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30 06:44:52

2009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윤리와 사상(2011 각론 수정)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2009 개정 교육과정/도덕과/고등학교/윤리와 사상
,
,
,
,
,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다른 교육과정 체제하의 동명의 과목에 대한 내용은 윤리와 사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09 개정 교육과정 (2011년 각론 수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 ('14~'17 高1)
일반 과목
사회과 도덕과 역사과
{{{-2 ■ 이전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도덕과 과목, 2009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각론 고시 2009)
■ 이후 교육과정: 2015 개정 교육과정 고등학교 사회 교과군 과목
대학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출제 범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2013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7차 교육과정(이전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2014학년도 ~
2016학년도
2009년에 발표된 각론을 따른다. 2009 개정 교육과정('09 고시) 문서 참고 바람.
2014학년도 ~
2020학년도
생활과 윤리 · 윤리와 사상 · 한국 지리 · 세계 지리 · 세계사 · 동아시아사 · 법과 정치 · 경제 · 사회·문화 중 2택
(2017학년도부터 2011년에 각론이 수정된 고시 내용을 따른다. 또한 한국사 영역이 한국사 영역으로 독립했다.)
2021학년도 해당 교육과정에서 출제하지 않는다. 2015 개정 교육과정(다음 교육과정) 문서 참고 바람. }}}
}}}


1. 개요2. 단원별 내용
2.1.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의 의의2.2.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2.3. 서양 윤리 사상2.4. 사회 사상

1. 개요

2009 개정 교육과정 중 2011년에 각론을 수정한 사회과 고등학교 과목의 하나.

2. 단원별 내용

2.1.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의 의의

㈎ 인간의 삶과 윤리 사상① 인간의 본질과 특성
② 인간 행위에 대한 다양한 윤리적 해석
③ 인간의 삶에 있어서 윤리 사상의 필요성

㈏ 이상 사회의 구현과 사회 사상① 인간의 삶에 있어서 사회 사상의 필요성
②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의 관계
③ 이상 사회의 구현과 사회 사상

㈐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에 대한 탐구①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이 개인의 판단과 행동에 끼치는 영향
② 윤리 사상과 사회 사상에 대한 탐구 방법의 특성

2.2.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

㈎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 및 현대적 의의①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의 흐름
② 동양과 한국 윤리 사상의 특징(세계관, 인간관, 자연관, 생사관, 사회관 등)
③ 현대 사회와 동양 및 한국 윤리 사상

㈏ 유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① 공자, 맹자, 순자를 중심으로 한 선진 유교 사상
② 한대부터 청대까지의 시대별 전개와 특징
③ 청대 이후 동·서양에서의 유교의 전개

㈐ 유교 사상의 특징① 인본주의
② 도덕 지향
③ 강한 사회성

㈑ 한국 유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① 조선 전기 유교 사상(성리학, 퇴계 및 율곡 등)
② 조선 후기 유교 사상(실학, 위정척사, 의병운동, 애국계몽운동, 강화학파 등)
③ 한국 유교 사상과 현대 사회

㈒ 불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① 불교의 성립
② 불교의 아시아 지역 전파와 그 특징(인도, 중국, 한국 불교의 특징 등)
③ 불교의 세계 전파와 그 영향

㈓ 불교 사상의 특징① 연기적 세계관
② 주체적 인간관
③ 평등적 세계관

㈔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의의
불교 사상의 한국 수용 과정 및 발전 양상과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시대적 요청에 따른 불교 사상의 변화 과정을 조사한다.
① 한국 불교의 인간관과 해탈(교종, 선종 포함)
② 한국 불교 사상의 특징과 현대 사회

㈕ 도가·도교 사상의 연원과 전개
㈖ 도가·도교 사상의 특징 및 한국 전통 사상과의 융합① 상대주의적 세계관(인본주의 부정, 도덕 지향 부정)과 평등적 세계관
② 개인주의, 신비주의 및 예술 정신 등
③ 도가·도교 사상과 한국 전통 사상의 융합(민족주의 색채, 민속 및 과학과의 융합 등) 및 현대적 의의
㈗ 한국 고유 사상의 특징과 의의 ① 신화(단군 신화, 주몽 신화, 박혁거세 신화)에 나타난 고유 사상
② 화랑도, 무속 신앙 및 근대의 신흥 종교 사상 등
③ 한국 고유 사상의 현대적 의의(평화애호의 인본주의, 조화 지향적 세계관, 공동체 의식 등)

2.3. 서양 윤리 사상

㈎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① 서양 윤리 사상의 흐름
② 서양 윤리 사상의 특징
③ 현대 사회와 서양 윤리 사상
㈏ 상대주의 윤리와 보편주의 윤리① 소피스트의 윤리 사상
② 소크라테스의 윤리 사상
③ 상대주의 윤리와 보편주의 윤리의 특징 비교

㈐ 이상주의 윤리와 현실주의 윤리① 플라톤의 윤리 사상
② 아리스토텔레스의 윤리 사상
③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사상이 서양 윤리 사상에 끼친 영향

㈑ 쾌락주의 윤리와 금욕주의 윤리① 헬레니즘 시대의 특징
② 에피쿠로스학파와 스토아학파
③ 쾌락주의 윤리와 금욕주의 윤리가 서양 윤리 사상에 끼친 영향

㈒ 그리스도교 윤리 ① 그리스도교의 기원 및 헬레니즘과의 융합
② 교부 철학과 스콜라 철학
③ 프로테스탄티즘의 윤리와 그리스도교 윤리의 현대적 의의

㈓ 경험주의와 이성주의① 베이컨, 홉스, 흄 사상의 특징과 그 윤리적 함의
② 데카르트, 스피노자 사상의 특징과 그 윤리적 함의
③ 경험주의와 이성주의가 서양 윤리 사상에 끼친 영향

㈔ 결과론적 윤리와 공리주의① 결과론적 윤리의 특징
② 벤담과 밀의 고전적 공리주의
③ 현대 공리주의와 그 의의

㈕ 의무론적 윤리와 칸트주의① 의무론적 윤리의 특징
② 칸트의 윤리 사상과 도덕 법칙의 의미
③ 현대 칸트주의와 그 의의

㈖ 실용주의 윤리와 실존주의 윤리 ① 실용주의 윤리와 현대적 의의
② 근대 이성주의 철학의 한계 및 실존주의의 등장 배경
③ ‘신 앞에 선 단독자’, ‘한계 상황’, ‘주체성’, ‘실존’ 등의 윤리적 의미

㈗ 현대의 덕 윤리와 배려 윤리 ① 오늘날 덕 윤리가 새로이 주목받게 된 이유와 덕 윤리의 장점
② 배려 윤리의 특징과 의의
③ 덕 윤리 및 배려 윤리의 문제점과 한계

2.4. 사회 사상

㈎ 사회 사상의 특징과 현대적 의의① 사회 사상의 특징
② 사회 사상의 현대적 의의

㈏ 개인과 자율① 개인의 선택권과 자율성(국가 중립성 논의 포함)
② 권리와 의무, 권리와 책임의 상호 보완성
③ 갈등을 예방하기 위한 노력, 관용의 중요성과 갈등 해결의 바람직한 방법

㈐ 공동체와 연대① 공동체의 정체성 및 소속감 형성 기능(구성적 공동체)
②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역할과 개인적 자아의 갈등(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인간관에 대한 논의 포함)
③ 공동선과 개인적 선의 조화

㈑ 국가와 윤리① 정치적 의무의 도덕적 근거(인간 본성, 동의(승인), 공공재 및 관행의 혜택, 자연적 의무 등)
② 자민족 및 자국가 중심주의로 인한 부정적 결과와 건전한 애국심
③ 충성과 호국 정신의 숭고함과 청백리 정신의 필요성

㈒ 민주주의 사회에서의 윤리① 민본주의의 특징(도덕성, 인륜성, 호혜성, 참정 및 저항의 가능성)과 오늘날의 민주주의에 주는 윤리적 시사점
② 자연법적 계약사상과 근·현대 민주주의와의 관계
③ 현대 민주주의(대의, 참여, 심의 민주주의)의 규범적 특성과 시민 윤리

㈓ 사회 정의① 공정으로서의 정의
② 소유 권리로서의 정의 및 복합 평등으로서의 정의
③ 정의로운 사회의 구현 방안과 자세

㈔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윤리① 자본주의의 기본 정신과 윤리적 장점
② 경제적 불평등을 비롯한 자본주의 사회의 윤리적 문제점
③ 자본주의 사회의 문제점 극복을 위해 국가, 시민 사회, 개인이 할 수 있는 일

㈕ 사회주의 사상의 윤리적 함의① 사회주의의 기본 정신과 경제적 평등에 대한 규범적 평가
② 사회주의 현실이 가지는 한계와 자본주의에의 윤리적 시사점 찾기
③ 자유 경쟁 사회와 평등 사회의 조화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