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4:00:37

포향역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한 글자 차이의 비슷한 역}}}에 대한 내용은 [[포항역]]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항역#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포항역#|]]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한 글자 차이의 비슷한 역: }}}[[포항역]]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항역#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포항역#|]]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폐역 룡천 - [ruby(립암, ruby=1939~불명)] - 포향
포향역
역명 표기
평의선 포향
Phohyang
ポヒャン
주소
평안북도 신의주시 락원1동
관리역 등급
불명
(개천철도총국 관리)
운영 기관
평의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철도성
개업일
경의선 1906년 4월 3일
다사도선 1939년 10월 31일
철도거리표
평양 방면
룡 천
← 7.1 ㎞
평의선
포 향
신의주청년 방면
남신의주
3.1 ㎞ →
파일:phohyang.jpg
포향역사

1. 개요2. 역 정보
2.1. 역명 관련
3. 역 주변 정보4. 둘러보기

1. 개요

평의선의 철도역. 신의주시 락원동 소재.

경의선에서 이 역부터 북위 40도선 이북에 속한다.

2. 역 정보

신의주시의 남부에 있으며, 천마군 만풍호에서 발원하여 압록강으로 합류하는 삼교천의 하류가 이 역에서 남쪽으로 1km 떨어진 지점에 있다.

승강장은 2면 4선. 작기도 작지만 아주 좁다. 게다가 인근에 인입선이 쭉쭉 뻗어나가 있어서 이건 뭐 선로용량이 버텨날지 의심스러운 수준.

신의주역과 이 역 사이에 통학열차가 운행된 적이 있다고 한다.

2.1. 역명 관련

개업 당시 역명은 낙원역이었으나 1990년 여성당원인 신포향의 이름을 따 포향역으로 역명을 바꿔버렸다.

신포향은 당시 락원기계제작소 주물직장(현재 락원기계련합기업소 신포향주철공장) 당원이었는데, 1952년 6월 21일 공장 당세포총회(공장의 당원들로 구성된 당세포 회의)에 참가한 김일성이 전후복구 문제를 걱정하자 "우리 로동계급이 있는 한 복구는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는다. 반드시 복구해놓겠다"며 호언장담, 자신이 근무하는 주물직장의 당원 10명과 함께 자신의 결의를 끝내 관철하여 김일성이 훗날 "일생을 통해 잊을 수 없다."고 했다고 선전된다.[1] 신포향은 1984년 8월 공화국영웅 칭호를 수여받았다.

3. 역 주변 정보

인근에 락원기계련합기업소 신포향주철공장이 있다.

4. 둘러보기

평의선역 목록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취소선: 폐역
}}}}}}}}}


[1] 이 일화는 1982년 '언제나 한마음', 1983년 '그날의 맹세', 1985년 '고결한 삶'으로 전쟁 시기부터 1960년대에 결의를 관철하기까지 무려 3편의 영화로 일생이 조명되어 1988년 200일 전투를 할 때 전국적으로 상영하기도 했다. 비슷한 사례로 북한은 50년대 내내 종파분자(김일성의 결정과 방침에 조금이라도 반대하는 자들)들을 없애는 투쟁을 벌였는데, 1957년 남포 태성리에서 현지지도하고 있는 김일성을 붙잡고 "수상님, 종파놈들이 어쩌고 저쩌고 해도 우리가 이기지 아무렴 종파놈들이 이기겠습니까. 우리들은 수상님만을 끝까지 지지합니다." 라고 말했다는 태성할머니가 있다. 이 태성할머니는 김화숙이라는 노인으로 종파사건의 상징적인 인물로 꼽히고 있으며, 며느리인 함운장은 태성리 고창농장에서 관리위원장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