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9 02:56:31

헌원검: 푸른 반짝임

헌원검: 푸른 반짝임 (2018)
軒轅剣 蒼き曜
파일:헌원검푸른반짝임_애니키비주얼.png
{{{#373a3c,#dddddd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장르 시대극
원작 SOFTSTAR(ソフトスター)
감독 와타나베 히로시
시리즈 구성 타카야마 카츠히코
캐릭터 디자인 치바 미치노리
프롭 디자인 사와무라 토오루(澤村 亨)
메카닉 디자인 타니 유지(谷 裕司)
미술 감독 미야케 마사카즈(三宅昌和)
미술 설정 타카하시 타케유키(高橋武之)
아오키 토모유키(青木智由紀)
카와이 야스토시(河合泰利)
요코타 코조(横田耕三)
와타나베 히로시
색채 설계 카츠라기 이마리(桂木今里)
촬영 감독 카와구치 마사유키(川口正幸)
3D 감독 오오시마 신스케(大嶋慎介)
편집 코이케 유키(小池祐樹)
음향 감독 하마노 카즈조우(ハマノカズゾウ)
음악 홋타 세이지(堀田星司)
음악 제작 드라이브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蔡明宏
張孝全
아카오 슈(赤尾 周)테레비 도쿄
프로듀서 徐小瀧
야마우치 미라이(山内未來)테레비 도쿄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
이치오카 다이스케(市岡大輔)
애니메이션 제작 스튜디오 딘
제작 헌원검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 2018. 10. 02. ~ 2018. 12. 25.
방송국 파일:일본 국기.svg 테레비 도쿄 / (화) 02:05
편당 러닝타임 24분
화수 13화
시청 등급 정보 없음
관련 사이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

1. 개요2. 공개 정보3. 등장인물
3.1. 주역3.2. 반란군3.3. 태백제국3.4. 기타 인물
4. 주제가
4.1. OP4.2. ED
5. 회차 목록6. 관련 작품

[clearfix]

1. 개요

대만의 SOFTSTAR사가 만든 게임 헌원검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감독은 와타나베 히로시. 캐릭터 디자이너는 치바 미치노리로 북으로 Diamond Dustdrop에 이어 스튜딘 애니에 두번째로 캐디담당 및 일부 성우들 역시 치바 미치노리가 참여한 애니에 출연한 전적이 있다.

2. 공개 정보

시리즈 중 7번째 작품인 창지도蒼之濤[1]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스토리. 창지도의 400년 후 시대를 배경으로 한다.[2]

원작은 춘추전국시대의 진나라와 더불어 진문공, 진목공, 부견의 시대를 모티브로 삼고 있다고 하며, TVA 작중에서도 해당 중국역사와 비슷한 설정들이 언급된다.

3. 등장인물

3.1. 주역

3.2. 반란군

3.3. 태백제국

3.4. 기타 인물

4. 주제가

4.1. OP

OP
嘆きの華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미즈키 나나
작사 이와사토 유호(岩里祐穂)
작곡 요시키 에리코(吉木絵里子)
카하라 다이스케(華原大輔)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와타나베 히로시
연출
작화감독 치바 미치노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4.2. ED

ED
願いの花
TV ver.
Full ver.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노래 9nine
작사 야마다 류헤이(山田竜平)
작곡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dddddd,#010101><colcolor=#373a3c,#dddddd> 콘티 와타나베 히로시
연출
작화감독 치바 미치노리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가사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 ||

5. 회차 목록

<rowcolor=#373a3c,#dddddd> 회차 제목[26] 콘티 연출 작화감독 총작화감독 방영일
제1화 [ruby(濫觴之故, ruby=らんしょうのゆえ)]
기원의 까닭
와타나베 히로시 와타나베 히로시 카메타니 쿄코
(亀谷響子)
카츠라기 안즈
(桂木 杏)
야마무라 토시유키
(山村俊了)
카메타니 쿄코 2018.10.02.
제2화 [ruby(追憶之業, ruby=ついおくのごう)]
추억의 업
요시다 슌지
(吉田俊司)
요시다 와카코
(吉田和香子)
아오이 후타바
(蒼依ふたば)
요시다 류이치로
(吉田龍一郎)
요시다 와카코
아오이 후타바
2018.10.09.
제3화 [ruby(悲嘆之刀, ruby=ひたんのかたな)]
비탄의 칼날
와타나베 신이치 와타나베 마사히코
(渡辺正彦)
카츠라기 안즈
나카지마 요시코
(中島美子)
야마무라 토시유키
아오이 후타바 2018.10.16.
제4화 [ruby(天命之戯, ruby=てんめいのぎ)]
천명의 연극
유키히로 마츠시타
(ユキヒロマツシタ)
우에노 타케히로
(上野壮大)
와타나베 마사히코
모리타 미노루
(森田 実)
노미치 카요
(野道佳代)
후지타 마사유키
(藤田正幸)
요시다 와카코
카메타니 쿄코 2018.10.23.
제5화 [ruby(雄飛之勇, ruby=ゆうひのゆう)]
웅비의 용기
와타나베 신이치 마타노 히로미치
(又野弘道)
아오이 후타바
아베 마사미
(アベ正己)
야마무라 토시유키
오노 아키라
(小野 晃)
시라카와 마리
(白川茉莉)
키쿠치 코이치
(菊地功一)
나카지마 요시코
미즈노 유미코
(水野友美子)
타나카 미도리
(田中みどり)
아오이 후타바 2018.10.30.
제6화 [ruby(二人之絆, ruby=ふたりのきずな)]
두명의 인연
유키히로 마츠시타 사사키 스미토
(佐々木澄人)
나카야마 츄지
(なかじまちゅうじ)
Wang Ming
요시다 와카코 2018.11.06.
제7화 [ruby(錯綜之念, ruby=さくそうのねん)]
뒤섞인 생각
니이도메 토시야
(新留俊哉)
요시다 슌지 타토바 죠
(たとば 丈)
요코야마 사유미
(横山紗弓)
아사이 아키토
(浅井昭人)
모리모토 히로후미
(森本浩文)
카메타니 쿄코 2018.11.13.
제8화 [ruby(黒火之鎧, ruby=くろびのよろい)]
흑화의 갑옷
와타나베 신이치 와타나베 마사히코 카츠라기 안즈
후지타 마사유키
요시다 류이치로
야마무라 토시유키
요시다 와카코 2018.11.20.
제9화 [ruby(謀略之宮, ruby=ぼうりゃくのみや)]
모략의 궁정
유키히로 마츠시타 세키히로
(関大)
마츠모토 카즈시
(松本和志)
아오이 후타바 2018.11.27.
제10화 [ruby(詰問之雫, ruby=きつもんのしずく)]
힐문의 빗방울
와타나베 신이치 우에노 타케히로 요시오카 토시유키
(吉岡敏幸)
나카야마 타케히로
(中山岳大)
나카지마 요시코
야마무라 토시유키
우츠기 이사오
(宇都木 勇)
와타나베 히로시
카메타니 쿄코
요시다 와카코
2018.12.04.
제11화 [ruby(愛憎之刃, ruby=あいぞうのやいば)]
애증의 칼날
후쿠다 미치오 요시다 슌지 야마다 마사키
카메타니 쿄코
미나미 신이치로
아오노 아츠시
우츠기 이사오
사이토 카오리
(斉藤香織)
타토바 죠
요시다 와카코
카메타니 쿄코
2018.12.11.
제12화 [ruby(忘却之罪, ruby=ぼうきゃくのつみ)]
망각의 죄
유키히로 마츠시타 와타나베 마사히코 야마무라 토시유키
호소야마 마사키
(細山正樹)
쥬몬도
(寿門堂)
아오이 후타바
요시다 와카코
2018.12.18.
제13화 [ruby(天空之要塞, ruby=てんくうのようさい)]
천공의 요새
카와세 토시후미 와타나베 히로시
마타노 히로미치
나카야마 타케히로
(中山岳洋)
요시다 류이치로
모리 에츠히토
(森 悦史)
우츠기 이사오
안도 마키
(安藤真喜)
핫토리 마스미
(はっとりますみ)
야마무라 토시유키
미나미 신이치로
와타나베 히로시
카메타니 쿄코
요시다 와카코
아오이 후타바
2018.12.25.

6. 관련 작품



[1] 헌원검4의 외전으로 시리즈 중에서 가장 시나리오에 대한 평가가 높아서 소설로도 만들어졌었다.[2] 애니메이션 결말이 게임과도 연관되어 있다.[3] 주제곡 아티스트. 또한 같은 캐릭터 디자이너가 참여한 바실리스크 코우가 인법첩에서도 히로인 오보로를 연기했다.[4] 어릴 때 푸쇼가 고백하려고 후네이에게 후인을 불러달라 부탁했는데, 푸쇼를 좋아해던 후네이는 후인에게 엉뚱한 장소를 말해줬다. 후인 역시 푸쇼를 좋게 보고 있었고 당시 두 사람의 이야기를 엿들어서 진상을 알고 있음에도 후네이를 위해서 일부러 양보하기 위해 속아줬는데, 하필 그 날 제국군이 유목민 캠프에 약탈을 하러 오는 바람에 두 사람은 화를 당하고 엉뚱한 장소에 있던 후인만 무사할 수 있었다.[5] 역시 같은 디자이너가 참여한 건담 더블오에서 네나 트리니티미나 카마인을 연기했다. 허나 본 케릭터 성은 네나보다는 그 피해자인 루이즈 할레비에 가깝다.[6] 이는 어릴 때 제국군의 약탈에 잡혀 노예로 끌려가게 된 푸쇼를 붙잡고 놓지 않다가 군인의 칼에 양 팔이 잘려버렸기 때문이다. 다만 불행 중 다행인지 이때 정신을 잃은 것이 죽은 것으로 생각돼서 방치된 바람에 오히려 살아남을 수는 있었다.[7] 발뿐만아니라 원피스의 조로처럼 입에 검을 물고 공격하는 것도 가능하다.[8] 윤에 의해 받은 의수가 보통의 의수가 아니라 병기가 수납된 형태였다.[9] 그 작품에서는 시끄러*3, 여기에서는 싫어*3[10] 병기요새의 파편에 깔렸고 그 동력원이 폭주하여 서두르지 않으면 폭발에 휘말려 사망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그것을 지켜볼 수 없었던 인의 판단으로 동생의 다리를 자른 후 탈출에 성공하게 된 것이다.[11] 보쿠코우와는 달리 기관술이라는 기술 자체를 동경하는 나머지 자동기계의 쓰임새나 그것이 초래하는 결과가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은 희미했다. 이로 인해 후에 갈등을 겪게 된다.[12] 푸쇼는 그녀가 유일하게 사적인 자리에서 말 안놓으면 목을 벤다고 협박해서말을 편하게 할 수 있는 포지션이 된다. 론쵸도 푸쇼를 오빠라고 부른다.[13] 아버지가 사용했던 능력을 그녀도 사용하게 된다. 다만 이 재능이 아버지의 것보다 더 뛰어났을 것이라는 건 그녀를 비롯 주변 사람들도 알지 못했던 모양.[14] 기억의 조각을 봉인하고 있었으나, 판부인과 대처하면서 그때의 진실과 마주하게 된다.[15] 일단 기계이므로 인간의 식사는 하지 않는다.[16] 의수를 만들어 네이에게 준 것도 이 캐릭터의 역할.[17] 건담 에이지에서 같은 리더 포지션인 돌 프로스트를 연기했다. 매지션즈 8와는 달리 반란군의 팀워크도 꽤 좋은 편이다.[18] 건담 더블오에서 랏세 아이온을, 에이지에서 그로덱 아이노아를 연기했다. 셋 다 크든 적든 주인공쪽 동료이자 주인공에게 여러모로 멘토 역할을 한다는게 공통점[19] 이 과정에서 설계도를 가지고 반란군에 넘어왔다.[20] 역시 철혈의 오펀스에서 맥머드의 부하로 단역 출연한 바 있다.[21] 성우는 M.A.O로 같은 캐릭터 디자이너가 참여한 철혈의 오펀스에서 줄리에타 쥬리스를 연기한 바 있다.[22] 건담 에이지에서 프로이 오르페노아를 연기했다. 다만 살아남기 위해서 비겁하게 적과 결탁한 프로이와는 달리 이쪽은 통일을 위해 희생을 치룬다 해도 끝까지 정당하게 행동하는 것을 바란 편이다.[23] 이를 실행한 암살자의 성우는 토비타 노부오로 철혈의 오펀스에서 래스커 알레지를 연기한바 있다.[24] 즉 론쵸가 사망하게 되면 이 캐릭터가 새로운 황제가 된다.[25] 정확히는 누명을 쓴 가족들이 처형당할 때에 당시 어렸던 그녀는 목숨을 건진 대신에 다리를 잘렸다.[26] 한국에서는 정식 공개가 이뤄지지 않는 작품이므로 한국어 번역 제목은 임의로 서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