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0 23:38:05

한국항공대학교/대학원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한국항공대학교

파일:한국항공대학교 시그니처(화이트).svg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00297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대학 정보
학부 대학원 캠퍼스
동아리·소모임 사건사고 출신 인물
}}}}}}}}}}}} ||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한국항공대학교의 대학원
공학계열 이학계열 인문·사회계열
1. 개요2. 일반대학원
2.1. 공학계열
2.1.1.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2.1.2. 항공전자정보공학과2.1.3. 컴퓨터공학과2.1.4. 신소재공학과2.1.5. 스마트항공모빌리티학과2.1.6. 인공지능학과2.1.7. 반도체학과
2.2. 이학계열
2.2.1. 항공운항관리학과2.2.2. 항공교통물류학과
2.3. 인문·사회계열
2.3.1. 경영학과2.3.2. 항공우주법학과(석사과정)

1. 개요

한국항공대학교의 대학원에 대한 문서이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대학원 입학안내 홈페이지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Graduate school admissions guide website for foreigner

2. 일반대학원

2.1. 공학계열

공학계열
-
학과 전공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 열 및 유체공학
구조 및 재료공학
생산 및 시스템공학
제어 및 동역학
항공전자정보공학과 항공전자공학
정보통신공학
항공전자정보공학
신소재공학과 금속/경량신소재
전자/반도체소재
광기능/디스플레이소재
환경/에너지소재
컴퓨터공학과 컴퓨터시스템 (Computer Systems)
시스템 소프트웨어 (System Software)
응용 소프트웨어 (Application Software)
항공 소프트웨어
스마트항공모빌리티학과 무인기유도제어
무인기구조설계
무인기동력추진시스템
무인기운용
인공지능학과
반도체학과

2.1.1.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

전공
전공 세부내용
열 및 유체공학 열역학, 열전달, 추진기관, 항공역학, 유체역학, 연소공학 등
구조 및 재료공학 고체역학, 기체구조, 복합재료, 파괴역학, 공탄성 등
생산 및 시스템공학 생산기계설계, 최적설계, 용접, 공작기계, CAD/CAM, 위성시스템, 항공기계기시스템, 신뢰성공학 등
제어 및 동역학 비행역학, 자동제어, 메카트로닉스, 유공압제어, 위성제어, 진동 및 소음, 로봇공학 등

기계공학은 모든 산업의 기반을 이루고 항공 및 우주공학은 고부가가치의 첨단 산업으로 상호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따라서, 본 학과에서는 항공, 우주 및 기계분야의 폭넓은 교과과정을 통하여 고도의 설계능력을 갖춘 엔지니어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학과는 각 분야에 해당되는 우수한 교수들로서 구성되어 다양한 실험실을 운영함으로서 각 분야에 대한 수준 높은 교육과 연구 뿐만 아니라 항공, 우주 및 기계분야가 접목되는 교육과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황재혁 공학박사(미국, UC 버클리, 1990) 동역학 [1]
김석일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1990) 공작기계[2]
이수용 공학박사(미국, Stanford대, 1989) 복합재료[3]
김종선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1989) 제어계측[4]
구자예 공학박사(미국, Wisconsin대, 1991) 연소 및 추진 [5]
이 열 공학박사(미국, Pennsilvania주립대, 1992) 유체공학[6]
송용규 공학박사(미국,Michigan대, 1992) 비행제어[7]
박정선 공학박사(미국, Michigan대, 1993) 구조역학[8]
오화석 공학박사(미국, Texas A&M대, 1992) 위성동역학 및 제어[9]
김문상 공학박사(미국, Illinois주립대, 1991) 전산유체역학[10]
최주호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1987) 최적설계[11]
장영근 공학박사(미국, Tennessee주립대, 1991) 위성시스템[12]
문희장 공학박사(프랑스, Univ. De Rouen, 1991) 난류[13] [14]
김병규 공학박사(미국, Wisconsin대, 1997) MEMS[15]
성홍계 공학박사(미국,Pennsilvania 주립대, 1999) 항공우주추진[16]
장석필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03) 열전달[17]
이상철 공학박사(미국,Texas A&M대, 1994) 항공기시스템[18]
권상주 공학박사(포항공대, 2002) 제어 및 로봇공학[19]
김정래 공학박사(미국, 텍사스 대학교/오스틴 캠퍼스, 2000) 항공우주공학[20]
곽재수 공학박사(미국,Texas A&M대, 2002) 비행제어[21]
배재성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02) 공력탄성학[22]
고상호 공학박사(미국,캘리포니아대, 2005) 신호처리 및 자율제어[23]
강태곤 공학박사(포항공대, 2005) 전산유체역학[24]
노진호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06) 스마트 구조 및 재료
김경목 공학박사(Oxford Univ., 2006) 접촉역학, 트라이볼러지
이학구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2005) 복합재 구조설계
오태식 공학박사(미국,Virginia Tech,1988) 공기역학 및 추진
염대준 공학박사(영국,The university of Manchester,1996) 고체역학
박성우 공학박사(영국,Imperial College London,2012) 연소공학
오세혁 공학박사(미국,UC 버클리,2016) 전산유체역학
윤해성 공학박사(서울대학교,2015) 설계 및 생산
장대성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15) 제어 및 최적화
최경후 공학박사(미국, Texas A&M University, 2013) 나노스케일 열전달 및 에너지 하베스팅
이동헌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10) 유도 및 제어
조문성 공학박사(독일, Technical University of Berlin, 2015) 항공기 설계 및 생체모방공학

2.1.2. 항공전자정보공학과

전공
학과 전공 세부내용
항공전자공학 전자공학 전산공학, 영상처리, 반도체공학, 자동제어, 영상/음성신호처리, 플라즈마공학, 전자회로, 전자재료, 전자파 및 레이다, VLSI 회로설계, 마이크로파/밀리미터파
항공전자공학 항공전자 및 시스템, 위성항행시스템(CNS/ATM), 항행안전시스템, 레이다신호처리, 위성항법
전파공학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 전파항행, 이동 및 위성통신
정보통신공학 통신공학 위성통신, 신호처리, 통신방식, 부호이론, 마이크로파 회로설계, 초고주파 및 광통신, 뉴미디어, 이동통신, 무선통신
정보공학 컴퓨터통신망, 영상처리 및 패턴인식, 지식공학, 교환공학, 인터넷, 논리회로설계 및 합성, 정보보안, 시스템소프트웨어
항공전자정보공학 항공전자 및 제어시스템 항공전자, 전파항행, 항공전자 및 시스템, 위성항행시스템(CNS/ATM), 항행안전시스템, 레이다신호처리, 위성항법, 제어시스템
통신시스템 및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및 멀티미디어, 통신이론 및 통신시스템, 통신방식, 부호이론, 이동통신, 위성통신, 광통신,영상처리 및 패턴인식
마이크로파 및 집적회로 마이크로파 및 광전자, 집적회로설계, 마이크로파 및 안테나, 초고주파 통신, 회로 및 전력전자, 마이크로파/밀리미터파, VLSI 회로설계
컴퓨터정보시스템 및 네트워크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구조 및 구현기술, 네트워크 및 응용, 컴퓨터 시스템, 인터넷, 컴퓨터통신망, 무선통신, 병렬처리, 인공지능, IoT, 클라우드 컴퓨팅, 빅데이터, 논리회로설계 및 합성, 정보보안, 정보이론 및 시스템, 시스템소프트웨어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메모리, 비메모리, 디스플레이 모듈,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공정, 태양전지, 레이저, 플라즈마공학, 전자재료

본 학과는 항공전자, 제어시스템, 마이크로파, 집적회로, 통신, 신호처리, 컴퓨터시스템, 네트워크, 반도체, 디스플레이 분야의 이론과 실무를 겸비한 첨단 기술개발 능력배양을 통해 현장 맞춤형 고급인력, 산업체, 연구소 및 대학교에서 지도자적 역할을 담당할 수 있는 고급인력을 양성한다, 이를 위하여 석사 및 박사과정에서 심도 있는 연구와 체계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도록 세계적 경쟁력을 갖춘 교육 및 연구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항공전자정보공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권용진 공학박사(일본, 京都大, 1990) 정보통신융합기술[25]
김재곤 공학박사(KAIST, 2005) 비디오 신호처리/코딩, 디지털방송미디어, 미디어컨버전스[26]
김태환 공학박사(KAIST, 2010) 신호처리용 VLSI, 시스템 설계[27]
나종화 공학박사(미국, Arizona Univ., 1994) 컴퓨터구조, 광 컴퓨터 시스템[28]
도규봉 공학박사(미국, Virginia Tech., 1996) 광신호처리, 3D 전자홀로그래픽[29]
박형래 공학박사(미국, Syracuse Univ., 1993) 이동통신시스템, 통신신호처리[30]
백중환 공학박사(미국, Oklahoma Univ., 1991) 컴퓨터비젼, 영상처리[31]
안준선 공학박사(KAIST, 2000) 시스템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보안[32]
오병태 공학박사(미국, USC, 2009) 멀티미디어프로세싱, 3D 비디오시스템[33]
윤종호 공학박사(KAIST, 1990) 컴퓨터통신망, 항공/자동차용 실시간 데이터버스, 이더넷 시스템[34]
이동준 공학박사(KAIST, 2000) 이동통신망[35]
이명진 공학박사(KAIST, 2001) 멀티미디어 통신, 영상부호화영상보안[36]
이병섭 공학박사(미국, New Jersey Tech., 1990) 통신신호처리, 통신위성[37]
이성창 공학박사(미국, Texas A & M Univ., 1991) 네트워크 기술, 통신방송융합기술, 정보통신 응용[38]
이우경 공학박사(Univ. of College London, 1999) 인공위성시스템, 위성전자탑재체[39]
이재욱 공학박사(KAIST, 1998) 전자파 수치해석, 고출력 전자파 영향분석, EMI/EMC 연구[40][41]
이재환 공학박사(미국, Maryland Univ., 2012) 분산컴퓨팅, 빅데이터 및 클라우드[42]
이택경 공학박사(KAIST, 1990) 위성탑재안테나, 항공감시 및 전자파영상,
마이크로파소자 및 안테나, 전자파해석 및 레이다[43]
이형근 공학박사(서울대, 2002) 관성항법/위성항법, 위치정보, 측위 및 교통인프라[44]
정대권 공학박사(미국, Texas A&M Univ., 1990) 3D 실감오디오, 영상/음성 신호처리[45]
정동원 공학박사(미국, Georgia Tech, 2012) 무인항공기/로봇제어, 관성항법 및 센서
정영호 공학박사(KAIST, 2004) 이동통신, 통신신호처리[46]
정윤호 공학박사(연세대, 2005) 정보통신용 SOC설계[47]
조춘식 공학박사(Univ. of Colorado at Boulder, 1998) RFIC, 아날로그회로, 의료기기 회로 및 시스템[48]
최지훈 공학박사(KAIST, 2003) 무선통신, 신호처리, 모뎀설계[49]
한정희 공학박사(미국, Michigan Ann Arbor, 2004) 센서네트워크, 네트워크보안, 모바일 네트워크[50]
노영섭 공학박사(고려대,2005) 임베디드시스템,SW,이동통신[51]
이성욱 공학박사(서울대, 2018) 레이더 신호 처리, 차량용 레이더 시스템, 자율 주행을 위한 인공지능 알고리즘[52]
이장원 공학박사(미국, Univ. Indiana, 2018) 컴퓨터비전, 로봇비전, 인간-로봇 상호 작용[53]

2.1.3. 컴퓨터공학과

전공
전공 세부내용
컴퓨터시스템 분야 (Computer Systems) 컴퓨터구조, 마이크로프로세서 응용, 네트워크 보안, 인터넷 기술
시스템 소프트웨어 분야 (System Software) 운영체제, 프로그래밍 언어, 컴파일러
응용 소프트웨어 분야 (Application Software) 인공지능,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공학, 컴퓨터그래픽스, 정보검색, 시뮬레이션
항공 소프트웨어 분야 항공임베디드, 고신뢰SW, 항공제저SW, 무인자율시스템

컴퓨터공학과는 21세기 시대적 요구에 따라 컴퓨터 분야의 고급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설립되었으며 이러한 설립취지에 따라 다양한 컴퓨터 이론과 응용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과목 목표는 이론적 지식과 현실적 경험을 바탕으로 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고 학생들에게 빠른 기술적 변화에 유연히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시킴에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컴퓨터공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이긍해 공학박사 (미국, Virginia Tech, 1990) 프로그래밍언어/인터넷응용[54]
황수찬 공학박사 (서울대, 1991) 데이터베이스[55]
송동호 이학박사 (영국, Univ. of Newcastle, 1991) 운영체제/멀티미디어 시스템[56]
박종서 공학박사 (미국, Pennsylvania 주립대, 1994) 임베디드 시스템/정보보안[57]
온승엽 공학박사 (미국, Polytechic Univ., 1996) 컴퓨터그래픽스/비전[58]
이인복 공학박사 (서울대, 2004) 알고리즘[59]
김철기 공학박사 (한국, KAIST, 2005) 안전우선 시스템설계 및 검증[60]
길현영 공학박사 (미국, Pennsylvania 주립대, 2010) 서비스 컴퓨팅

2.1.4. 신소재공학과

전공
금속/경량신소재
전자/반도체소재
광기능/디스플레이소재
환경/에너지소재

본 학과는 재료공학의 분야의 고급기술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되었고, 주요 전공으로는 금속재료, 세라믹재료, 복합재료, 전자재료 등이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재료의 특성, 제조, 응용개발 등에 대한 체계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특히 대학원생 스스로 연구과제를 설정, 실행, 검토하게 함으로써 전문성은 물론 창의성과 진취성을 고루 갖추는데 교육의 중점을 두고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신소재공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이상율 공학박사(미국, Illinois Inst. of Tech., 1988) 표면개질/내열합금[61]
송요승 공학박사(미국, Univ. of Wisconsin, 1990) 표면공학[62]
이인규 공학박사(미국, Univ. of Michigan, 1992) 고주파재료/전자재료[63]
장시영 공학박사(일본, Tokyo Inst. of Tech., 1997) 경량신소재/소성가공[64]
최용규 공학박사(포항공과대, 1998) 광소재/세라믹재료[65]
황완식 공학박사(싱가폴 국립대, 2008) graphene Nanoribbon Devices[66]

2.1.5. 스마트항공모빌리티학과

전공
전공 세부내용
무인기유도제어 동역학, 비행 역학, 자동 제어, 유도, 항법,추정, 임베디드 시스템, 센서, 신호처리,학습 등
무인기구조설계 구조, 진동, 공력탄성학, 소재/재료/물성,최적 설계
무인기동력추진시스템 열공학, 연소, 전기추진, 프로펠러, 배터리,에너지 등
무인기운용 교통관제 및 운영, 드론 활용, 통신,정책/경영, 학습, 네트워크, 감항 인증 등

스마트항공모빌리티학과는 다양한 산업, 안전∙편의 서비스 분야에서 활용 가능한 스마트드론 산업기반을 발전시키고 드론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한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본 학과에서는 항법 및 제어 시스템, 하드웨어 설계∙제작 기술 등 드론의 핵심기술을 폭넓은 교과과정을 통하여 고도의 설계 능력을 갖춘 엔지니어를 양성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본 학과는 각 분야에 우수한 교수들로서 구성되어 수준높은 교육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스마트항공모빌리티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스마트항공모빌리티학과 이수과목 및 대체과목 안내

교수 소개
송용규 공학박사(미국,Michigan대, 1992) 비행제어[67]
이상철 공학박사(미국,Texas A&M대, 1994) 항공기시스템[68]
성홍계 공학박사(미국,Pennsilvania 주립대, 1999) 항공우주추진[69]
고상호 공학박사(미국,캘리포니아대, 2005) 신호처리 및 자율제어[70]
곽재수 공학박사(미국,Texas A&M대, 2002) 가스터빈 및 열전달[71]
박상혁 공학박사(미국, MIT, 2004) 비행제어[72]
박성우 공학박사(영국,Imperial College London,2012) 연소공학
윤해성 공학박사(서울대학교,2015) 설계 및 생산
정동원 공학박사(미국,Georgia Tech, 2012) 무인항공기/로봇제어, 관성항법 및 센서
구자예 공학박사(미국, Wisconsin대, 1991) 연소 및 추진[73]
최주호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1987) 건전성예측관리, 신뢰성설계[74]
문희장 공학박사(프랑스, Univ. De Rouen, 1991) 난류 및 연소공학[75] [76]
김병규 공학박사(미국, Wisconsin대, 1997) MEMS[77]
장석필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03) 열전달[78]
배재성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2002) 공력탄성학 [79]
이명진 공학박사(KAIST, 2001) 영상처리, 영상시스템[80]
정윤호 공학박사(연세대, 2005) 시스템반도체 (SoC) 설계 [81]
황완식 공학박사(싱가폴 국립대, 2008) 나노소재 및 반도체[82]
장윤석 공학박사(Univ. of London, 1997) 생산시스템공학/RFID, SCM[83]
이금진 공학박사(미국, Georgia Tech, 2007) 공역분석/항공교통관리

2.1.6. 인공지능학과

미래 기술로만 여겨졌던 인공지능은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여 현시대를 주도하는 핵심적 견인차가 되었다. 딥러닝, 자연어처리, 컴퓨터비전, 음성인식, 논리추론, 플래닝, 에이전트 등 주요 분야별 기술 발전을 토대로 자율주행, 미래모빌리티, 로보틱스, 헬스케어, 뇌공학, 보안, 금융 등 다양한 융합 분야로의 확산이 진행되고 있다. 본 학과는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부응하기 위하여 분야별 인공지능 전문 교수진을 포진하여 인공지능 이론에 대한 심층 교육과 더불어 다양한 분야를 포괄하는 융합적 연구를 실시함으로써 이론과 실무적 활용 능력을 겸비한 글로벌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교수 소개
지승도 공학박사 (미국, Univ. of Arizona, 1991) 시뮬레이션/지능시스템[84]
최영식 공학박사 (미국, Univ. of Missouri at Columbia, 1996) 퍼지이론/정보검색 [85]
김선옥 공학박사 (한국, 연세대학교, 2019) 컴퓨터비전/인공지능
문의현 공학박사 (한국, The Ohio State University, 2019) 기계 학습/데이터 마이닝/ 고성능 컴퓨팅
정재훈 철학박사 (한국, The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at Stony Brook, 2021) 인공지능의 원리/ 양자 컴퓨팅/ 양자 인공지능

2.1.7. 반도체학과

많은 시간동안 반도체는 매우 빠른 발전을 거듭하여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반도체의 소자, 공정, 회로, 소재에 대한 연구도 다양한 방법을 거쳐서 진화해왔다. 다양한 반도체 종류와 서로 다른 시장의 변동은 산업을 더욱 치열하게 만들고 있다. 반도체 학과에서는 기존 방식에서 더 나아가 digital twin, AI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새로운 방식으로 반도체 교육과 연구에 집중하는 방식을 채택하였다. 교과는 설계위주로 운영하여 과학과 기술의 경계를 구분하지 않고, 원리와 원칙을 바탕으로 현재와 미래에 적합한 교육을 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것은 지식의 축적 보다 문제를 찾아내고 문제를 스스로 해결하는 창의적 문제해결 방식을 통해서, 미래의 반도체 분야 인재를 양성하고자 한다.
대학원 과정을 통해 대학원 졸업 후 소자, 공정, 회로, 소재의 기본 원리 원칙을 깨우치고 이를 최신 방법으로 응용하고 성취와 성과를 이룰 수 있도록 계속 변화를 수용하고 발전하는 방식을 통해 산업, 연구, 개발, 학계에 반드시 필요한 인재가 될 수 있는 것을 가장 우선으로 하여 운영한다.
교수 소개
최희환 공학박사(KAIST, 2001) 디스플레이, 플라즈마[86]
김영진 공학박사(KAIST, 2002) RFIC, 아날로그회로[87]
신명훈 공학박사(KAIST, 2000) 박막 태양전지, 고속 광/전자 신호처리, LCD[88]
전재홍 공학박사(서울대, 2001) 디스플레이, 박막소자[89]
황진영 공학박사(Michigan Ann Arbor Univ.,2013) 반도체 소자
김광은 공학박사(미국, Univ. of Wisconsin-Madison., 2018) 화합물반도체 융합공정
권도균 공학박사(미국, Pennsylvania State Univ., 2006) 전자 및 에너지 재료 연구실[90]
서종현 공학박사(서울대, 2002) 디스플레이소재[91]
운요한 공학박사(미국, North Carolina State Univ, 2012) 나노분석/광학응용

2.2. 이학계열

이학계열
-
학과 전공
항공운항관리학과 항공운항관리
항공우주법
항공교통물류학과 항공교통
교통
물류

2.2.1. 항공운항관리학과

전공
전공 세부내용
항공운항관리 Aeronautical Science, Human Factors, 공항계획 및 환경, 항공교통관리, 안전관리, 사고조사, 시험비행
항공우주법[92] 항공우주법, 항공우주정책, 공법, 사법

항공운항관리학과는 우리 나라 항공운항관리의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할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되었으며, 항공기 운항과 관련된 시설, 장비, 환경, 안전, 인원관리와 항공우주와 관련된 법률 및 정책 분야를 연구, 교육하고 있으며 국내 유일한 특수학과로서의 항공운송산업분야를 담당하는 정부나 공공기관 등이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양성과 교육에 대한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박사과정에서는 항공운항전공과 항공우주법 전공으로 나뉘어서 이학박사 및 법학박사를 수여한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항공운항관리전공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항공우주법전공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운항관리 전공 교수 소개
송병흠 공학박사(영남대, 2002) 공항계획/항공교통절차/공항환경(항공기소음)/항공기사고조사
장조원 공학박사(한국과학기술원, 1999) 응용공기역학/비정상유동/풍동시험/비행이론[93]
유병선 교육학석사(고려대, 1996) 항공교육학/항행안전시설/조종사자격관리
이장룡 공학박사(미국,Purdue Univ,2005) 항공안전
김현덕 이학석사(한국항공대,2011) 항공기 사고조사, Flight Operation
김경태 심리학박사(연세대,2014) AC Performance, CNS/ATM, 연구조사방법, 전문성, 교수법, 학습유형
김좌겸 이학석사(국민대,1992) 항공기상/대기과학
항공우주법 전공 교수 소개
김선이 법학박사(독일, 뮌헨 대학교, 1991) 민사법 [94]
황호원 법학박사(독일, Johannes Gutenberg Univ. Mainz, 2002) 형사법[95]

2.2.2. 항공교통물류학과

전공
전공 세부내용
항공교통(Air Transport) 항공교통론, 공항운영 및 관리, 공역계획 및 운영, 항공운송산업, 항공정책, 항공안전 및 보안, 항공사고조사, 항공인적요소
교통(Transportation) 교통계획, 교통시스템 운영관리, 교통공학, 첨단교통시스템, 대중교통, 교통류 이론 및 시뮬레이션, 교통경제, 교통정책
물류(Logistics) 물류관리, 물류정보, 물류회계, 보관하역, 화물운송, 복합운송, 항공화물, 기타 물류 관련 분야

본 학과는 항공운송, 교통 및 물류 제 분야의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하여 설립된 학과로서 항공교통전공, 교통전공, 물류전공으로 구분되며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이 운영된다. 항공교통전공 분야에서는 항공운송산업의 관리 및 운영, 공항계획 및 관리·운영, 항공정책 등의 교과목이 개설되고, 교통전공 분야에서는 교통계획, 교통운영, 지능형교통시스템 등 교통계획 및 관리·운영에 필요한 기본과목이 개설되며, 물류전공 분야에서는 물류관리, 화물운송 등의 교과목이 개설된다. 졸업생들은 항공관련 대학 및 연구소, 항공사, 화물운송업체, 교통관련 연구소 및 컨설팅 회사 등으로 진출하고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항공교통물류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김병종 공학박사(미국, Virginia Tech., 1993) 교통계획/공항계획[96]
이헌수 경영학박사(미국, Pennsylvania 주립대, 1991) 물류관리/물류정보
김원규 공학박사(미국, Virginia Tech., 1996) 교통공학/첨단교통시스템[97]
장윤석 공학박사(Univ. of London, 1997) 생산시스템공학/RFID, SCM[98]
백호종 공학박사(미국, Virginia Tech., 2000) 교통시스템공학/도시계획[99]
채준재 공학박사(미국, Texas A&M Univ., 2003) 산업공학/물류공학[100][101]
이금진 공학박사(미국, Georgia Tech, 2007) 공역분석/항공교통관리
최동현 경영학박사(Univ. of Nebraska-Lincoin, 2012) 물류, SCM
송보미 공학박사(서울대, 2015) 산업공학/기술경영
김휘양 경영학석사(한국항공대, 2011) 항공교통관리/공역관리
이기영 이학석사(한국항공대, 2019) 물류
김상현 공학박사(미국, Georgia Tech, 2013) 항공우주공학
김현미 공학박사(University of Maryland, 2018) 교통공학
김카이 경영학박사(Univ. of Nebraska, 2014) 운영관리/경영전략

2.3. 인문·사회계열

인문·사회계열
-
학과 전공
경영학과 마케팅관리 (Marketing Management)
재무관리 (Financial Management)
경영과학 (Management Science)
국제경영학 (International Business)
경영전략 (Strategies Management)
조직/인사관리(Organization/Human Resource Management)
항공경영 (Aviation Management)
경영정보관리 (Information Management (MIS))
생산관리(Operation Management)
항공우주법학과 항공우주법 (Air and Space Law)
항공우주정책 (Airspace Policy)
사법 (Civil Law)
공법 (Public Law)

2.3.1. 경영학과

전공
마케팅관리 (Marketing Management)
재무관리 (Financial Management)
경영과학 (Management Science)
국제경영학 (International Business)
경영전략 (Strategies Management)
조직/인사관리(Organization/Human Resource Management)
항공경영 (Aviation Management)
경영정보관리 (Information Management (MIS))
생산관리(Operation Management)

본 학과는 현대 기업경영에 대한 학문적 이론을 교육하고 이를 바탕으로 실제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제반문제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결할 수 있는 연구능력과 실무능력을 배양토록 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교육목표 하에서 교과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경영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이승창 경영학박사 (연세대, 1989) 마케팅관리
허희영 경영학박사 (서울대, 1993) 재무관리[102]
김강식 경영학박사 (독일, Mannheim대, 1990) 인사/조직관리[103]
윤문길 공학박사 (KAIST, 1992) 경영과학
이영수 경제학박사 (고려대, 1993) 경제학
이윤철 경영학박사 (서울대, 1995) 국제경영전략
이동명 경영학박사 (서울대, 1996) 인사/조직관리[104]
김기웅 경영학박사 (서울대, 1998) 회계학
박상범 경영학박사 (미국, Univ. of Nebraska, 1998) 재무관리
김진기 경영학박사 (State Univ. of New York at Buffalo, 2007) MIS[105]
박진우 항공학박사 (Univ. of New South Wales, 2005) 항공경영
이남령 경영학박사 (연세대, 2006) 회계학
이현철 공학박사 (Texas A&M Univ., 2004) 생산관리[106]
이상학 스포츠경영학박사(Indiana Univ., 2010) 마케팅관리
송운경 경영학박사(조지 워싱턴 대학교, 2013) 재무관리
양현석 경제학박사(고려대, 2012) 응용미시개량경제학
원상필 공학박사(성균관대, 2019) 기술경영학
김지희 경영공학박사(KAIST, 2018) 경영전략

2.3.2. 항공우주법학과(석사과정)

전공
항공우주법 (Air and Space Law)
항공우주정책 (Airspace Policy)
사법 (Civil Law)
공법 (Public Law)

본 학과는 일반 법학과에서 제공하는 교육과정에 추가하여 더 전문화된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학부에서 이수한 기초이론과 항공행정기관 및 산업체에서 터득한 경험을 토대로 국제항공공법, 국제항공사법, 국내항공법특강, 국제항공기구론 등의 과목을 이수함으로 전문지식을 함양할 수 있으며 또한 항공법, 우주법 및 항공우주정책 등의 전문교과목을 통해서 항공우주법 전문가로서의 지식을 배양할 수 있다. 특히 항공운항, 교통 경영 등 항공관련 제 분야와 연계하여 학생들은 폭 넓고 전문적인 이론과 지식을 배울 수 있는 기회도 부여된다. 박사과정은 항공운항관리학과에 설치되어 있다.

파일:한국항공대학교_UI.svg 항공우주법학과 운영내규 및 교과과정

교수 소개
김선이 법학박사(독일, 뮌헨대학교, 1991) 민사법, 항공사법[107]
황호원 법학박사(독일, Johannes Gutenberg Univ. Mainz, 2002) 형사법, 항공형법[108]

[1] 지능 진동 제어 시스템 연구실 : 각 동역학 계의 모델링 및 해석을 기반으로 진동 저감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어를 수행하며, 항공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진 항공기 개발연구 수행[2] 생산자동화실험실 : CAD/CAM에서부터 공작기계, 로봇, 시뮬레이션 분야, 공작기계 요소 해석의 CAE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를 연구 수행[3] 복합재료구조연구실 : 복합재료역학, 항공기구조 분야에 대한 연구 수행[4] 메카트로닉스실험실 : 자동제어, 메카트로닉스 분야에 대한 연구 수행[5] 추진 및 연소 연구실 : 가스터빈과 로켓엔진을 위주로한 추진 시스템의 열 유동장, 연소장 실험 및 해석 연구[6] 응용기체유동 연구실 : 충격파를 동반한 압축성유동 관련 연구를 비롯한 기타 유체공학 관련 연구수행[7] 비행제어실험실 : 무인항공기 비행제어 분야에 대한 연구 수행[8] 항공우주 구조시스템 설계 연구실 : 항공우주 위성 구조의 설계/해석 및 스텔스 기술 연구 수행[9] 위성제어실험실 : 위성 자세제어용 구동기 개발, 모터 설계 및 제어연구, 자세 결정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등의 연구를 수행[10] 전산유체공학실험실 : 열/유동 수치해석 프로그램을 이용한 열/유동 문제 연구[11] 시스템 최적설계 연구실 : 기계 및 항공 시스템의 수명신뢰성(Lifecycle Reliability)을 예측, 설계 및 최적유지관리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연구[12] 우주시스템연구실 : 시스템 엔지니어링을 적용하여 항공우주 시스템의 설계, 개발, 제작, 운용에 대한 연구 수행[13] 하이브리드 로켓추진 연구실 : 하이브리드 로켓추진 기관에 대한 연구 수행[14] 난류제어 및 연소 실험실 : 하이브리드로켓 연소특성 연구, 고체로켓 불안정성, 젤 추진제(Gel Propellant)에 대한 연구 수행[15] 우주 메커니즘 및 로봇틱스 연구실 : 기구 메커니즘 기반의 구조 설계, 해석, 시뮬레이션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등의 연구 수행[16] 고속추진 및 연소제어 실험실 : 공기흡입식 고속추진, 로켓추진, 친환경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 및 추진 제어를 연구[17] 마이크로&나노 열전달 연구실 : 나노유체의 열 물성 및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18] 항공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 비행체의 자세 제어 및 동역학, 항공전자 및 센서 시스템, 항공기 인증 표준화와 관련된 연구 수행[19] 로봇시스템제어 연구실 : 로봇 메커니즘 설계 및 시스템 제어에 관한 연구 수행[20] 위성응용연구실 : 위성체 및 위성항법시스템 등 위성관련 응용분야를 연구[21] 열유동제어연구실 : 위성체 및 위성항법시스템 등 위성관련 응용분야를 연구[22] 지능 진동 제어 시스템 연구실 : 각 동역학 계의 모델링 및 해석을 기반으로 진동 저감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어를 수행하며, 항공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진 항공기 개발연구 수행[23] 신호처리 및 자율제어 연구실 : 시스템 식별 및 고장진단 관련 신호처리와 다양한 산업 시스템의 제어연구[24] 미세/다물리 유동 연구실 : 자성입자 기반의 입자계의 미세 유동에 관한 모델링 및 카오스 혼합에 관한 연구 수행[25] 논리회로 연구실 : Unix 등을 이용한 네트워크 보안에 관한 프로그래밍과 논리회로의 설계 및 합성에 관한 연구[26] 미디어통신 연구실 : 차세대 비디오 코덱 국제표준(JVET), 360 비디오 /VR, 비디오 코덱(HVEC/H.265,. H.264), 실감미디어/ 디지털방송미디어, 웨어러블/IOT, 의료미디어, 멀티미디어 응용[27] 회로 및 시스템 연구실 : 신호처리 시스템의 VLSI 설계 및,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고려한 신호처리 알고리즘 개발[28] 고신뢰성 임베디드 시스템 연구실 : 융합 IT 분야의 임베디드 시스템의 신뢰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임베디드 HW & SW 신뢰성 평가방법, 분석방법 및 고장감내 프로세서 및 system-on-chip 타겟 개발 관련 연구 수행[29] 광신호처리 연구실 : Optical Fiber Sensor, Optical Signal/image Processing, Electro-holography, 3-D Image Processing 등을 연구[30] 이동통신연구실 : 이동통신시스템, MIMO, 대역확산 모뎀 설계, 레이다 신호 처리, 위치 추적 시스템, 적응 신호 처리 알고리즘 연구[31] 영상처리 연구실 : 영상처리, 패턴인식, 컴퓨터비전, 내용기반 비디오 요약, 비디오 감시 시스템, 멀티미디어 검색 등 연구[32] 시스템소프트웨어 연구실 : 안전한 컴퓨팅 환경 구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분석 기술 연구[33] 멀티미디어 신호처리 연구실 : 영상처리, 컴퓨터비전, 3차원 영상, 인공지능 기반 미디어 처리연구[34] 응용 네트워크 연구실 : Broadband Convergence Network(BCN) 통합망을 위한 기술 개발[35] 통신정보시스템 연구실 : 이동통신시스템 프로토콜과 이를 이용한 용응서비스 시스템에 대한 연구[36] 멀티미디어통신연구실 : 방송/통신 융합 환경을 위한 동영상 부호화 및 스트리밍, 지능형 영상분석, 멀티미디어시스템 구조 등을 연구[37] 위성통신 및 신호처리 연구실 : 제반 통신신호처리 및 위성통신기술 연구 수행[38] 스마트 컨버전스 연구실 : 유무선 모바일 융합 망 환경에서의 융합 서비스와 관련된, 스마트 TV, 클라우드 서비스, 3D 영상 응용 서비스 등과 관련된 주제들을 연구[39] 위성 전자 및 통신시스템 연구실 : 인공위성 시스템 및 미래 위성 통신 시스템 연구[40] 마이크로파&밀리미터파 연구실 : EM(Electromagnetic) Field Analysis and Simulation,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등 연구[41] 다중물리해석설계연구실 : 전기모터 분야에 대한 연구 수행[42] 분산 빅데이터 연구실 : 대용량 빅데이터 처리 및 인공지능 응용을 위한 분산 컴퓨팅 시스템 연구[43] 전자파 및 레이다 연구실 : 위성탑재안테나, 항공감시, 전자파영상, 마이크로파소자/안테나, 전파해석, 레이다 등을 연구[44] 항법 및 정보시스템 연구실 : 관성항법/위성항법/영상항법, 측위 및 교통 인프라 등 연구[45] 통신신호처리연구실 : 통신 및 방송 시스템 등의 영상신호와 음성신호의 압축, 처리 및 전송에 관하여 연구[46] 디지털통신실험실 :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 이동 방송시스템의 물리계층, MAC 계층 성능향상 기술, mobile IPTV, 스마트 그리드 통신 망 등 ICT 기반 융합 기술에 대한 연구 수행[47] SoC 설계 연구실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멀티미디어, 자율주행 차량용 ADAS 시스템을 위한 SoC설계 연구[48] 고주파회로 연구실 : 고주파회로 설계, 아날로그 회로설계, 바이오센서 설계, 레이더 Front-end 설계, 밀리미터파 시스템 및 회로 설계, 의료 및 생체신호 처리기기 등 연구[49] 통신신호처리 연구실 : 무선랜, 이동통신 시스템 등 무선통신 시스템을 위한 물리계층 및 low MAC 송수신 방식과 모뎀 구현을 위한 신호처리 알고리즘 연구 수행[50] 모바일 컴퓨팅 및 네트워크 연구실 : 모바일 컴퓨팅과 무선 및 모바일 네트워킹 분야의 이론과 실용기술에 대한 연구를 수행[51] Embedded Systems Lab. : Embedded Systems, Real-time Systems, Autonomous Aircrafts, Autonomous Vehicles, Medical Devices[52] Artificial Intelligence & Radar Lab. : 레이더 신호 처리 및 인공지능 알고리즘 연구[53] http://leejang.github.io/[54] 유비쿼터스 컴퓨팅 연구실 : 멀티미디어 프로세싱, 비디오 코덱, 3D 비디오 분야에 대한 연구수행[55] 데이터베이스 연구실 :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그 응용 분야 연구, 현재는 XML 데이터베이스, 기록물관리 시스템, 클라우드 컴퓨팅, Big Data 관리 및 활용 등에 대해 연구 수행[56] 항공SW 연구실 : 항공 SW 분야 연구, 현재는 UAV 자동비행, 지상관제시스템, 지능형 UAV에 대해 연구 수행[57] 네트워크 보안 및 시스템 디자인 연구실 : 침입탐지 시스템, 시스템 재활 및 재구성 기술 등의 시스템 및 네트워크 보안 연구를 수행[58] 스마트 데이터 연구실 : 멀티미디어, SNS, 데이터 마이닝 등의 스마트 기술에 기반한 미래 지향적인 융합 응용에 대한 연구[59] 알고리즘 설계 연구실 : 효율적인 알고리즘 및 자료 구조 설계 등을 연구[60] 안전성 우선 소프트웨어 연구실 : 항공기 및 안전성 우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구조 제안 및 검증 연구[61] 표면 기술 응용 연구 센터 : Sputtering을 이용한 Hard coating 합성 및 특성 평가, Sputtering을 이용한 Zn-Mg coating 합성 기술 개발, SPP를 이용한 나노유체 제조 및 분석, SPP를 이용한 의·생명공학 분야 적용 및 실용화 연구, SPP를 이용한 연료전지용 Bimetallic 나노입자 개발 등을 연구[62] 재료가공실험실 : 표면공학 분야에 대한 연구수행[63] 차세대 센서 융합 연구실 : 집적광학기술과 MEMS/나노 제작기술을 기반으로 집적광학 센서·소자, 나노 센서·소자 및 각종 전자 센서를 이용하여 친환경적인 전자센서 개발 연구[64] 기능성 친환경재료 연구실 : 최근 금속의 재활용 및 신기술들의 친환경화 추세에 맞춰 기능성 친환경 소재 연구[65] 비정질 재료분석 연구실 : 비정질 재료의 구조 및 전기적 광학적 특성 등을 연구[66] 나노 반도체 연구실[67] 비행제어 실험실 : 무인항공기 비행제어 분야에 대한 연구 수행[68] 항궁우주시스템 및 제어 연구실 : 비행체의 자세 제어 및 동역학, 항공전자 및 센서 시스템, 항공기 인증 표준화와 관련된 연구 수행[69] 고속추진 및 연소제어 실험실 : 공기흡입식 고속추진, 로켓추진, 친환경 고에너지 물질의 연소 및 추진 제어를 연구[70] 신호처리 및 자율제어 연구실 : 시스템 식별 및 고장진단 관련 신호처리와 다양한 산업 시스템의 제어연구[71] 열유동제어연구실 : 추진기관 및 가스터빈의 열전달과 유동현상에 대한 연구 수행[72] 항공우주 제어시스템 연구실 : 비행 동역학 및 자동 비행을 위한 유도/제어/항법 관련 연구를 수행[73] 추진 및 연소 연구실 : 가스터빈과 로켓엔진을 위주로한 추진 시스템의 열 유동장, 연소장 실험 및 해석 연구[74] 시스템 최적설계 연구실 : 기계 및 항공 시스템의 수명신뢰성(Lifecycle Reliability)을 예측, 설계 및 최적유지관리하기 위한 핵심기술을 연구[75] 하이브리드 로켓추진 연구실 : 하이브리드 로켓추진 기관에 대한 연구 수행[76] 난류제어 및 연소 실험실 : 하이브리드로켓 연소특성 연구, 고체로켓 불안정성, 젤 추진제(Gel Propellant)에 대한 연구 수행[77] 우주 메커니즘 및 로봇틱스 연구실 : 기구 메커니즘 기반의 구조 설계, 해석, 시뮬레이션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 등의 연구 수행[78] 마이크로&나노 열전달 연구실 : 나노유체의 열 물성 및 열전달 특성에 관한 연구[79] 지능 진동 제어 시스템 연구실 : 각 동역학 계의 모델링 및 해석을 기반으로 진동 저감 기법을 이용하여 설계 및 제어를 수행하며, 항공기 시스템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선진 항공기 개발연구 수행[80] 멀티미디어통신연구실 : 방송/통신 융합 환경을 위한 동영상 부호화 및 스트리밍, 지능형 영상분석, 멀티미디어시스템 구조 등을 연구[81] SoC 설계 연구실 : 인공지능, 사물인터넷, 무선통신, 멀티미디어, 자율주행 차량용 ADAS 시스템을 위한 SoC설계 연구[82] 나노 반도체 연구실[83] 유비쿼터스 기술 응용연구센터 : 차세대 물류기술의 핵심이 될 Ubiquitous 기술 (즉, RFID, WSN, Mobile)의 물류, 생산 분야에 대한 응용연구를 중점으로 진행함[84] 지능시스템 연구실 : 국방 모델링 및 시뮬레이션, 컴퓨터 보안, 지능시스템 디자인 방법론, 시뮬레이션 기반 인공생명, 교통 모델링, 지능 로봇 등을 연구[85] 데이터마이닝 연구실 : 데이터 마이닝 분야, 정보검색 분야, 클라우드 환경 기반 데이터 마이닝 등을 연구[86] 플라즈마 및 디스플레이 공정 연구실 : 공정용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공정 등 연구[87] 나노웨이브 집적회로 및 시스템 연구실 : 이동 통신용 반도체 IC 설계 및 시스템 연구(RFIC), SOC를 위한 IP 설계 등 연구수행[88] 광에너지 및 광소자 실험실 : 태양전지 및 신재생에너지, 반도체 광소자 등을 연구[89] 디스플레이 소자 연구실 : 다양한 반도체 재료를 적용한 소자 설계/특성 연구, 소자 제작을 위한 CAD 및 Simulation을 수행, 반도체 공정 장비를 이용한 소자 제작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등을 연구[90] SoC 설계 연구실 : 기능성 전자 재료 및 대용량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 및 물성 평가[91] 디스플레이공정 연구실 : 전기화학과 박막분석법을 이용하여 디스플레이용 박막패터닝 공정에 대한 연구 진행, Metal-oxide Thin Film Transistor, Flexible Display, Cu metalization 등을 연구[92] 본 학과에서 운영하는 전공이 법학 박사과정이며, 항공우주법학과는 석사과정만 운영하고 있다.[93] 응용공기역학 연구실 : 각종 물체의 공력특성 및 유동구조를 파악하는 기초연구를 수행하며 특히 곤충의 비행원리, 경계층 흐름제어 등 비정상 공기역학(unsteady aerodynamics) 분야 집중 연구[94] 항공우주법학 연구실 : 민법, 헌법, 형법, 상법 및 국제법등 기본적인 법률분야와 더욱 전문화된 항공법, 우주법 및 항공 우주정책 등 연구, 특히 항공운항, 교통 경영 등 항공관련 제 분야와 연계하여 필요한 법률, 정책을 연구[95] 항공우주법학 연구실 : 민법, 헌법, 형법, 상법 및 국제법등 기본적인 법률분야와 더욱 전문화된 항공법, 우주법 및 항공 우주정책 등 연구, 특히 항공운항, 교통 경영 등 항공관련 제 분야와 연계하여 필요한 법률, 정책을 연구[96] 교통물류연구센터 : 기존의 교통, 물류시스템의 계획, 운영, 설계기술과 IT 등 신성장동력 기술간의 융복합기술연구를 선도하는 교통물류 전문 연구센터[97] 미래교통물류연구센터 : 교통공학 분야에 대한 연구수행[98] 유비쿼터스 기술 응용연구센터 : 차세대 물류기술의 핵심이 될 Ubiquitous 기술 (즉, RFID, WSN, Mobile)의 물류, 생산 분야에 대한 응용연구를 중점으로 진행함[99] 항공교통시스템실험실 : 항공교통 분야에 대한 연구수행[100] 물류시스템 실험실[101] 유비쿼터스 기술 응용연구센터 : 차세대 물류기술의 핵심이 될 Ubiquitous 기술 (즉, RFID, WSN, Mobile)의 물류, 생산 분야에 대한 응용연구를 중점으로 진행함[102] 항공경영연구실 : 항공운송 및 항공우주산업과 항공사 경영 등에 대한 이론적 실증적 연구[103] 인사/조직관리 연구실 : 기업의 인사/조직 관리에 대한 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조직행동, 인적자원관리, 노사관계, 리더십 등의 분야 연구[104] 인사/조직관리 연구실 : 기업의 인사/조직 관리에 대한 경영에 초점을 맞추고 조직행동, 인적자원관리, 노사관계, 리더십 등의 분야 연구[105] 정보통신경영 연구실 : 최신 정보기술을 경영에 응용하여 통합적으로 이해/분석하는 등의 연구 수행[106] 생산운영관리 연구실 : 데이터 분석 기반 생산운영 관리와 statistical learning 기반 경영의사결정 관련 연구 수행[107] 항공우주법학 연구실 : 민법, 헌법, 형법, 상법 및 국제법등 기본적인 법률분야와 더욱 전문화된 항공법, 우주법 및 항공 우주정책 등 연구, 특히 항공운항, 교통 경영 등 항공관련 제 분야와 연계하여 필요한 법률, 정책을 연구[108] 항공우주법학 연구실 : 민법, 헌법, 형법, 상법 및 국제법등 기본적인 법률분야와 더욱 전문화된 항공법, 우주법 및 항공 우주정책 등 연구, 특히 항공운항, 교통 경영 등 항공관련 제 분야와 연계하여 필요한 법률, 정책을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