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bgcolor=#dddddd,#000000><colcolor=#000000,#dddddd> 허버트 클리포드 Herbert Clifford | |
| |
본명 | 허버트 존 클리포드 Herbert John Clifford |
출생 | 1789년 |
영국령 북아메리카 노바스코샤 | |
사망 | 1855년 9월 9일 |
그레이트브리튼 및 아일랜드 연합왕국 트러모어 | |
국적 |
[1] |
학력 | 핼리팩스 그래머 스쿨 (Halifax Grammar School) |
종교 | 개신교 |
직업 | 군인 |
소속 | 영국 해군 |
1. 생애
1789년 부모 후드 매켄지 클리포드와 사라 오거스타 사이에서 영국령 노바스코시아에서 출생.
두번 결혼하였으며, 첫 부인의 이름은 루신다 해밀턴, 두번째는 제인 버나드 였다.
1855년 9월9일 아일랜드 워터포드 트라모어 (Tramore , Waterford , Ireland)에서 사망.
노바스코시아 소재 핼리팩스에서 자랐으며, 그곳의 핼리팩스 그래머 스쿨 (Halifax Grammar School)에서 후일 워털루 전투에 참전한 존 벡위드(John Charles Beckwith)와 다녔다.
2. 활동
1802년에 왕립해군에 입대했으며, 1805년에는 HMS Leander에 배치되어 프랑스 프리깃함인 빌 드 밀라노를 나포하는 작전에 참여했다. 또한 모리셔스 전역에서 프랑스 해군에 나포된 프리깃 HMS 아프리캔(Africaine)을 탈환하는 작전에 투입된 HMS 보아디케아(Boadicea) 에 탑승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 세인트 헬레나에 유폐된 나폴레옹 1세와 만나는 경험을 하기도 했다.
나폴레옹 전쟁 중인 1809에서 1811년까지 모리셔스 전역에서 복무했다. 나폴레옹 전쟁이 끝난 후인 1816년에는 애머스트 경(William Pitt Amherst, 1st Earl Amherst GCH PC)이 특임대사로 부임할 때 탑승한 HMS 알쎄스트(Alceste)와 함께 파견된 HMS 라이라(Lyra)에 탑승했다. 동아시아 파견시기 클리포드는 라이라의 서해안의 조선령 섬을 탐사하는 과정에서 백령도에서 주민들에게 성경을 전해줬다는 이야기가 있다. 그 후 귀로에서 대유구(大琉球, Great Loo-Choo)[2]에 방문했다.
그리고 이때 유구어(오키나와 방언) 자료로 서구에서 가장 중요한 자료인 대유구 어휘집(Vocabulary of the Language Spoken at the Great Loo-Choo Island)을 정리했다.
그는 결혼의 조건으로 함상 근무를 원치 않는 장모의 반대로 왕립해군에서 전역한 후에 아일랜드 세관에 대위로 1817년에 입대한다.
그리고 1823에서 1855년까지 아일랜드 워터포드에 주둔한 해안경비대의 감독관으로 복무하다 사망했다. 최종계급은 대령(Captain)으로 알려졌다.
그는 아시아 기독교 선교와 서구의학 전파에 큰 영향을 끼친 선교사이자 의사인 베텔하임(Bernard Jean Bettelheim)을 파견한 루추 해상 선교회(Loo Choo Naval Mission)를 1842년에 설립했다.
3. 여담
국내에는 마스터 앤드 커맨더 시리즈로 알려지기도 한 패트릭 오브라이언의 '오브리-머투린 시리즈(Aubrey–Maturin series)의 네번째 작품인 모리셔스 코맨드(The Mauritius Command)에서 HMS 보아디케아 시절의 클리포드가 등장한다.
클리포드는 동아시아 선교에 대한 루추 해상 선교(LNM) : The Claims of Loochoo on British Liberality, London, 1850, 5th edition 를 작성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