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rowcolor=#FFF> 8강 | 준결승 | 결승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8강 1경기 (1996년 3월 9일, 파이살라바드) | ||||
236/5 | |||||
235/8 | |||||
스리랑카의 5위켓 차 승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준결승 1경기 (1996년 3월 13일, 캘커타) | ||
251/8 | |||||
120/8 | |||||
스리랑카의 기권승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결승 (1996년 3월 17일, 라호르) | ||
245/3 | |||||
241/7 | |||||
스리랑카의 7위켓 차 승리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8강 2경기 (1996년 3월 9일, 방갈로르) | ||||
248/9 | |||||
287/8 | |||||
인도의 39런 차 승리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8강 3경기 (1996년 3월 11일, 카라치) | ||||
245 | |||||
264/8 | |||||
서인도의 19런 차 승리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준결승 2경기 (1996년 3월 14일, 모할리) | ||
202 | |||||
207/8 | |||||
호주의 5런 차 승리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 8강 4경기 (1996년 3월 11일, 마드라스) | ||||
289/4 | |||||
286/9 | |||||
호주의 6위켓 차 승리 | }}} |
A조에서 각각 1~4위를 기록한 스리랑카, 호주, 인도, 서인도와 B조에서 각각 1~4위를 기록한 남아프리카 공화국, 파키스탄, 뉴질랜드, 잉글랜드가 8강 토너먼트에 진출하였다.
8강의 한쪽 편에서 스리랑카(A조 1위)와 잉글랜드(B조 4위)가, 파키스탄(B조 2위)과 인도(A조 3위)가 각각 맞붙게 되었고, 반대편에서는 남아프리카 공화국(B조 1위)과 서인도(A조 4위)가, 호주(A조 2위)가 뉴질랜드(B조 3위)가 각각 맞붙게 되었다.
2. 경기 진행
2.1. 8강전
2.1.1. 1경기 : 잉글랜드 vs 스리랑카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09 (토) (UTC+5) | |
심판진 : | |
| |
잉글랜드 | 스리랑카 |
<rowcolor=#000> 235/8 (50 오버) | 236/5 (40.4 오버) |
스리랑카의 5위켓 차 승리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잉글랜드 공격, 스리랑카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필 디프레이터스 67런 (투구 수 : 64구) | 쿠마르 다르마세나 30실점 2위켓 (10 오버) |
후공 (스리랑카 공격, 잉글랜드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사나트 자야수리야 82런 (투구 수 : 44구) | 더모트 리브 14실점 1위켓 (4 오버) |
스리랑카(A조 1위)와 잉글랜드(B조 4위)의 크리켓 월드컵 6번째 맞대결이다. 이전에 펼쳐졌던 CWC에서의 전적에서는 잉글랜드가 스리랑카를 상대로 5전 전승을 기록하고 있다. 다만 스리랑카는 A조에서 패배 없이 1위로 조별리그를 마감하고, 잉글랜드는 B조에서 첫 출전한 UAE와 네덜란드를 이긴 것 외에는 전력이 비슷한 남아공, 파키스탄, 뉴질랜드에게 모두 패배하며 체면을 구긴 상태에서 경기에 임하게 되었다.
잉글랜드가 먼저 선공에 돌입하여 로빈 스미스와 마이크 어서튼을 오프닝 배터로 앞세웠지만, 별다른 큰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일찍 아웃되었다. 그 뒤로 필립 디프레이터스가 하프센추리를 기록하기는 했으나 67점을 기록하고 아웃당한 것 이외에는 나머지 선수들이 힘을 보태지 못하며 235점에 그쳤다. 그리고 이어지는 후공에서 스리랑카의 오프닝 배터 사나트 자야수리야가 43구 동안 82점을 기록하는 맹활약을 펼친 것을 비롯하여 이어지는 배터들의 거침없는 잉글랜드 수비진 공략을 통해 스리랑카가 9.3오버(57구)를 남겨두고 위켓 차로 인한 승리를 확정지으며 준결승에 진출했다. 이로써 스리랑카는 잉글랜드를 상대로 크리켓 월드컵에서 첫 승리를 거두게 되었다.
2.1.2. 2경기 : 인도 vs 파키스탄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09 (토) (UTC+5:30) | |
심판진 : | |
| |
인도 | 파키스탄 |
<rowcolor=#000> 287/8 (50 오버) | 248/9 (49 오버) |
인도의 39런 차 승리 (후반 이닝에서 공격권을 가지고 있는 파키스탄의 낮은 투구 빈도로 인한 1오버 차감.)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인도 공격, 파키스탄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나브조트 싱 시두 93런 (투구 수 : 115구) | 무쉬타크 아흐메드 56실점 2위켓 (10 오버) |
후공 (파키스탄 공격, 인도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아미르 소하일 55런 (투구 수 : 46구) | 벵카테쉬 프라사드 45실점 3위켓 (10 오버) |
파키스탄(B조 2위)과 인도(A조 3위)의 크리켓 월드컵 2번째 맞대결이다. 이전 대회에서는 인도가 파키스탄을 상대로 43점 차로 승리하였다.
인도의 선공으로 시작된 전반 이닝에서 사친 텐둘카르와 나브조트 싱 시두가 오프닝 배터로 등장하였지만 A조에서 427런으로 조별리그에서 가장 많은 득점을 기록한 텐둘카르가 31런밖에 득점하지 못하여 경기 흐름이 파키스탄 입장에서 유리해졌다. 그러나 나브조트 싱 시두의 하프센추리는 막지 못하며 93점을 허용하는 등 다소 불만족스러운 수비력을 보이면서 287실점으로 이닝이 종료되었다. 그리고 파키스탄의 후공으로 이어지는 후반 이닝에서 아닐 컴블, 벵카테쉬 프라사드 등의 볼러들이 아미르 소하일, 이자즈 아흐메드, 인자맘 울하크 등의 파키스탄 핵심 공격진들을 틀어막으면서 인도가 39런 차로 승리하여 준결승에 진출하였다.
2.1.3. 3경기 : 서인도 vs 남아프리카 공화국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11 (월) (UTC+5:30) | |
심판진 : | |
| |
서인도 | 남아프리카 공화국 |
<rowcolor=#000> 264/8 (50 오버) | 245 (49.3 오버) |
서인도의 19런 차 승리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서인도 공격, 남아프리카 공화국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브라이언 라라 111런 (투구 수 : 94구) | 브라이언 맥밀런 37실점 2위켓 (10 오버) |
후공 (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격, 서인도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데릴 컬리넌 69런 (투구 수 : 78구) | 로저 하퍼 47실점 4위켓 (10 오버) |
남아공(B조 1위)과 서인도(A조 4위) 간의 맞대결이다. 직전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맞대결을 가진 남아공이 서인도를 64런 차로 승리한 경험이 있는데, 과연 5전 전승을 기록하여 이 대회 우승 후보로 점쳐지고 있는 남아공이 또 한번 서인도를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4강에 올라갈 수 있을지, 아니면 서인도가 남아공의 돌풍을 잠재우며 미라클 런의 첫 스타트를 끊을 수 있을지에 대한 관심이 주목되는 경기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서인도의 선공으로 전반 이닝이 시작되었다. 에이스 브라이언 라라가 3번째 배터로 출전하여 센추리를 달성하는 활약을 펼치는 등 팀이 50오버 안에서 264점을 기록하여 이닝을 종료했다. 이어지는 남아공의 후공으로 시작되는 후반 이닝에서 남아공이 앤드류 허드슨, 게리 커스턴, 데릴 컬리넌, 주장인 한지 크로녀를 비롯한 막강한 배터진을 앞세워 서인도를 위협했으나, 서인도 볼러 커틀리 앰브로즈, 코트니 월시, 로저 하퍼, 지미 애덤스 등이 양팀의 승패가 갈릴 수 있는 중요한 상황에서 이러한 배터진을 철저히 아웃시키면서 남아공을 격침시켰다. 이로써 남아공은 허무하게 집으로 돌아가게 되었고 서인도는 크리켓 월드컵 3번째 우승을 향한 여정을 계속해서 이어가게 되었다. 강한 팀이 이기는 것이 아닌 이기는 팀이 강한 것임이 이 경기에서 드러난 셈.
2.1.4. 4경기 : 뉴질랜드 vs 호주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11 (월) (UTC+5:30) | |
심판진 : | |
| |
뉴질랜드 | 호주 |
<rowcolor=#000> 286/9 (50 오버) | 289/4 (47.5 오버) |
호주의 6위켓 차 승리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뉴질랜드 공격, 호주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크리스 해리스 130런 (투구 수 : 124구) | 글렌 맥그레이스 50실점 2위켓 (9 오버) |
후공 (호주 공격, 뉴질랜드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마크 워프 110런 (투구 수 : 112구) | 네이선 어슬 21실점 1위켓 (3 오버) |
오세아니아 최강을 가리는 호주(A조 2위)와 뉴질랜드(B조 3위) 두 팀이 초장부터 외나무다리에서 붙게 되었다. CWC 역대 전적은 호주가 2승 1패가 앞서고 있다.
뉴질랜드가 먼저 배트를 잡으면서 경기가 시작되었다. 뉴질랜드가 리 저먼의 하프센추리(→89점) 및 크리스 해리스의 센추리(→130점) 달성을 통한 고득점으로 286런을 득점하여 준결승 진출에 유리한 상황을 만들었지만 호주의 후공으로 이어지는 후반 이닝에서 호주가 마크 워프의 센추리(→110점)를 비롯한 배터진들의 영양가 높은 공격으로 2.1오버를 남겨두고 뉴질랜드의 286점을 뛰어넘으며 4강 진출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B조에서 올라온 남아공, 파키스탄, 뉴질랜드, 잉글랜드 4개 팀이 모두 8강에서 전멸하였다.
2.2. 준결승
2.2.1. 1경기 : 스리랑카 vs 인도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13 (수) (UTC+5:30) | |
심판진 : | |
| |
스리랑카 | 인도 |
<rowcolor=#000> 251/8 (50 오버) | 120/8 (34.1 오버) |
스리랑카의 기권승 (인도 관중의 폭동으로 인한 경기 중단 및 주심의 스리랑카의 승리 선언.)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스리랑카 공격, 인도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아라빈다 데실바 66런 (투구 수 : 47구) | 자바갈 스리나트 34실점 3위켓 (7 오버) |
후공 (인도 공격, 스리랑카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사친 텐둘카르 65런 (투구 수 : 88구) | 사나트 자야수리야 12실점 3위켓 (7 오버) |
인도와 스리랑카가 A조에서 만난 이후 다시 격돌하게 되었다. CWC 역대 전적은 스리랑카가 2승 1NR로 인도에게 한 번도 지지 않고 있다. 20[age(2000-01-01)]년 현재에는 인도가 스리랑카를 상대로 승률 면에서 50~60%로 크게 우세를 점하고 있지만 당시에는 인도가 스리랑카를 크리켓 월드컵에서 만나는 경우가 상당히 드물어 이 대회 개최 이전까지는 CWC에서 노리절트 경기를 제외하면 1979년 대회에서 단 한번밖에 경기를 가지지 못하였다. 그 경기에서 스리랑카의 CWC 첫 승리를 허용하며 체면을 구겼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홈그라운드 버프를 등에 업은 인도가 스리랑카를 상대로 월드컵 첫 승리를 거두게 될지에 대한 관심이 주목되는 경기가 되었다.[1]
스리랑카의 선공으로 경기가 시작되었다. 스리랑카가 아라빈다 데실바(66런)와 로샨 마하나마(58런)의 하프센추리 달성에 힘입어 251런을 기록하고 8아웃으로 이닝을 종료하였다. 이어서 인도의 공격으로 진행된 후반 이닝에서 오프닝 배터 사친 텐둘카르가 65점으로 하프센추리를 달성했으나 생각보다 일찍 위켓을 당하고 난 뒤에 스리랑카의 볼링 팀워크가 빛을 발하면서 인도의 배터진을 속절없이 무너뜨렸다. 그렇게 해서 인도의 아시쉬 카푸르의 볼이 아라빈다 데실바의 캐치로 1점도 못내고 아웃당하면서 스리랑카가 8번째 위켓을 거두었는데 그 이후로 인도 관중들이 이든 가든스[2]의 스탠드에 불을 지르고 과일과 물병 따위의 물건들을 그라운드에 던지는 추태를 보이는 바람에 경기가 중단되었다. 잠시 뒤에 상황이 진정되고 난 이후 경기가 재개되려 할 때쯤에 인도 관중들이 다시 선수들에게 물병을 집어던지는 등의 용납할 수 없는 행동을 계속하는 바람에 결국 클라이브 로이드[3] 주심이 곧바로 스리랑카의 기권승(몰수승)을 선언하여 그대로 경기가 끝나버렸다.
이로 인해 스리랑카는 사상 최초로 크리켓 월드컵 결승에 진출했으며, 인도는 CWC에서 스리랑카에게 승리 없이 3패만 당한 채로[4] 이번 월드컵에서 짐을 싸게 되었다.
2.2.2. 2경기 : 호주 vs 서인도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14 (목) (UTC+5:30) | |
펀자브 크리켓 협회 경기장 (인도, 모할리) | |
심판진 : | |
| |
호주 | 서인도 |
<rowcolor=#000> 207/8 (50 오버) | 202 (49.3 오버) |
호주의 5런 차 승리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호주 공격, 서인도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스튜어트 로우 72런 (투구 수 : 105구) | 커틀리 앰브로즈 26실점 2위켓 (10 오버) |
후공 (서인도 공격, 호주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시브나라인 찬데르폴 80런 (투구 수 : 126구) | 셰인 원 36실점 4위켓 (9 오버) |
A조에서 맞붙었던 호주와 서인도 간의 리매치이다. A조에서 서인도가 호주를 꺾은 적이 있기 때문에 호주 입장에서는 설욕할 기회를 잡게 되었는데, 서인도도 그당시 5전 전승을 질주하고 있었던 남아공의 돌풍을 잠재웠던 만큼 이번 경기도 신중하게 임할 것으로 예상되어 경기 양상이 아주 치열하게 흘러갈 것으로 전망된다.
호주가 공격권을 먼저 잡으며 전반 이닝 경기에 돌입했지만 서인도의 수비에 고전하여 207점밖에 기록하지 못하며 겨우 50오버를 넘긴 채로 이닝이 종료되었다. 이어지는 서인도의 후공으로 이루어지는 후반 이닝에서 서인도가 시브나라인 찬데르폴(80런), 브라이언 라라(45런), 리치 리처슨(49런)의 활약으로 호주를 압박했다. 그러나 호주의 볼러 셰인 원이 팀이 바로 탈락해도 이상하지 않을 상황에서 4번의 위켓을 달성하면서 서인도의 승리로 예상되었던 경기 흐름을 점차 반전시켰고, 결국 서인도가 202점을 달성한 상태에서 식스만 치면 무조건 결승에 올라갈 수 있는 상황에서 서인도의 코트니 월시가 호주의 데이미언 플레밍의 공을 치지 못하고 그대로 이언 힐리의 손에 들어가면서 호주의 극적인 승리로 경기가 종료되었다.
이를 통해 호주가 CWC에서 3번째로 결승에 진출했고, 반면 서인도는 CWC에서 3번째 우승에 대한 꿈이 접힌 채로 탈락하고 말았다.
2.3. 결승 : 호주 vs 스리랑카
'''1996 크리켓 월드컵 {{{#FFF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0px 6px 1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E42E2E; font-size: 1.0em"''' 1996.03.17 (일) (UTC+5) | ||
심판진 : | ||
| ||
| | |
호주 | 스리랑카 | |
<rowcolor=#000> 241/7 (50 오버) | 245/3 (46.2 오버) | |
스리랑카의 7위켓 차 승리 | ||
최우수 선수 : |
- 경기 통계
선공 (호주 공격, 스리랑카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마크 테일러 74런 (투구 수 : 83구) | 아라빈다 데실바 42실점 3위켓 (9 오버) |
후공 (스리랑카 공격, 호주 수비) | |
<rowcolor=#000> 배팅 : (최다 런) | 볼링 : (실점 대비 최다 위켓) |
<rowcolor=#000> 아라빈다 데실바 107런 (낫아웃) (투구 수 : 124구) | 데이미언 플레밍 43실점 1위켓 (6 오버) |
크리켓 월드컵 첫 우승을 노리는 스리랑카와 2번째 우승에 한걸음 더 다가선 호주가 우승 트로피가 비치는 파키스탄 라호르의 가다피 스타디움에서 서로 격돌하게 되었다.
양팀 모두 이번 대회에서 제대로 첫 대결을 준비하게 되는데 그 이전에 A조에서 치러지게 될 경기가 호주의 불참으로 무산되었기 때문이다. 스리랑카는 이번 월드컵에서 3번의 기권승을 받는 등 운좋게 결승에 올라오면서 선수단의 체력을 효율적으로 비축할 수 있었던 것과는 달리 호주는 7경기를 소화하고 준결승에서 서인도와의 치열한 접전 끝에 결승에 올라왔기 때문에 체력적으로 불리한 상황에 처해 있어 전력 면에 있어서는 호주가 우승할 가능성이 높으나 스리랑카의 우승 가능성도 절대 배제할 수 없는 상황에서 결승전이 치러지게 되었다. 더구나 스리랑카의 핵심 배터인 아라빈다 데실바의 공격 컨디션이 무척이나 좋아 상대의 수비에 큰 부담감을 주고 있는 것도 한몫하기 때문에 진지하게 스리랑카가 크리켓 월드컵 트로피를 들어올릴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대회의 우승팀을 결정짓는 대망의 마지막 경기가 막을 올렸다. 호주가 전반 이닝에서 공격권을 잡으며 캡틴 마크 테일러와 호주 내에서 가장 공격력이 뛰어난 마크 워프를 오프닝 배터로 내세웠다. 그런데 기대했던 마크 워프가 스리랑카의 사나트 자야수리야의 볼캐치로 예상보다 일찍 위켓을 당하면서 호주의 공격에 제동이 걸리게 되었다. 그나마 마크 테일러의 74점과 리키 폰팅의 45점을 비롯한 호주의 배터진들이 높은 점수를 쌓아올리며 241런으로 전반 이닝을 마감했다. 이후 이어지는 스리랑카의 공격으로 진행되는 후반 이닝에서 4번째 배터로 나온 아라빈다 데실바가 아산카 구루싱하와 파트너를 이루면서 나홀로 센추리를 달성하는 등 공격진이 호주의 수비를 계속해서 공략하면서 결국 스리랑카가 46.2오버에서 아르주나 라나퉁가의 마지막 바운더리 성공으로 호주를 무릎 꿇리며 크리켓 월드컵에서 처음으로 우승을 확정짓게 되었다.
3. 결과
1996 ICC 크리켓 월드컵 우승 |
|
스리랑카 (1번째 우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