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9 17:11:47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난이도 표기 문제/33레벨 이상

프로세카 난이도 33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난이도 표기 문제
||<table align=center><table width=550><table bordercolor=#444466><bgcolor=#444466><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color=#FFF>
||<table width=100%><table bordercolor=#444466><rowbgcolor=#444466><width=35%> 파일:프로세카 앱 아이콘.png||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
||
||
{{{#!wiki style="padding: 5px 0 0; margin: 0 0 -7px;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7%;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등장인물 · 유닛 ▼⠀
{{{#!wiki style="margin: -7px 0 -3px"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ebebf2><table bordercolor=#ebebf2><nopad> 파일:버싱3주년신로고.png
파일:레오니3주년로고.png
파일:모모점3주년신로고.png
파일:비배스3주년신로고.png
파일:원더쇼3주년로고.png
파일:니고3주년신로고.png
파일:마크_이벤트.png
만우절 한정 유닛
(1차 · 2차 · 3차)
파일:마크_이벤트.png
콜라보 한정 유닛
파일:DIverse_로고_line.png
파일:마크_인물.png
기타 등장인물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32%; min-height: 2em"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nt-size: 0.95em"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12px; background: #444466; padding: 3px 0 2px"
{{{#!folding ⠀게임플레이 ▼⠀
{{{#!wiki style="margin: -7px -0px -3px"
세계관 파일:마크_월드맵.png
배경
파일:마크_스토리.png
스토리

(메인 스토리 · 이벤트 스토리 · 키 스토리)
음악 파일:마크_뮤직.png
수록곡
파일:마크_음반.png
음반
콘텐츠 파일:마크_솔로 라이브.png
이벤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파일:마크_가챠.png
뽑기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rowcolor=#444466> 파일:마크_랭크매치.png
랭크 매치
파일:마이세카이_마크.png
마이세카이
<rowcolor=#444466> 파일:마크_설정.png
시스템

(에어리어 · 라이브 · 멤버 · 미션)
<rowcolor=#444466> 라이브 파일:마크_버라.png
버추얼 라이브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color: #ffffff; border-radius: 4px; background: #444466; padding: 0px 5px"
파일:마크_커넥라.png
커넥트 라이브
오프라인 라이브
}}}}}}}}}}}}}}}
⠀관련 문서 ▼⠀
}}} ||

1. 개요2. 작성 기준3. 목록
3.1. MASTER
3.1.1. Lv.333.1.2. Lv.34
3.2. APPEND
3.2.1. Lv.333.2.2. Lv.343.2.3. Lv.36

1. 개요

프로젝트 세카이 컬러풀 스테이지! feat.하츠네 미쿠의 MASTER/APPEND 난이도의 33레벨 이상 악곡들의 난이도 표기 문제 및 평가들을 정리한 문서다.

2. 작성 기준

3. 목록

개인차가 큰 33레벨 이상 곡들 중에서도 유독 난이도에 관한 논란이 나오는 악곡들만 따로 정리한 문단이다.

3.1. MASTER

3.1.1. Lv.33

33레벨은 게임의 운영 과정에서 계속해서 인식이 바뀌어 온 레벨이다. 게임의 초창기, 33레벨은 무려 하츠네 미쿠의 소실 MASTER와 같은 초고난도 채보들이 소속되어 있던 최상위 레벨대로 시작하였다. 그러다가 MASTER 레벨 분류가 전체적으로 재보정되면서 하츠네 미쿠의 소실, 육조년과 하룻밤 이야기 등이 34레벨로 격상되고 그 자리를 새로 추가된 하츠네 미쿠의 격창과 우리들의 16비트 전쟁이 차지하며 최종 난이도를 향하기 바로 전에 거치는 준 보스곡 내지 중간 다리 역할을 하는 레벨대로 그 위상이 낮아졌다. 하지만 난이도 구조 개편 이후 계속해서 추가되는 보스곡 라인[11]과 대조되게도 보스곡으로 향하는 다리 역할을 충실히 해내야 할 MASTER 33레벨이 이후 1년이 넘도록 단 한 곡도 추가되지 않으면서 32레벨에서 34레벨로 올라가려는 유저들이 실력 성장에 한계를 느끼고 이탈하는 경우가 잦아졌다. 이렇게 34레벨을 도전하려는 유저들이 단 두 곡밖에 없는 33레벨로 실력을 겨우겨우 올리고 있던 찰나, 일본 서버 기준 2023년 12월 28일 레벨 조정 이후 32레벨의 불렙 곡들이 33레벨로 올라오고 하츠네 미쿠의 격창이 34레벨로 승격되며 다시 한 번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졌다. 또 하향 평준화와 동시에 세가가 신규 Append 보스곡들의 MASTER 레벨대를 33~34레벨대로 출시하는, 여러모로 보스곡에 도전하려는 유저들을 배려하는 행동을 보이면서 신규 33레벨 곡들이 대거 쏟아져 나와 전에 제대로 기능하지 못했던 다리 역할을 매우 충실히 해내게 되었다.
<colbgcolor=#4455dd> 로스트 원의 호곡
ロストワンの号哭
개인차 32 상위 ~ 33 적정
동레벨 내 서열 하위

<colbgcolor=#000000> 우리들의 16bit 전쟁
ぼくらの16bit戦争
개인차 33 적정 ~ 34 상위
동레벨 내 서열 상위

<colbgcolor=#000000> 양왕
嬢王
]
개인차 32 적정 ~ 33 적정
동레벨 내 서열 최하위

3.1.2. Lv.34

MASTER 34레벨도 33레벨처럼 조금씩 하향 평준화 된 레벨군이다. 난이도 개편으로 인해 기존 최종 보스 곡들인 하츠네 미쿠의 소실, 육조년과 하룻밤 이야기가 33레벨에서 승격되어 최초로 생겨난 이후 엔드마크에 희망과 눈물을 더하며, 머신건 포엠 돌 같은 초고난도 악곡들이 34레벨로 등장하면서 완벽한 보스곡의 포지션으로 자리매김하였다. 이후 오랫동안 최종 보스곡으로서의 위치를 유지하다가, 기존 34레벨 출신들이 조금씩 35레벨로 격상되고 다지를 권장하는 분기점 같은 역할을 했던 MASTER 33레벨의 하츠네 미쿠의 격창이 2023년 12월 28일 진행되었던 난이도 패치에서 결국 34레벨로 승격되면서 예전보다 약간 위상이 낮아지게 되었다. 그럼에도 아직 원래부터 34레벨이던 ÅMARA(대미래전뇌) 등은 34레벨대에 남아있고, 바로 밑의 33레벨과는 난이도 격차가 조금 심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과거 보스곡 라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그대로 이어가고 있다.

현재는 2023년 12월 28일의 난이도 패치 이후 초고레벨대 구간의 하향 평준화가 이루어졌고, 1년이 넘는 시간동안[14] 35레벨 이상의 MASTER 채보를 만들지 않고 있어[15] 현재로써는 정기적으로 추가되는 마스터 난이도에서의 실질적인 최종 보스곡을 담당하는 레벨대가 되었다.
<colbgcolor=#000000> 하츠네 미쿠의 격창
初音ミクの激唱
]
개인차 34 하위 ~ 35+
동레벨 내 서열 상위

<colbgcolor=#000000> ÅMARA(대미래전뇌)
ÅMARA(大未来電脳)
]
개인차 33 적정 ~ 34 상위
동레벨 내 서열 하위

<colbgcolor=#000000> 메모리아
メモリア
]
개인차 33 하위 ~ 34 적정
동레벨 내 서열 최하위

3.2. APPEND

3.2.1. Lv.33

<colbgcolor=#884499> I랍니다
Iなんです
클리어 개인차 33 적정 ~ 34
FC 개인차 33 최상위 ~ 35
동레벨 내 서열 최상위

<colbgcolor=#000000> 도넛 홀 2024
ドーナツホール 2024
]
클리어 개인차 32 ~ 33 상위
FC 개인차 31 상위 ~ 33 적정
AP 개인차 32 ~ 33 적정
동레벨 내 서열 하위

<colbgcolor=#88dd44> snooze
개인차 31 상위 ~ 33 상위
동레벨 내 서열 하위

3.2.2. Lv.34

<colbgcolor=#4455dd> 불꽃 -Reloaded-
ヒバナ -Reloaded-
개인차 33 하위 ~ 34
동레벨 내 서열 하위

3.2.3. Lv.36

<colbgcolor=#000000> Sage
]
FC 개인차 35 하위 ~ 35 상위
AP 개인차 35 상위 ~ 37
동레벨 내 서열 하위



[양왕] 과거 갤 서열표에 33-로 따로 분리된 이력[로스트원의호곡] 과거 갤 서열표에 33-로 따로 분리된 이력[우리들의16비트전쟁] 갤 서열표 33레벨 내 유일한 33 윗 화살표[메모리아] 갤 서열표 34레벨 내 유일한 아랫 화살표 및 본토 판정 최하위[하츠네미쿠의격창] 갤 서열표 34레벨 내 유일한 윗 화살표[아마라] 프로세카 악곡 중 가장 심각한 인식난으로 인한 개인차[I랍니다] 갤 서열표 내 윗화살표 존재[도넛홀2024] 갤 서열표 하위 판정[불꽃] APPEND 갤 서열표 34레벨 내 유일한 아래 화살표[Sage] 갤 서열표 내 아래화살표 존재[11] MASTER 34~35레벨[12] 이 곡을 제외한 현 33레벨들은 3차 개편 이후에 나온 신곡이거나, 기존에 32레벨이었던 악곡이었다.[13] 참고로 37레벨의 What's up? Pop!의 후살 부등호 패턴이 200BPM 32비트이다.[14] 37레벨을 제외하면 2년까지도 벌어진다.[15] 이는 APPEND 채보의 등장 이후 MASTER 난이도가 2지 기반 플레이를 지향하게 되었기 때문이거나 아직 MASTER 34레벨의 개수(5개) MASTER 35레벨 개수(6개)보다 적어서 그런 것으로 보인다.[16] ÅMARA의 경우 약 110BPM의 16비트 기반으로 진행되는 곡이지만 32비트 패턴이나 24비트 패턴의 비중이 상당히 크기 때문에 노트의 순간 밀도는 오히려 더 높다.[17] 중반부의 폴리리듬 구간이나 그 직후의 간격이 다 다른 단노트 배치 등 곡 자체 박자도 상당히 난해하기 때문에 순간적으로 당황하게 되어 모조리 한손으로 밀어서 체력을 낭비하기가 쉽다. 중간의 피버 찬스 구간에서도 흘리기 쉬운 1칸 크기의 매우 작은 노트들과 이것들이 섞인 롱잡 패턴으로 인해 방심할 수가 없다. 후반부 롱잡 연타 패턴의 경우 중간에 슬라이드를 이어받으면서 하거나 손교차를 해야 하는데, 플릭까지 섞여 있다보니 처리하기가 상당히 까다로우며, 후반과 마지막의 겹친 롱노트 슬라이드의 경우 2지 유저라면 따라가다가 새기 매우 쉬우니 주의가 필요하지만, 슬라이드의 틱이 특정 위치에서만 올라간다는 점을 이용하면 손을 특정 위치에 고정한 상태로 가만히 있어도 콤보가 이어진다.[18] 해당 구간의 롱노트 머리만 놓고 보면 처리 방식이 하츠네 미쿠의 소실 MASTER의 후반 8비트 동타플릭 난사 구간 직전의 폭타와 유사하다. 다만 여기서는 노트 크기가 더 작아지고 양끝 롱노트들을 잡고 있는 상태로 처리해야 하는 데다가 가운데 2줄이 좌우로 조금씩 이동하고 있고, 속도 또한 소실의 해당 구간보다 빠르기 때문에 순간 난이도는 이쪽이 더 어렵다.[19] 물론 펠레스가 FC이상 수준에서 개인차 스펙트럼이 굉장히 큰 곡이기에 역으로 펠레스를 높게 체감하는 경우일 가능성도 있으나, 일반적으로 31레벨 상위권으로 분류되는 곡이기에 31레벨로 체감할 수 있다고 서술한다.[20] 도넛홀에서 후반부에 펠레스와 비슷한 동타 연타구간이 등장하는데 펠레스에 비해 속도가 약간 느려 더 쉽게 체감하는 경우가 많으며, 패턴 상 자주 비교되는 곡으로 꼽힌다.[21] 실제로 최근에 난이도가 조정된 레벨들을 보면 AP 주의곡의 비중이 꽤 되며, 이는 31 시절 본토에서 하위까지도 평가를 받았지만 32로 격상된 픽서도 예외는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653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65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