
다니엘 아베드랍보
(Rossy)
김원태
(Karon)
케빈 수산토
(Xccurate)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GEN, bteam=T1,
aban=로터스, bban=아이스박스, aban2=바인드, bban2=스플릿,
p_apic=어센트, p_bpic=선셋, p_cpic=브리즈,
1attack=수비, 2attack=수비, 3attack=수비)]
2.1.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1, teamD=T1, teamA=GEN,
dpic1=제트, dpic2=오멘, dpic3=소바, dpic4=케이/오, dpic5=킬조이,
apic1=제트, apic2=소바, apic3=케이/오, apic4=킬조이, apic5=오멘,
dplayer1=Sayaplayer, dplayer2=iZu, dplayer3=carpe, dplayer4=Rossy, dplayer5=Xccurate,
aplayer1=t3xture, aplayer2=Lakia, aplayer3=Munchkin, aplayer4=Meteor, aplayer5=Karon,
dScore=<b>13, aScore=9 )]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VCT Pacific Record Standing
파일:텍스쳐 1000킬.jpg
파일:Gen.G 로고 심플.svg파일:Gen.G 로고 심플 화이트.svg
t3xture 김나라
VCT Pacific 4번째 1000킬 달성
2.1.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선셋, set=2, teamD=GEN, teamA=T1,
dpic1=제트, dpic2=소바, dpic3=케이/오, dpic4=사이퍼, dpic5=오멘,
apic1=레이즈, apic2=오멘, apic3=게코, apic4=케이/오, apic5=사이퍼,
dplayer1=t3xture, dplayer2=Lakia, dplayer3=Munchkin, dplayer4=Meteor, dplayer5=Karon,
aplayer1=Sayaplayer, aplayer2=iZu, aplayer3=carpe, aplayer4=Rossy, aplayer5=Xccurate,
dScore=<b>13, aScore=8 )]
2.1.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브리즈, set=3, teamD=GEN, teamA=T1,
dpic1=제트, dpic2=소바, dpic3=바이퍼, dpic4=요루, dpic5=아스트라,
apic1=제트, apic2=요루, apic3=소바, apic4=바이퍼, apic5=하버,
dplayer1=t3xture, dplayer2=Lakia, dplayer3=Munchkin, dplayer4=Meteor, dplayer5=Karon,
aplayer1=Sayaplayer, aplayer2=iZu, aplayer3=carpe, aplayer4=Rossy, aplayer5=Xccurate,
dScore=7, aScore=<b>13 )]

2.1.2. 총평

파일:20240504_GEN vs T1.jpg

플레이오프의 티원은 다르다
티원이 혈투끝에 자신들이 속한 조의 1위인 젠지를 잡고 마스터스와 승자조 결승 진출을 확정지었다.

티원은 모두가 고루고루 경기력이 올라오며 정규시즌 마지막까지 GE와 플옵 마지막 자리를 놓고 사투를 벌이던 그 2승 4패 팀이 맞나 싶을 정도로 파괴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반면, 젠지는 라키아와 메테오가 부진하며 패배하게 되었다.

2.2. 2경기 DRX 1 : 2 PRX

DRX Paper Rex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파일:2024 퍼시픽 S1 PO R2 DRX vs PRX.jpg
DRX - 알파, 오메가 그룹 중에서 유일하게 전승을 달리며 최상의 모습으로 2라운드에 진출했다.

Paper Rex - 3주차에서 TS에게 0:2 셧아웃을 당했지만 플레이오프에서 TLN을 제압하며 2라운드에 진출했다.

작년 퍼시픽 결승전 리매치가 2라운드에서 꽤 일찍 성사되었다.

2.2.1. 경기 내용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2023. 05. 04.)
[[DRX/발로란트|{{{#FFF DRX}}}]] 1 2 [[Paper Rex/발로란트|{{{#FFF Paper Rex}}}]]
× × ×
3라운드 패자조 진출 결과 3라운드 승자조 진출
마스터스 상하이 진출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MVP
1세트 2세트 3세트
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정재성
(Foxy9)
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2024 VALORANT Champions Tour Pacific League Stage 1
플레이오프 2라운드 2경기 선발 라인업
파일:DRX 로고.svg파일:DRX 로고(화이트).svg <colbgcolor=#01D2D7> 파일:VCT 퍼시픽 심볼 화이트.svg 파일:Paper Rex 로고.svg파일:Paper_Rex_white.png
[[DRX/발로란트|{{{#FFF DRX}}}]] [[Paper Rex/발로란트|{{{#FFF Paper Rex}}}]]
<colbgcolor=#fff><colcolor=#012063> 유병철
(BuZz)
<colbgcolor=#fff><colcolor=#000> 제이슨 수산토
(f0rsakeN)
김명관
(MaKo)
에런 레온하트
(mindfreak)
김구택
(stax)
일리야 페트로프
(something)
정재성
(Foxy9)
할리시 루샤이디
(d4v41)
강하빈
(BeYN)
왕징제
(Jinggg)

[include(틀:발로란트/맵밴픽, ateam=PRX, bteam=DRX,
aban=브리즈, bban=선셋, aban2=아이스박스, bban2=스플릿,
p_apic=로터스, p_bpic=어센트, p_cpic=바인드,
1attack=공격, 2attack=수비, 3attack=공격)]
2.2.1.1. 1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로터스, set=1, teamD=PRX, teamA=DRX,
dpic1=브리치, dpic2=오멘, dpic3=스카이, dpic4=제트, dpic5=레이즈,
apic1=바이퍼, apic2=킬조이, apic3=페이드, apic4=오멘, apic5=레이즈,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something, dplayer5=Jinggg,
aplayer1=MaKo, aplayer2=Foxy9, aplayer3=stax, aplayer4=BeYN, aplayer5=BuZz,
dScore=<b>13, aScore=6 )]
2.2.1.2. 2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어센트, set=2, teamD=PRX, teamA=DRX,
dpic1=소바, dpic2=오멘, dpic3=케이/오, dpic4=제트, dpic5=세이지,
apic1=바이퍼, apic2=사이퍼, apic3=케이/오, apic4=오멘, apic5=제트,
dplayer1=f0rsakeN, dplayer2=mindfreak, dplayer3=d4v41, dplayer4=something, dplayer5=Jinggg,
aplayer1=MaKo, aplayer2=Foxy9, aplayer3=stax, aplayer4=BeYN, aplayer5=BuZz,
dScore=10, aScore=<b>13 )]
2.2.1.3. 3세트
[include(틀:발로란트/픽, map=바인드, set=3, teamD=DRX, teamA=PRX,
dpic1=바이퍼, dpic2=사이퍼, dpic3=케이/오, dpic4=브림스톤, dpic5=레이즈,
apic1=하버, apic2=브림스톤, apic3=스카이, apic4=게코, apic5=레이즈,
dplayer1=MaKo, dplayer2=Foxy9, dplayer3=stax, dplayer4=BeYN, dplayer5=BuZz,
aplayer1=f0raskeN, aplayer2=mindfreak, aplayer3=d4v41, aplayer4=something, aplayer5=Jinggg,
dScore=6, aScore=<b>13 )]

2.2.2. 총평

파일:20240504_DRX vs PRX.jpg

전승의 DRX가 무너졌다.

3. 여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75
, 5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7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