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16:16:04

0삽살개0

<colbgcolor=#f88d19><colcolor=#fff> 0삽살개0
파일:0삽살개0 유튜브 프로필.jpg
본명 미공개
생년월일 1996년 1월 30일[1]
병역 대한민국 육군 병장 만기전역[2]
구독자 수 8.47만 명[기준]
누적 조회수 54,814,382회[기준]
첫 영상 업로드 2021년 1월 12일
[dday(2021-01-12)]일째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2. 상세3. 여담4. BGM5. 관련문서

[clearfix]

1. 개요

겟앰 할 거야
겟엠프드의 공방/일상 영상을 위주로 활동하는 개그 유튜버다.

2. 상세

여러 가지 액세서리로 유저들을 번지 시킨다.

대부분의 액세서리의 이해도가 다 수준 이상급이며, 켈로그 콘푸로스트마스코트토니 스킨[5]을 애용한다. 간간이 켈로그 후루트링왕부리새 마스코트 캐릭터인 투칸 샘 스킨도 사용한다.

겟앰프드 켈로그 길드의 마스터다.[6] 같은 길드의 겟앰프드 유튜버로 뚜선생, 뚱커비가 있으며 이들과 겟앰프드 라이브 방송을 자주한다.[7]

상대방을 이긴 뒤 농락하는 포즈를 취하는 것이 이 채널의 핵심이지만, 여타 겟앰 영상이 그렇듯 삽질을 하다 당하거나 본의 아니게 트롤링을 하는 것도 묘미다. 대표적으로 죽으면 쓰는 채팅이 아.

메카신 대사원, 쌍봉우리, 원형경기장에서 주로 플레이 한다. 그 외에는 타이타닉(팀전), 바벨탑, 시티 등이 있다.

과거에는 개그 요소가 섞인 악세서리 소개 영상 위주였으나, 2022년즈음부터는 딱히 특별한 컨셉을 잡는 영상보다는 켈로그 길드원들과의 웃긴 장면 모음집 영상이 다수. 아무래도 영상에 자주 나오는 켈로그 길드원들이 반응이 좋고, 일반 공방에 들어가자니 겟앰프드 유저들 사이에서 유명세가 늘어난 것이 이유일 듯하다.

유튜브 영상 업로드를 메인으로 하고 있지만 가끔씩 노 마이크로 유튜브 라이브도 진행한다. 대개 2~3시간 정도 하며, 지루함을 줄이기 위해 진 팀은 방을 나가야하는 룰을 만들거나 연승 미션 컨텐츠를 하곤 한다. 겟앰프드 자체가 보는 재미가 꽤 있고 도네이션이나 채팅에 꾸준히 반응해주기에 라이브 시청자는 22년 하반기 방송 기준 천 명 대 정도로 겟앰 유튜버 중에선 많은 편이다. 방송은 대개 켈로그 길드원과의 1:1로 마무리한다.

3. 여담

4. BGM

슈퍼 봄버맨 R,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얼티밋, 철권 6 등 게임 수록 음악과 유로비트 음악을 자주 사용한다. 최근엔 온갖 메갈로바니아 매쉬업 음악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5. 관련문서



[1] 출처[2] 2017년 전역[기준] 2023년 12월 25일[기준] [5] 입을 벌린 표정에서는 입 안에 '아'가 적혀있다.[6] 참고로 겟앰프드에는 포스트 길드도 존재하며, 이쪽 길드마스터 즐겟맨은 진짜 콘푸라이트 마스코트를 스킨으로 쓰고 있다. 이 두 클랜이 라이벌 더비 컨셉으로 플레이한 영상이 삽살개 채널에 존재한다.[7] 나는살겟차 멤버인 나는벌레와 캠핑차도 켈로그 소속이었으나, 나는벌레는 독립하여 팥해적단 길드를 세웠고, 캠핑차는 즐겟맨의 포스트 길드로 이적했다.[8] 물론 아예 못 이기는 것은 아니고 번지 특화 악세사리로 종종 승리를 따내기도 한다. 사실 이것도 실력 중 일부인게 최상위권 유저들은 어지간한 공방 유저들의 행동 패턴은 다 꿰고 있기 때문에 번지각 마저도 잘 내주지 않는다. 때문에 뚫으려면 심리전을 걸어야 하는데 이들 상대로 심리전에서 승리한다는 것 자체가 기본 실력이 베이스로 깔려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9] 한컴타자연습 메밀꽃 필 무렵은 469타가 나온다.[10] 해당 글을 올리기 전날에도 "제가 너무 잘해서 초보처럼 보이는 것이다"라며 비난 댓글을 자제할 것을 완곡하게 전했으나 결국 결심을 한 듯 보인다. 이 당시 진행했던 스트리밍이 실력자 유저 '캠핑차'를 상대로 20만원을 걸고 연승을 하는 미션 방송이었는데, 팀원이었던 유저 문갑갑 및 일부 시참유저들에 대한 비난 채팅이 도를 넘었고 그 다음날 스트리밍에서도 유저들에 대한 수위높은 채팅이 계속됐었기 때문. 삽살개의 조치 이전부터 실시간 방송에서의 악질적인 채팅이 보기 불편하다는 반응이 많이 나왔기 때문에 댓글 여론은 호의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