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1-30 13:05:24

헌종(레)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C9AE00, #f0c420 20%, #f0c420 80%, #C9AE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670000> 초대 제2대 제3대 제4대
태조 태종 인종 전폐제
<rowcolor=#670000> 제5대 제6대 제7대 제8대
성종 헌종 숙종 위목제
<rowcolor=#670000> 제9대 제10대 제11대 제12대
양익제 중폐제 소종 공황
<rowcolor=#670000> 제13대 제14대 제15대 제16대
장종 중종 영종 세종
<rowcolor=#670000> 제17대 제18대 제19대 복위
경종 신종 진종 신종
<rowcolor=#670000> 제20대 제21대 제22대 제23대
현종玄宗 가종 희종 유종
<rowcolor=#670000> 제24대 제25대 제26대 제27대
후폐제 순종 의종 현종顯宗
<rowcolor=#670000> 제28대 감국 복위
민제 숭양공 민제

}}}}}}}}} ||
<colbgcolor=#EEBF2D><colcolor=#670000>
후 레 왕조 제6대 황제
헌종 | 憲宗
출생 1461년 9월 6일
사망 1504년 6월 24일 (향년 42세)
재위기간 후 레 왕조 제6대 황제
1497년 3월 9일 ~ 1504년 6월 24일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EEBF2D><colcolor=#670000> 성씨 레 (Lê / 黎 / 여)
짜인 (Tranh / 鏳 / 쟁)
부황 성종
모후 휘가태황태후
형제자매 14남 20녀 중 장남
자녀 슬하 6남
차남 위목제
3남 숙종
묘호 헌종 (憲宗)
시호 체천응도무덕지인소문소무선철흠성창효예황제
(體天凝道懋德至仁昭文紹武宣哲欽聖彰孝睿皇帝)
}}}}}}}}} ||

1. 개요2. 생애

[clearfix]

1. 개요

베트남 후 레 왕조의 제6대 황제. 묘호는 헌종(憲宗), 시호는 체천응도무덕지인소문소무선철흠성창효예황제(體天凝道懋德至仁昭文紹武宣哲欽聖彰孝睿皇帝), 휘는 여쟁(黎鏳/Lê Tranh: 레짜인). 제5대 황제 성종의 아들이다.

2. 생애

1497년, 아버지 성종이 사망하자, 여쟁은 그 뒤를 이어서 황제로 즉위하였다. 헌종이 재위기간이 짧아서 별다른 기록이 없다. 다만 그의 치세에 물레방아를 이용한 농법이 등장한다.

1504년, 재위 7년 만에 헌종은 43세의 나이로 사망하였다. 아들 여순(黎㵮/Lê Thuần: 레투언)이 후사를 이으니 그가 숙종이다.

숙종 역시 요절하자 레 왕조 조정은 폭군의 연이은 즉위로 힘을 잃었으며, 그 결과 1527년에 막등용(莫登庸/Mạc Đăng Dung: 막당중)이 후여조의 제위를 찬탈하면서 대월은 분열기에 들어가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