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8 20:13:08

흰꼬리가 아닌


흰꼬리가 아닌
<colbgcolor=#C4AFCC> 한국판 명칭 흰꼬리가 아닌
일본판 명칭 [ruby(尾, ruby=お)]も[ruby(白, ruby=しろ)]くない
영어판 명칭 Dark Tai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 종족 관련 카테고리
야수족 효과

1. 개요2. 설명3. 카드 목록
3.1. 일반 몬스터
3.1.1. 흰꼬리가 아닌 흰 곰
3.2. 효과 몬스터
3.2.1. 흰꼬리가 아닌 흰 팬더3.2.2. 흰꼬리가 아닌 흰 고양이3.2.3. 흰꼬리가 아닌 흰 토끼
3.3. 마법 카드
3.3.1. 재미없는 만화
3.4. 함정 카드
3.4.1. 썰렁한 만화3.4.2. 다시 읽어봐도 재미없는 만화

[clearfix]

1. 개요

유희왕 러시 듀얼의 미발매 카드 테마.

2. 설명

유희왕 고 러시!!더☆예티 유키오가 사용하는 야수족 테마이며,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흰꼬리의 검은 고양이라는 카드명에 쓰인 언어유희에서 모티브를 따왔다.[1] 또한 몬스터 카드들의 공격력과 수비력에서도 400과 600이 들어간 수치를 찾을 수가 있는데, 이 또한 '재미없는(面白くない;오모시로쿠나이)' 중에서 '시로쿠'를 고로아와세로 4, 6이라고 읽을 수 있어서이기 때문.

마법 카드 '재미없는 만화'를 주로 사용하는 전략을 사용한다. 애니메이션에서 더☆루그의 만화가 재미없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한 전략이기도 하며, 재미없는 만화를 통해 덱을 계속 셔플해나가며 순환시킨 다음, 묘지에 재미없는 만화가 있을 것을 요구하는 조건을 가진 서포트 카드들을 활용하는 식이다.

대부분의 고러시 테마가 그렇 듯 고러시 특유의 정말로 재미없는 옛날 네타 및 말장난, 저지라면마수 등의 뇌절 패러디 등등의 요소로 인해 닉값을 제대로 한다는 평을 받았다(...)

3. 카드 목록

3.1. 일반 몬스터

3.1.1. 흰꼬리가 아닌 흰 곰

파일:WhiteBearwithDarkTail-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명칭=흰꼬리가 아닌 흰 곰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尾<rp>(</rp><rt>お</rt><rp>)</rp></ruby>も<ruby>白<rp>(</rp><rt>しろ</rt><rp>)</rp></ruby>くない<ruby>白<rp>(</rp><rt>しろ</rt><rp>)</rp></ruby><ruby>熊<rp>(</rp><rt>くま</rt><rp>)</rp></ruby>,
영어판명칭=White Bear with Dark Tai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물, 레벨=3, 공격력=1400, 수비력=600, 종족=야수족,
효과외=)]

3.2. 효과 몬스터

3.2.1. 흰꼬리가 아닌 흰 팬더

3.2.2. 흰꼬리가 아닌 흰 고양이

파일:WhiteCatwithDarkTail-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흰꼬리가 아닌 흰 고양이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尾<rp>(</rp><rt>お</rt><rp>)</rp></ruby>も<ruby>白<rp>(</rp><rt>しろ</rt><rp>)</rp></ruby>くない<ruby>白<rp>(</rp><rt>しろ</rt><rp>)</rp></ruby><ruby>猫<rp>(</rp><rt>ねこ</rt><rp>)</rp></ruby>,
영어판명칭=White Cat with Dark Tai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물, 레벨=2, 공격력=400, 수비력=600, 종족=야수족,
조건=없음,
발동효과=자신의 덱 맨 위의 카드를 묘지로 보낸다. 그 카드가 몬스터(물 속성 / 야수족)였을 경우\, 묘지의 일반 몬스터(물 속성 / 야수족) 1장을 고르고 패에 넣는다. 자신 묘지에 "재미없는 만화"가 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1장 드로우할 수 있다.)]

유희왕 고 러시!! 36화에서 더☆예티 유키오오도 유아무와의 듀얼 중 사용.

3.2.3. 흰꼬리가 아닌 흰 토끼

파일:WhiteRabbitwithDarkTail-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흰꼬리가 아닌 흰 토끼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ruby>尾<rp>(</rp><rt>お</rt><rp>)</rp></ruby>も<ruby>白<rp>(</rp><rt>しろ</rt><rp>)</rp></ruby>くない<ruby>白<rp>(</rp><rt>しろ</rt><rp>)</rp></ruby><ruby>兎<rp>(</rp><rt>うさぎ</rt><rp>)</rp></ruby>,
영어판명칭=White Rabbit with Dark Tail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속성=물, 레벨=3, 공격력=400, 수비력=600, 종족=야수족,
조건=이 카드를 일반 소환한 턴에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 3장을 묘지로 보낸다. 그 중 몬스터(물 속성 / 야수족)가 있었을 경우\, 그 중에서 1장을 고르고 [그 몬스터의 공격력]만큼 데미지를 받는다. 이 효과로 자신이 데미지를 받았을 경우\, 추가로 고른 몬스터를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유희왕 고 러시!! 36화에서 더☆예티 유키오오도 유아무와의 듀얼 중 사용.

3.3. 마법 카드

3.3.1. 재미없는 만화

파일:Uninteresting Manga-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마법=, 일반=,
한글판명칭=재미없는 만화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おもしろくないまんが,
영어판명칭=Uninteresting Mang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없음,
발동효과=서로의 덱 위에서 카드를 1장씩 묘지로 보낸다. 그 후\, 서로는 자신 묘지의 카드 1장을 고르고 덱으로 되돌린다.)]

유희왕 고 러시!! 36화에서는 더☆예티 유키오오도 유아무 서로가 듀얼 중 사용.

효과만 봐도 알겠지만 선공에 발동하면 덱을 셔플시키거나, 상대가 어떤 덱을 사용하는지 알기 위한 목적임을 제외하면 정말 1도 의미가 없는 카드이다. 원작에서도 듀얼에 승리하기 위해서라기 보단 유아무와 유키오 둘 다 더☆루그의 만화가 재미없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3.4. 함정 카드

3.4.1. 썰렁한 만화

파일:Dull Manga-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썰렁한 만화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さむいまんが,
영어판명칭=Dull Manga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몬스터(레벨 7 이상)를 일반 소환했을 때\,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묘지로 보내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그 일반 소환된 몬스터의 공격력은 턴 종료시까지 2000 내린다. 일반 소환된 몬스터가 물 속성이었을 경우\, 추가로 상대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 1장을 고르고 주인의 덱 아래로 되돌릴 수 있다.)]

3.4.2. 다시 읽어봐도 재미없는 만화

파일:UninterestingMangaYouWouldntReadAgain-JP-Anime-GR.png

[include(틀:유희왕 러시 듀얼/카드, 함정=, 일반=,
한글판명칭=다시 읽어봐도 재미없는 만화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명칭=よみかえしてもおもしろくないまんが,
영어판명칭=Uninteresting Manga You Wouldn't Read Again (미발매\, 비공식 번역명\),
조건=상대가 앞면 표시로 몬스터(레벨 7 이하)를 일반 소환 / 특수 소환했을 때\, 자신 묘지의 "재미없는 만화" 또는 "썰렁한 만화" 1장을 덱으로 되돌리고 발동할 수 있다.,
발동효과=자신 필드의 앞면 표시 몬스터(물속성) 1장을 고르고\, 그 공격력을 턴 종료시까지 4600 올린다. 상대의 묘지에 "재미없는 만화" 또는 "썰렁한 만화" 가 있을 경우\, 추가로 자신은 5장 드로우할 수 있다.)]

공격력 증가 수치가 4600인 이유는 '재미없는(面白くない;오모시로쿠나이)' 중에서 '시로쿠'를 고로아와세로 4, 6이라고 읽을 수 있어서다.
[1] '재미없는(面白くない)'와 발음이 같은 '흰꼬리가 아닌(尾も白くな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