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11-02 20:22:10

프리드먼 수



정수론
Number Theory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공리
페아노 공리계 · 정렬 원리 · 수학적 귀납법 · 아르키메데스 성질
산술
나눗셈 약수·배수 배수 · 약수(소인수) · 소인수분해(목록 · 알고리즘) · 공배수 · 공약수 · 최소공배수 · 최대공약수
약수들의 합에 따른 수의 분류 완전수 · 부족수 · 과잉수(반완전수 · 괴짜수) · 친화수 · 사교수 · 혼약수 · 불가촉 수
정리 베주 항등식 · 산술의 기본정리 · 나눗셈 정리
기타 유클리드 호제법 · 서로소
디오판토스 방정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 · 피타고라스 세 쌍 · 과일 분수방정식 문제 · 버치-스위너턴다이어 추측(미해결)
모듈러 연산
모듈러 역원 · 2차 잉여 · 기약잉여계 · 완전잉여계 · 중국인의 나머지 정리 · 합동식 · 페르마의 소정리 · 오일러 정리 · 윌슨의 정리
소수론
수의 분류 소수 · 합성수 · 메르센 소수 · 쌍둥이 소수(사촌 소수 · 섹시 소수) · 페르마 소수 · 레퓨닛 수
분야 대수적 정수론(국소체) · 해석적 정수론
산술함수 뫼비우스 함수 · 소수 계량 함수 · 소인수 계량 함수 · 약수 함수 · 오일러 파이 함수 · 폰 망골트 함수 · 체비쇼프 함수 · 소수생성다항식
정리 그린 타오 정리 · 페르마의 두 제곱수 정리 · 디리클레 정리 · 소피 제르맹의 정리 · 리만 가설(미해결) · 골드바흐 추측(미해결)(천의 정리) · 폴리냑 추측(미해결) · 소수 정리
기타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 윌런스의 공식
}}}}}}}}} ||

연산
Numbers and Operations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colbgcolor=#765432> 수 체계 자연수(수학적 귀납법 · 홀수 · 짝수 · 소수 · 합성수) · 정수 · 유리수(정수가 아닌 유리수) · 실수(무리수 · 초월수) · 복소수(허수) · 사원수 · 팔원수
표현 숫자(아라비아 숫자 · 로마 숫자 · 그리스 숫자) · 기수법(자연어 수 표기법 · 과학적 표기법 · E 표기법 · 커누스 윗화살표 표기법 · 콘웨이 연쇄 화살표 표기법 · BEAF · 버드 배열 표기법) · 진법(십진법 · 이진법 · 8진법 · 12진법 · 16진법 · 60진법) · 분수(분모 · 분자 · 기약분수 · 번분수 · 연분수 · 통분 · 약분) · 소수{유한소수 · 무한소수(순환소수 · 비순환소수)} · 환원 불능 · 미지수 · 변수 · 상수
연산 사칙연산(덧셈([math(Sigma)]) · 뺄셈 · 곱셈(구구단 · [math(Pi)]) · 나눗셈) · 역수 · 절댓값 · 제곱근(이중근호) · 거듭제곱 · 로그(상용로그 · 자연로그 · 이진로그) · 역산 · 검산 · 연산자 · 교환자 · 계승
방식 암산(방식) · 세로셈법 · 주판 · 산가지 · 네이피어 계산봉 · 계산기 · 계산자
용어 이항연산(표기법) · 항등원과 역원 · 교환법칙 · 결합법칙 · 분배법칙
기타 수에 관련된 사항(0과 1 사이의 수 · 음수 · 작은 수 · 큰 수) · 혼합 계산(48÷2(9+3) · 111+1×2=224 · 2+2×2) · 0으로 나누기(바퀴 이론) · 0의 0제곱 }}}}}}}}}


어떤 정수의 각 자릿값을 가지고 사칙연산, 역원, 거듭제곱을 취하여 해당 정수를 만들 수 있으면 그 정수를 프리드먼 수(Friedman number)라고 한다. 이때, 둘 이상의 자릿값을 그대로 이어 붙여(concatenation) 두 자리 이상의 정수를 만들어도 된다. 예를 들어 25=52, 1022=210-2이므로 25와 1022는 프리드먼 수이다.

맨 앞 자리에 0이 오는 것과 concatenation만을 사용하는 것은 그야말로 모든 정수를 프리드먼 수로 만들어 버리므로 허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12를 012로 쓴 다음 012=10+2로, 345를 00345로 쓴 다음 00345=300+40+5로 표현하면 모든 정수를 프리드먼 수로 만들어 버릴 수 있다. 또한 67의 자릿값 6과 7을 그대로 이어 붙여 67 자기 자신을 만들 수 있으며 이는 모든 정수에 대하여 자명하게 성립한다. 이렇게 되면 프리드먼 수를 정의하는 의미가 없어지므로 이와 같은 금지 사항을 두는 것이다.

또한 프리드먼 수인 소수(素數)를 특별히 프리드먼 소수(Friedman prime)라고 한다. 예를 들어 127은 소수이면서 27-1로 표현되므로 프리드먼 수이다. 즉, 127은 프리드먼 소수이다.

프리드먼 수와 프리드먼 소수의 목록은 다음과 같다.

프리드먼 수: 25, 121, 125, 126, 127, 128, 153, 216, 289, 343, 347, 625, 688, 736, 1022, 1024, 1206, 1255, 1260, 1285, 1296, 1395, 1435, 1503, 1530, 1792, 1827, 2048, 2187, 2349, 2500, 2501, 2502, 2503, 2504, 2505, 2506, 2507, 2508, 2509, 2592, 2737, 2916, ...

프리드먼 소수: 127, 347, 2503, 12101, 12107, 12109, 15629, 15641, 15661, 15667, 15679, 16381, 16447, 16759, 16879, 19739, 21943, 27653, 28547, 28559, 29527, 29531, 32771, 32783, 35933, 36457, 39313, 39343, 43691, 45361, 46619, 46633, 46643, 46649, 46663, 46691, 48751, 48757, 49277, 58921, 59051, 59053, 59263, 59273, 64513, 74353, 74897, 78163, 83357, ...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