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2015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고등학교|2015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고등학교]]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이 과목이 이전 교육과정에서 계승한 과목}}}에 대한 내용은 [[2009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09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2009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공학 기술|공학 기술]]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이 과목이 이전 교육과정에서 계승한 과목: }}}[[2009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09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2009 개정 교육과정/실과(기술·가정)#공학 기술|공학 기술]]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2015 개정 교육과정 실과(기술·가정)/정보과 고등학교 과목 ('18~'24 高1) | |||
선택 과목 | |||
일반 선택 | 진로 선택 | ||
1 교육부고시 제2020-236호에서 신설된 과목으로, 2021년 2학기부터 고등학교 전 학년에 적용되었다. ■ 이전 교육과정: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과목 ■ 이후 교육과정 #1: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실과(기술·가정)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 2022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정보과 과목 |
1. 성격
{{{-1 ‘공학 일반’은 5~6학년의 실과 및 중학교 1~3학년의 기술・가정 교과와 연계된 진로 선택 과목이다. 공학 분야에서는 급변하는 신기술의 패러다임에 적응하고 새로운 신기술 분야를 이해, 개척, 선점하는 핵심역량 신장을 위한 교육이 요구된다. 21세기 지식 기반 사회의 창조경제 시대를 이끄는 원동력은 분야 간의 경계를 허무는 융합 기술과 창의적 신기술이다. 이러한 시대적 요구를 충족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분야를 깊이 이해하는 전문성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분야의 연관성을 시도하는 융합적 사고력과 어떠한 현상에 대한 다양한 해석으로 새로운 것을 만들어 낼 수 있는 창의력 신장 교육이 필요하다.
‘공학 일반’ 과목의 역량(기술적 소양,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진로계발능력)의 중요성은 세계의 직업교육과 우리나라 NCS(national competency standards)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실과(기술・가정)의 진로 선택 과목인 ‘공학 일반’ 과목은 학생의 미래 직업 선택을 위한 다양한 정보와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여 취업을 위한 역량 교육을 위한 과목이다. 학습과 실험을 통하여 지식기반사회의 창조경제 시대에 필요한 공학적 사고를 풍부하게 하고, 공학의 원리가 산업기술에 어떻게 응용되고 활용되었는지에 대해서 안내하여 이끌어 내는 과목이다. 또한, 공학과 관련된 다양한 산업분야에 대한 탐구를 통해 취업과 진로 선택의 능력을 함양하도록 한다. ‘공학 일반’ 교육을 통하여 길러 줄 수 있는 역량으로는 공학 소양,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진로계발능력 등이 있다. ‘공학 일반’ 교육을 통하여 공학적 사고를 확산하도록 하고 다양한 문제해결의 경험을 통해 공학 및 창의력을 신장시켜 주는 과목으로서,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을 길러줄 수 있고, 공학과 관련한 취업 및 진로 개척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진로계발 능력을 신장해 줄 수 있다. 기술이 급변하는 현재의 산업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재는 창의, 융합, 복합 등의 공학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공학자이다. 기술에 응용된 공학의 원리를 파악하고 공학이 사회와 산업 발전에 미친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공학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일 수 있으며 창의적 문제해결과정과 미래 산업기술의 발달과 분야별 전망을 학습하여 미래 공학 기술자로서의 취업의 정보를 얻고, 진로를 탐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공학의 이해, 공학의 세계와 첨단 기술, 공학의 실제와 직업의 3개 영역을 통해 공학의 세계를 경험하고 공학적 설계와 사고 능력을 함양하여 공학 소양,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자기 관리능력, 정보처리능력, 진로계발능력을 개발할 수 있다.
‘공학 일반’ 교육을 통하여 길러 줄 수 있는 과목의 역량으로는 공학 소양, 창의력, 문제해결능력, 정보처리능력, 진로계발능력 등이 있다. ‘공학 일반’ 교육은 공학적 사고를 확산하도록 하고, 다양한 문제해결의 경험을 통해 공학 소양 및 창의력을 신장시켜 주는 과목으로서,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활용하는 과정에서 문제해결능력과 정보처리능력을 길러줄 수 있고, 기술과 관련한 취업 및 진로 개척과 방향성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진로계발능력을 신장해 줄 수 있다. }}}
2. 목표
‘공학 일반’은 공학으로부터 창조, 응용, 융합, 복합 등의 과정을 통해서 발전하게 되는 다양한 기술을 이해할 수 있으며, 기초적 기술 소양과 공학 설계, 지식 재산 등의 기초 위에, 정보통신, 자동화, 에너지, 재료, 생명, 환경, 건설, 융합을 주제로 한 다양한 공학세계의 기본 원리와 전망을 이해하고 체험하여, 미래 공학을 전망하고 자신의 공학 진로를 설계할 수 있도록 한다.가. 공학의 개념, 가치, 소양, 지식 재산 가치를 이해하고, 공학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을 구상하는 공학적 설계과정을 통해서 융합적 문제를 해결하는 공학적 사고를 기른다.
나. 정보통신공학, 자동화 공학, 에너지 공학, 재료 공학, 생명 공학, 건설 공학 세계의 기본 원리와 전망을 이해하고, 융합 공학 및 융합 지식의 동향을 파악하여 융합적 사고를 기른다.
다. 공학의 세계와 미래 전망을 예측하며, 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을 고려하여 자신의 공학 진로 설계 능력을 기른다.
3. 성취 기준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 생략3.1. (1) 공학의 기초
공학의 기초는 공학의 특징, 공학 경영, 공학적 사고에 대한 공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공학적 문제에 대한 다양한 해결책을 구상하는 공학 설계 능력을 함양한다.[12공학01-01]공학 개념을 이해하고, 공학의 역사 및 공학과 사회의 관계를 탐색한다.
[12공학01-02]공학에서 팀워크나 윤리, 경영 등 공학과 관련된 기초 소양을 개발한다.
[12공학01-03]공학 관련 문제 상황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한 공학적 사고를 개발한다.
[12공학01-04]공학과 관련된 지식 재산권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천 방안을 탐색한다.
[12공학01-05]공학 문제의 다양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설계한다.
[12공학01-06]공학 설계 과정을 통해 공학에서 다루어지는 융합 문제 해결 방안을 체험한다.
[12공학01-02]공학에서 팀워크나 윤리, 경영 등 공학과 관련된 기초 소양을 개발한다.
[12공학01-03]공학 관련 문제 상황에 대해 문제 해결을 위한 공학적 사고를 개발한다.
[12공학01-04]공학과 관련된 지식 재산권의 의미를 이해하고, 이에 대한 실천 방안을 탐색한다.
[12공학01-05]공학 문제의 다양한 해결책을 창의적으로 설계한다.
[12공학01-06]공학 설계 과정을 통해 공학에서 다루어지는 융합 문제 해결 방안을 체험한다.
3.2. (2) 공학의 세계
공학의 세계는 정보, 자동화, 에너지, 재료, 생명, 건설, 융합 공학의 이해를 통해 기초적인 지식, 기능, 태도를 함양한다.[12공학02-01]정보통신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2]자동화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3]재료 및 신소재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4]에너지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5]생명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6]건설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7]IT 기반 융합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이 공학의 융합 사례를 탐색한다.
[12공학02-08]바이오 기반 융합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이 공학의 융합 사례를 탐색한다.
[12공학02-09]다른 학문 및 지식과 공학의 융합의 필요성을 이해하며 그 전망을 예측한다.
[12공학02-02]자동화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3]재료 및 신소재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4]에너지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5]생명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6]건설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그 원리가 응용된 사례를 탐색하고 체험한다.
[12공학02-07]IT 기반 융합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이 공학의 융합 사례를 탐색한다.
[12공학02-08]바이오 기반 융합 공학의 원리를 이해하고 동향을 파악하며, 이 공학의 융합 사례를 탐색한다.
[12공학02-09]다른 학문 및 지식과 공학의 융합의 필요성을 이해하며 그 전망을 예측한다.
3.3. (3) 공학과 진로
공학과 진로 영역은 공학의 발전과 동향, 공학 세계의 다양성과 비전에 대한 분석을 통해 공학 진로 탐색 능력을 함양한다.[12공학03-01]다양한 분야의 공학의 발전과 동향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여 미래 사회에서 다루어질 공학을 예측한다.
[12공학03-02]공학세계의 다양성과 비전에 대해 분석하고 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을 고려하여 진로를 탐색한다.
[12공학03-02]공학세계의 다양성과 비전에 대해 분석하고 자신의 흥미, 적성, 능력을 고려하여 진로를 탐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