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문서: 2022 개정 교육과정/국어과
2022 개정 교육과정 국어과 고등학교 과목 ('25~ 高1) | |||||||
공통 과목 (1학년) | 선택 과목 | ||||||
일반 선택 과목 | 진로 선택 과목 | 융합 선택 과목 | |||||
독서 토론과 글쓰기 · 매체 의사소통 · 언어생활 탐구 | |||||||
■ 이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어과 과목 | |||||||
대학수학능력시험 국어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ff,#191919> 2027학년도 이전 |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
2028학년도 ~ | 화법과 언어 · 독서와 작문 · 문학 (상대평가) |
1. 개요
본 저작물은 대한민국 교육부에서 NCIC 국가교육과정정보센터에서 법률적으로 고시하는 제2015-74호 [별책5]에서 발췌하였습니다. 원문은 홈페이지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디지털⋅미디어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을 국어과 역량으로 설정하였다. 이는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에서 미래 사회에 필요한 핵심역량으로 제시한 ‘자기 관리 역량,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 심미적 감성 역량, 협력적 소통 역량, 공동체 역량’을 국어과 특성에 맞게 재구성한 것이다. 이 중 ‘비판적⋅창의적 사고 역량, 의사소통 역량, 공동체⋅대인 관계 역량, 문화 향유 역량, 자기 성찰⋅계발 역량’은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역량을 유지한 것이고, ‘디지털⋅미디어 역량’은 디지털 다매체 시대로 변화한 언어 환경을 고려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설정한 ‘자료⋅정보 활용 역량’을 수정한 것이다. 국어과의 여섯 역량은 비판적⋅창의적 이해와 표현, 협력적 의사소통과 공동체 문화, 언어생활에 대한 성찰과 개선, 문화 향유 등의 강조점을 중심으로 각 과목의 성격 및 목표에 반영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국어과의 고등학교 관련 내용 체계 문서.
2. 공통 과목
2.1. 공통국어1, 2
자세한 내용은 2022 개정 교육과정/국어과/고등학교/공통국어 문서 참고하십시오.3. 선택중심교육과정
국어과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서 공통 과목은 기초 소양 및 기본 학력 함양, 학문의 기본 이해 관련 과목으로, 고교학점제의 운영을 위한 학기별 이수 상황에 적합하도록 ‘공통국어1, 공통국어2’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선택 과목은 과목의 성격에 따라 일반 선택, 진로 선택, 융합 선택으로 나누어 학습자의 과목 선택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일반 선택 과목은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 ‘문학’의 세 과목으로, 공통 과목에서 학습한 기본적인 내용을 토대로 각 과목의 하위 영역에 따른 내용과 통합된 내용을 본격적으로 이해하고 탐구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화법과 언어’, ‘독서와 작문’은 선행 교육과정에서 시도되지 않았던 영역 간 조합으로 신설되었으며, ‘문학’은 학습량을 고려하여 단독 과목으로 구성하였다. 진로 선택 과목은 교과별 심화 학습 및 진로 관련 과목임을 고려하여 ‘주제 탐구 독서’, ‘문학과 영상’, ‘직무 의사소통’의 세 과목으로 구성하여, 학습자의 진로와 연관 지어 국어과의 심화된 내용을 탐구할 수 있도록 하고, 진로 활동에 필요한 실제적 역량을 기르도록 하였다. ‘융합 선택 과목’은 미래 사회에 필요한 창의적⋅융합적 역량 함양을 위해 설정된 과목으로, 국어과 내 여러 영역의 융합과 삶과의 관련성을 고려하여 ‘독서 토론과 글쓰기’, ‘매체 의사소통’, ‘언어생활 탐구’의 세 과목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