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16:12:30

2009 개정 교육과정/수학과/중학교/수학②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수학과/중학교
2009 개정 교육과정 수학과 중학교군 과목 ('14~'17 中1)
중학교 1학년 중학교 2학년 중학교 3학년
■ 고등학교 과목 틀: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수학과 과목
■ 이전 교육과정: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과 과목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수학과 과목


1. 개요2. 내용 체계
2.1. '수와 연산' 영역
2.1.1. 유리수와 순환소수
2.2. '문자와 식' 영역
2.2.1. 식의 계산2.2.2.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2.2.3. 연립일차방정식의 활용2.2.4.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2.2.5.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의 활용
2.3. '함수' 영역
2.3.1. 일차함수와 그래프2.3.2. 일차함수의 활용
2.4. '확률과 통계' 영역
2.4.1. 확률과 그 기본 성질
2.5. '기하' 영역
2.5.1.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2.5.2. 도형의 닮음2.5.3. 닮음의 활용

1. 개요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시기의 수학과 학습 내용 체계를 다룬다. 다른 교과도 마찬가지지만 이번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학년별·과목별 과목 구별 표시에 원형 특수문자(숫자)가 붙었다. 그래서 행정상 단일표기 ‘수학②’는 중학교 2학년 수학을 가리킨다.[1]

2. 내용 체계

2.1. '수와 연산' 영역

<용어와 기호>
유한소수, 무한소수, 순환소수, 순환마디
<교수․학습 상의 유의점>
① 유한소수를 순환소수로 나타내는 것은 강조하지 않는다.
② 순환소수를 분수로 고칠 때 공식화하는 것은 강조하지 않는다.

2.1.1. 유리수와 순환소수

① 순환소수의 의미를 이해한다.
② 유리수와 순환소수의 관계를 이해한다.

2.2. '문자와 식' 영역

<용어와 기호>
이차식, 전개, 전개식, 연립방정식, 연립일차방정식, 소거, 가감법, 대입법, 부등식, 일차부등식, 연립부등식, 연립일차부등식

<교수·학습 상의 유의점>
① 지수법칙은 지수가 자연수인 범위에서 다룬다.
② 다항식의 나눗셈은 나누는 식이 단항식이고, 그 몫이 다항식인 것만 다룬다.
③ 다항식의 사칙계산을 할 때, 지나치게 복잡한 계산은 다루지 않는다.

2.2.1. 식의 계산

① 이차식의 덧셈과 뺄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② 지수법칙을 이해한다.
③ 다항식의 곱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곱셈 공식을 유도할 수 있다.④ 다항식의 나눗셈의 원리를 이해하고, 그 계산을 할 수 있다.
⑤ 간단한 등식을 변형할 수 있다.

2.2.2.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

①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의미를 이해한다.
②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과 그 해의 의미를 이해한다.
③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풀 수 있다.

2.2.3. 연립일차방정식의 활용

① 미지수가 2개인 연립일차방정식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2.4.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

① 부등식과 그 해의 의미를 이해한다.
② 부등식의 기본 성질을 이해한다.
③ 일차부등식과 그 해의 의미를 이해하고, 일차부등식을 풀 수 있다.
④ 연립일차부등식과 그 해의 의미를 이해하고, 연립일차부등식을 풀 수 있다.

2.2.5. 일차부등식과 연립일차부등식의 활용

① 일차부등식 또는 연립일차부등식을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3. '함수' 영역

<용어와 기호>
일차함수, 기울기, [math(x)]절편, [math(y)]절편, 평행이동, 직선의 방정식

<교수·학습 상의 유의점>
①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통한 연립일차방정식의 해에 대한 지도는 연립일차방정식의 해가 두 직선의 교점임을 이해하는 정도로 다룬다.

2.3.1. 일차함수와 그래프

① 일차함수의 의미를 이해하고, 그 그래프를 그릴 수 있다.
② 일차함수의 그래프의 성질을 이해한다.

2.3.2. 일차함수의 활용

① 일차함수와 미지수가 2개인 일차방정식의 관계를 이해한다.
② 두 일차함수의 그래프를 통하여 연립일차방정식의 해를 이해한다.
③ 일차함수를 활용하여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2.4. '확률과 통계' 영역

<용어와 기호>
경우의 수, 사건, 확률

<교수·학습 상의 유의점>
① 경우의 수를 구할 때, 지나치게 복잡한 경우는 다루지 않는다.
② 확률 개념의 도입과 계산에서는 간단한 경우의 수 또는 상대도수와 관련된 소재를 다룬다.

2.4.1. 확률과 그 기본 성질

① 경우의 수를 구할 수 있다.
② 확률의 뜻을 알고, 그 기본 성질을 이해한다.
③ 간단한 확률의 계산을 할 수 있다.

2.5. '기하' 영역

<용어와 기호>
명제, 가정, 결론, 역, 정의, 정리, 증명, 외심, 외접, 외접원, 내심, 내접, 내접원, 닮음, 닮음비, 삼각형의 닮음조건, 중선, 무게중심, [math(p \rightarrow q)], [math(\rm\square ABCD)], [math(\backsim)](닮음 기호)

<교수·학습 상의 유의점>
① 는 명제를 기호로 표현하는 정도로만 다룬다.
② 삼각형의 닮음조건과 합동조건을 비교하여 그 차이점을 안다.
③ 어려운 증명의 경우에는 증명을 하기 전에 공학적 도구나 조작 활동을 통하여 증명해야 할 성질을 직관적으로 이해하게 한다.

2.5.1.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

① 명제의 뜻과 증명의 의미를 이해한다.
② 삼각형의 합동조건을 이용하여 삼각형과 사각형의 성질을 증명할 수 있다.

2.5.2. 도형의 닮음

① 도형의 닮음의 뜻을 안다.
② 닮은 도형의 성질을 이해한다.
③ 삼각형의 닮음조건을 이해한다.

2.5.3. 닮음의 활용

① 평행선 사이에 있는 선분의 길이의 비에 대한 성질을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② 삼각형의 중점연결정리를 이해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다.
③ 닮음비를 이용하여 닮은 도형의 넓이와 부피를 구할 수 있다.


[1] 사실 고등학교 과정에 붙는 Ⅰ, Ⅱ도 완성형 특수문자이긴 하므로 이례적인 경우는 아니다. 이에 따라 ‘수학Ⅱ’라고 하면 고등학교 과목을 가리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0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