𱤺 ⿱次⿰次次 | |||||||
부수 및 나머지 획수 | <colbgcolor=#fff,#1f2023> 欠, 14획 | 총 획수 | <colbgcolor=#fff,#1f2023> 18획 | ||||
미배정 | 미배정 | ||||||
- | |||||||
일본어 음독 | - | ||||||
일본어 훈독 | - | ||||||
- | |||||||
표준 중국어 | bēng | ||||||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clearfix]
1. 개요
지명을 나타내는 방언자로, 훈은 미상이며, 음은 사성음으로 벙(bēng)으로 발음한다. 국음을 추가하자면 팽/붕 이 2개 중 하나일 것이나, 강희자전에도 등제되어 있지 않아 확실한 음을 알 수 없다.2. 상세
次(버금 차)가 세 개 합쳐진 회의자이다.유니코드에는 U+3193A에 배당되어 있다.
귀주성여평현지명지를 전거로 두고 있다.
치벙차이(Cibēngzhài)는 초평행정촌 주둔지에서 동쪽으로 0.6km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과거에 이 마을에는 원래 백여 가구가 살았는데, 번번이 도적떼들에게 불타고, 죽임을 당하여 마을 사람들은 모두 밖으로 도망쳐 오랫동안 사람이 살지 않아, 촌락에는 이삭이 무성했졌고, 이윽고 풍년이 들자 사람들이 집을 재건하여 치벙차이라는 이름이 치어졌다고 한다. 인구는 189명으로, 둥족이 살고 있으며, 주 생산물은 쌀과 유채며 대두와 면화도 생산한다.
다만 해당 설명으로 이 한자가 무슨 뜻을 의미하는지는 유추 가능한데, 여러 번 무너진 마을이라는 의미에서 치벙차이라고 지었기에, 이 한자가 무너질 붕 (崩)의 동자라 보는 의견이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