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31 04:09:09

홍랑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무협소설 풍종호 월드에 나오는 개념에 대한 내용은 홍랑(투검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온라인 게임 바람의나라의 가이드북의 집필자에 대한 내용은 바람의 나라(게임)/가이드북 문서
2.2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동명의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은 홍랑(만화)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민수현의 노래에 대한 내용은 홍랑(민수현)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개요2. 생애

1. 개요



洪娘. 조선 선조대의 기생으로 황진이, 이매창과 함께 뛰어난 문학 작품을 남긴 기녀로 손꼽힌다. 홍랑의 경우 기생으로서의 정조를 노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생몰년도는 미상이고 함경도 홍원현 출신이라고 전해진다.

2. 생애

조선 시대 3당 시인 중 하나였던 고죽 최경창이 1573년(선조 6년) 북도평사로 발령받아 임지로 갈 때, 함경도 홍원현현감이 이를 축하하기 위해 연회를 열었고 이 때 홍원현 관기(官妓) 홍랑과의 첫 만남이 이뤄진다. 하지만 관기였던 신분 탓에 최경창을 따라가지 못했고, 첫 만남은 짧게 끝나고 만다. 2년 후인 1575년 최경창은 함경도에서 돌아와 큰 병을 얻었는데[1], 이 소식을 들은 홍랑은 관기의 신분에도 불구하고[2] 밤낮으로 길을 걸어 7일만에 서울에 도착해 최경창을 지극정성으로 간호했다. 덕분에 최경창은 쾌차했으나 사사로이 관기를 불러들였다는 죄로 탄핵을 피할 순 없었다. 이후 홍랑은 다시 함경도 홍원현으로 돌아갔고, 최경창은 그녀에게 작별선물로 <증별>이란 시 한 수를 건네주는데 이것이 이들의 살아생전 마지막이었다.

1583년 최경창이 45세의 나이로 세상을 뜨자 홍랑은 시묘살이를 자처한다. 이때 그녀는 자신의 용모를 훼손해 다른 남자들의 접근을 막고 오로지 시묘만 했는데, 3년간 시묘살이를 하고 3년 후에도 그 근방에서 묘를 지켰다고 한다.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최경창의 시를 챙겨 고향으로 피난, 그 후 난이 가라앉자 되돌아왔다. 홍랑 사후에는 최경창 부부의 합장묘 바로 아래에 묻혔다. 이건 정말 엄청난 건데, 그 고지식한 양반가에서 기생을 가문의 한 사람이나 마찬가지로 대우해줬다는 거다! 더군다나 관에 속한 기생의 경우에는 원래 빼돌리는 것 자체도 불법이었다.

홍랑의 이름을 모르는 사람도 다음 시조는 한번쯤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묏버들가(歌)>, 묏버들 가려 꺾어로 불리는 이 시조는 원래 제목이 없었으나, 훗날 최경창이 제목을 붙여준 것이다.
묏버들 갈해 것거 보내노라 님의 손대 (묏버들 골라꺾어 보내노라 님에게)
자시난 창밧긔 심거두고 보소서 (자시는 창밖에 심어두고 보소서)
밤비에 새님곳나거든 날인가도 너기소서 (밤비에 새잎나거든 나인가도 여기소서)

KBS에서 방영했던 역사 프로그램인 <한국사 전(傳)> 50회에서 최경창과 홍랑의 기막힌 사랑 이야기를 다루기도 했다.


[1] 회은집에 '을해년(1575년)에 내(최경창)가 병들어 누워 봄부터 겨울까지 자리를 떠나지 못했다'란 기록이 나온다.[2] 관기는 자신의 고장을 벗어나는 것을 금지했다. 다만 실제 역사에서는 이곳 관기들이 한양에서 법을 어기고 사는 일도 빈번했다. 이 당시는 양계는 인구가 많아야 한다며 이사를 제대로 못하게 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