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6 14:56:46

2017년 카타르 단교사태

2017년 카타르 단교사태
2017 Qatar diplomatic severance incident
기간
2017년 6월 8일 ~ 2021년
원인
대이란 제재에 소극적인 카타르의 외교
카타르의 테러단체 지원에 따른 대테러 방지
당사국 및 단체

[[카타르|]][[틀:국기|]][[틀:국기|]]

[[사우디아라비아|]][[틀:국기|]][[틀:국기|]]


[[아랍에미리트|]][[틀:국기|]][[틀:국기|]]

[[바레인|]][[틀:국기|]][[틀:국기|]]

[[예멘|]][[틀:국기|]][[틀:국기|]]

[[이집트|]][[틀:국기|]][[틀:국기|]]

[[모리타니|]][[틀:국기|]][[틀:국기|]]

[[지부티|]][[틀:국기|]][[틀:국기|]]

[[코모로|]][[틀:국기|]][[틀:국기|]]

[[리비아|]][[틀:국기|]][[틀:국기|]] 국민의회
지원의사 표명국 및 단체

[[튀르키예|]][[틀:국기|]][[틀:국기|]]

[[이란|]][[틀:국기|]][[틀:국기|]]

[[모로코|]][[틀:국기|]][[틀:국기|]]

[[파키스탄|]][[틀:국기|]][[틀:국기|]]

[[리비아|]][[틀:국기|]][[틀:국기|]] 국민합의정부

[[독일|]][[틀:국기|]][[틀:국기|]]

[[요르단|]][[틀:국기|]][[틀:국기|]]

[[차드|]][[틀:국기|]][[틀:국기|]]

[[니제르|]][[틀:국기|]][[틀:국기|]]

[[가봉|]][[틀:국기|]][[틀:국기|]]

[[세네갈|]][[틀:국기|]][[틀:국기|]]

1. 개요2. 카타르와 단교 원인3. 해소4. 당사자들 반응
4.1. 사우디아라비아 지지4.2. 카타르 지지4.3. 중립

[Clearfix]

1. 개요

2017년부터 2022년까지 발생했던 카타르와 사우디아라비아 주도의 아랍국가들간 정치적인 갈등을 말한다.

2. 카타르와 단교 원인

카타르는 걸프만 주변 국가 중 이란에 가장 가까운 외교적 스탠스를 취하던 국가였다. 아랍연맹에서 지정한 테러단체인 하마스 및 헤즈볼라의 테러조직 여부에 중립적이였으며, 이들을 지원하고 있는 이란과 중재하는 역할을 맡으면서 사우디아라비아와 카타르간 갈등이 빚어졌다. 결국 2017년 6월 22일 사우디아라비아, UAE, 바레인은 무슬림 형제단 에 대한 지원을 이유로 단교를 선언하였다.

카타르는 사우디의 요구가 근거 없는 비난이자 주권 침해라고 주장하였다.

이어서 이집트, 예멘[1], 리비아 국민의회, 모리타니, 몰디브가 단교를 선언했고, 요르단, 세네갈, 차드, 니제르, 가봉은 자국대사를 철수시켜 카타르 봉쇄에 동참하였다.#

3. 해소

이러한 갈등은 미국과 쿠웨이트가 중재하며 조금씩 해소되었다. 도널드 트럼프행정부의 중동 정책 중 가장 높은 순위였던 이란의 영향력 통제가 카타르-이란 간의 관계가 긴밀해지며 실패할 위기가 발생하자 단순히 사우디아라비아를 지지하던 입장에서 노선을 변경하여 적극적으로 중재에 나섰다.
2020년 12월 17일, 걸프협력회의(GCC) 화상회의에서 카타르 개방을 포함한 협력 논의가 진행되었고, 2021년 1월 5일 사우디아라비아-카타르의 영공 및 국경 개방에 합의하였다. 이어서 42차 GCC 정상회의에서 사우디-카타르간 정상회담이 성사되었고, 1월 21일 이집트 또한 외교 관계를 복원함으로써 카타르의 외교적 위기가 해소되었다.#

4. 당사자들 반응

4.1. 사우디아라비아 지지

(X)표시는 카타르와 직접 단교한 사례.

4.2. 카타르 지지

- 이란

4.3. 중립

- 유럽연합
- UN


[1] 오늘날 대통령지도위원회 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