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0 02:20:59

포항중앙여자고등학교

포항중앙여고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학교 관련 문서이며, 로그인 후 수정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
  • 현황과 역사를 불문하고 학교 간 우열이나 서열을 확정·조장하는 서술과 학교 수준을 비하하는 서술
  • 학교 내 특정 임의 단체(급식, 매점 등)와 교내 학생 단체(동아리, 학생회 등)에 관한 서술
  • 언론에 보도되지 않은 학교 관련 사건 사고에 관한 서술
  • 학교 밖에서 알려지지 않은 교사나 학생에 관한 서술
  • 템플릿:학교에 존재하지 않는 문단에 관한 서술
  • 편집지침에 어긋나는 서술

파일:포항시 CI_White.svg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고등학교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0px;margin-bottom:-11px"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고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경북세무고등학교 대동고등학교 동지고등학교 동지여자고등학교 두호고등학교
세화고등학교 유성여자고등학교 포항고등학교 포항보건고등학교 포항여자고등학교
포항영신고등학교 포항예술고등학교 포항장성고등학교 포항중앙고등학교 포항중앙여자고등학교
한국해양마이스터고등학교 포항흥해공업고등학교 포항여자전자고등학교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남구
학교 틀 둘러보기
<colbgcolor=gray><colcolor=white> 포항중앙여자고등학교
浦項中央高等學校
개교 1983년
유형 일반계 고등학교
성별 여학교
형태 사립
학교법인 향산학원
교장 오상환
교훈 성실(誠實), 건강(健康), 겸손(謙遜)
교화 연꽃
교조 비둘기
교목 소나무
학생 수 571명[기준]
교직원 수 61명[기준]
관할 교육청 경상북도교육청
주소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소티재로151번길 11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학교알리미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1. 개요2. 연혁3. 학교 상징
3.1. 건학 이념3.2. 교포3.3. 교화3.4. 교조3.5. 교목3.6. 교훈3.7. 교가
4. 학교 특징
4.1. 교복4.2. 체육복
5. 학교 시설
5.1. 본관5.2. 서별관5.3. 체육관5.4. 급식소5.5. 운동장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6.2. 학교 일과6.3. 시간표
7. 출신 인물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9. 기타

[clearfix]

1. 개요

"성실(誠實), 건강(健康), 겸손(謙遜)"
경상북도 포항시 북구 소티재로151번길 11에 위치. 1985년 개교하였다. 포항중앙고등학교와 같은 재단 소속이다.

고등학교 평준화 정책 이전에는 반항적이고 문제적인 학생들이 주로 입학하는 학교로 포항 내에서 명성이 자자했으나, 현재는 모범적인 학교로 발전해 나가고 있다. 시험이 어려운 건 덤.

주변 학교로는 영신고, 포항중앙고등학교, 대동고, 유성여자고등학교 등이 있다.

2. 연혁

<colbgcolor=gray><colcolor=white> 날짜 연혁
1977.12.20. 설립자 김병관 선생 학교 부지 30,000평 확보
1982.04.19. '학교법인 향산학원' 설립 허가(개교기념일)
1985.12.30. 포항중앙여자고등학교 설립 인가(18학급)
1986.03.01. 초대 교장 정주영 선생 취임
1986.10.16. 교지 '鄕脈' 창간호 발간
1987.03.01. 제 2대 교장 김춘홍 선생 취임
1989.02.10. 제1회 졸업식 거행(6학급 317명)
1993.01.27. 학급 증설 인가(30학급 완편)
1995.03.01. 제3대 교장 김만수 선생 취임
1999.03.01. 제4대 교장 최일성 선생 취임
2000.09.05. 제5대 교장 조병인 선생 취임
2002.04.19. '향산학원 20年史' 발간
2002.09.02. 설립자 김병관 선생 경상북도교육위원회 의장 당선
2003.07.23. '학교법인 향산교육재단'으로 명칭 변경
2004.01.01. 일본 京都外大西高等學校와 자매결연 체결
2004.11.23. 경상북도교육청 기관종합평가 최우수학교 선정
2005.11.25. '향산 역사관' 개관
2006.03.01. 제6대 교장 이연우 선생 취임
2006.12.22. 경상북도교육청 기관종합평가 우수학교 선정
2007.12.03. 경상북도교육청 생활지도 최우수학교 선정
2008.12.04. 경상북도교육청 학력우수학교 선정
2011.03.01. 제7대 교장 김효우 선생 취임
2012.02.08. 경상북도교육청 학교장경영평가 최우수상 수상
2012.03.06. 포항시 창의인성체험학습 최우수학교 선정
2013.12.27.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상고(福山商高)와 자매결연 체결
2014.10.31. 경상북도 학교자원봉사대회 교육감 최우수상 수상
2015.03.01. 제 8대 교장 서민형 선생 취임
2015.12.21. 베트남 하노이 Viet-Duc고교와 자매결연 체결
2015.12.28. 중국 심양시 동택(同擇)여고와 자매결연 체결
2018.01.12. 경상북도교육청 학교평가 2년 연속 최우수학교 선정
2018.03.01. 제9대 교장 안윤수 선생 취임
2018.12.28. 경상북도교육청 학업중단 예방 우수학교 표창
2020.02.17. 경상북도교육청 SW 교육 선도학교 3년 연속 선정
2020.09.01. 제10대 교장 조관호 선생 취임
2022.09.01. 제11대 교장 김경섭 선생 취임
2023.02.01. 경상북도교육청 인공지능(AI) 교육 선도학교 3년 연속 선정
2023.09.01. 제12대 교장 오상환 선생 취임
2023.10.30.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상고(福山商高) 방문
2024.01.09. 디지털 온(溫) 선도학교 선정
2024.01.12. 제36회 졸업식 거행(9학급 179명, 졸업생 누계: 12,749명)
2024.03.04. 제 39회 입학식 거행(9학급 200명, 재학생 누계: 571명)

3. 학교 상징

3.1. 건학 이념

홍익인간(弘益人間)의 정신(情神)을 바탕으로 우등인(優等人), 유능인(有能人), 선량인(善良人)을 육성(育成)한다

3.2. 교포

파일:포항중앙여고 교포.png

3.3. 교화

파일:연꽃.png
연꽃
깨끗함과 향기로움
경건하고 고결한 삶

학교의 위치가 연꽃이 떨어진 자리라고 한다. 학교의 위치를 얘기할 때마다 풍수지리와 함께 나온다[3].

3.4. 교조

파일:포항중앙여고 비둘기.png
비둘기
사랑과 평화
무한한 가능성

3.5. 교목

파일:포항중앙여고 소나무.png
소나무
인내심과 강직함
푸른 기상과 희망

3.6. 교훈

성실(誠實), 건강(健康), 겸손(謙遜)

성실, 포항중앙여고人의 智德體입니다.
건강, 포항중앙여고人의 智德體입니다.
겸손, 포항중앙여고人의 智德體입니다.

3.7. 교가

김병관 작사, 우정복 작곡

1절
백두산 뻗은 줄기 정기 어리어
조국의 현대화를 이룩한 터전
여기에 우뚝 솟은 배움의 전당
진리를 갈고닦는 우리 원화들
(후렴) 정진하면 된다는 큰 신념 아래
우리는 앞서가리 포항중앙여고

2절
화랑의 얼이 담긴 우현동산에
이 땅의 젊은이가 꿈을 키우니
여기는 배움과 진리의 요람
새역사 창조의 역군이 되리
(후렴) 정진하면 된다는 큰 신념 아래
우리는 앞서가리 포항중앙여고
2024년 기준으로 애국가[4]와 함께 1학년들의 음악 수행평가였다.

4. 학교 특징

무엇보다 시험이 매우 어렵다. 주변 일반고와 비교하면 가장 어렵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5]. 문제가 수능형으로 출제되며, 이 때문에 모의고사를 한 번도 풀어보지 않은 학생이라면 첫 시험에서 국어의 고전시가 등을 만나며 멘탈이 단단히 깨지는 경우가 많다.
학교의 전통 아닌 전통으로 기말고사 시험 범위에 중간고사 범위가 포함된다. 다시 말해 기말고사 때에는 중간고사 범위를 함께 공부해야 한다[6]. 두 배로 노력해야 하는 셈. 그래서 첫 1학년 1학기 중간고사를 치면 등급을 보고 충격받는 학생이 많다고 한다.
다만 이것이 장점이라면 장점인 게, 시험이 쉬운 학교는 내신이 높아도 수능 최저등급을 맞추지 못해서 떨어진다. 중앙여고는 시험이 수능형이라 내신 공부를 하면 수능 대비가 저절로 돼서 최저 못 맞출 걱정은 덜 해도 된다.

4.1. 교복

파일:포항중앙여고 춘추복 하복.jpg 파일:포항중앙여고 동복.jpg
파일:포항중앙여고 구 하복 1.jpg 파일:중앙여고 구 하복 2.jpg

4.2. 체육복

바뀌기 이전 하복 체육복은 하얀색 몸판에 카라와 반팔 시보리에 학년마다 색상이 다른 형태로써 보라색, 밝은 파란색, 에메랄드색 3가지로 구분되었다. 인기가 좋아서 졸업생들이 평상복으로 입고 다녔을 정도. 지금은 바뀌었다.

5. 학교 시설

5.1. 본관

1층부터 4층까지 있다. 1층에는 교무실과 보건실이 있으며 2층부터 3층까지가 1학년, 2학년이 생활하는 공간이다. 2층, 4층에 각각 1학년 홈베이스와 2학년 홈베이스가 마련되어 있다.

1~2학년이라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될 장소이다. 1자 복도에 특별실과 교실이 다닥다닥 붙어있다. 복도의 양 끝과 중앙까지 총 계단이 3개가 있다. 구조적 특성상 복도 양 끝에만 창문이 있기 때문에 내부는 다소 답답할 수 있다.

등으로는 산을 품고 앞으로는 운동장을 보고 있다. 교실에서 볼 일은 없겠지만꽤나 계절을 잘 느낄 수 있다.

교실마다 전자칠판이 있으며 인터넷이 된다. 쉬는 시간에 함부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5.2. 서별관

1층부터 3층까지 있다. 3학년들 생활하는 공간이다. 창가에 바 형태로 자습이 가능한 공간이 있다. 1층의 경우 비가 오는 날엔 우천 시 통로로 쓰인다.

5.3. 체육관

3층부터 4층까지 사용이 가능하다. 3층에는 도서관이 있으며 4층에는 강당과 무용실이 있다. 건물 하나를 포항중앙고와 함께 쓰기 때문에 3층으로 가려면 4층에서 내려가야 한다. 3층 복도에서 포항중앙고의 운동장을 볼 수가 있다.

5.4. 급식소

1층부터 3층까지 있다. 1층에는 급식소가 있으며 2층과 3층에 각각 상담실과 진로실, 음악실이 있다. 급식소 줄을 야외에서 서야 하기 때문에 비가 오는 경우 우천 시 통로[7]로 가게 된다.

5.5. 운동장

흙운동장으로 중앙에 작게 잔디가 심어져 있으며 그 둘레를 돌아 짧게 회색빛으로 페인팅[8]이 되어있다. 규모는 협소한 편이지만 운동회 등을 제외한 모든 체육활동은 실내에서 진행되니 아쉬울 건 없다.

운동장 가 쪽으로는 벤치와 그네가 놓여있으며 교문 쪽 가로수가 벚나무로 봄에는 벚꽃을, 여름에는 그늘을, 가을에는 단풍을 볼 수 있다. 나무가 커서 사진을 찍기엔 정말 좋은 장소다. 단체사진 또한 벚꽃을 배경으로 많이 찍는다.

봄에는 꽃향기가 그윽하게 퍼진다. 바람이 선선한 봄이라면 어디서 왔을지 모를 꽃향기를 맡을 수 있다.

골대는 있으나 사용되지 않고 있으며 종종 농구대를 사용하는 모습은 볼 수 있다.

운동화를 신지 않고 운동장에 발을 들이는 것은 벌점 대상이다.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6.2. 학교 일과

6.3. 시간표

7. 출신 인물

8.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 기타


[기준] 2024년[기준] [3] 풍수지리적으로 연화낙지(蓮花洛地)형 속에 위치한 우리 학교는···. 학교장 인사말[4] 1절부터 4절까지 전체다.[5] 영어의 경우 난이도가 나락으로 치닫는데, 다른 학교에 비해 약 3~6배 정도 비중으로 외부 지문이 출제된다.[6] 이거 하나 때문에 9지망에 박아버리는 학생들도 적지 않다.[7] 서별관을 통해서 간다.[8] 비가 오면 미끄러우니 조심하자.[9] 이 학교를 다니다가 전학갔다.[10] 8시에는 중앙고의 10분 쉬는 시간 종소리도 들려오는데, 여기엔 그런 거 없다.[11] 단, 게임 설치는 불가능하다.[12] 무단 사용 시 벌점을 거하게 먹을 수 있으며, 걸렸을 때 봐주는 경우는 없다고 봐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