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31px" | 포항 1 | 포항 2 | 포항 3 | 포항 4 | 포항 5 |
한창화 | 김희수 | 이칠구 | 연규식 | 박용선 | |
포항 6 | 포항 7 | 포항 8 | 포항 9 | 경주 1 | |
서석영 | 이동업 | 김진엽 | 손희권 | 배진석 | |
경주 2 | 경주 3 | 경주 4 | 김천 1 | 김천 2 | |
최덕규 | 최병준 | 박승직 | 최병근 | 이우청 | |
김천 3 | 안동 1 | 안동 2 | 안동 3 | 구미 1 | |
조용진 | 김대진 | 권광택 | 김대일 | 김용현 | |
구미 2 | 구미 3 | 구미 4 | 구미 5 | 구미 6 | |
황두영 | 허복 | 김일수 | 정근수 | 윤종호 | |
구미 7 | 구미 8 | 영주 1 | 영주 2 | 영천 1 | |
김창혁 | 백순창 | 임병하 | 박성만 | 이춘우 | |
영천 2 | 상주 1 | 상주 2 | 문경 1 | 문경 2 | |
윤승오 | 남영숙 | 김홍구 | 박영서 | 김창기 | |
경산 1 | 경산 2 | 경산 3 | 경산 4 | 의성 1 | |
차주식 | 배한철 | 박채아 | 이철식 | 최태림 | |
의성 2 | 청송 | 영양 | 영덕 | 청도 | |
이충원 | 신효광 | 윤철남 | 황재철 | 이선희 | |
고령 | 성주 | 칠곡 1 | 칠곡 2 | 예천 1 | |
노성환 | 정영길 | 정한석 | 박순범 | 도기욱 | |
예천 2 | 봉화 | 울진 | 울릉 | ||
이형식 | 박창욱 | 김재준 | 남진복 | ||
* 구미 4 김상조 사망 (2023.08.10.) * 영양 박홍열 사퇴 (2023.09.14.) * 울진 김원석 당선무효 (2023.10.12.) * 성주 강만수 당선무효 (2024.04.11.) |
}}}}}} ||
1. 개요
포항시 연일읍, 상대동, 대송면을 관할하는 도의원 선거구. 1선거구, 6선거구와 같이 읍면 지역이 포함된 선거구이며 특히 그나마 제철동이 보수세를 상쇄하는 6선거구와 달리 연일읍 지역 외에는 보수세를 상쇄할 지역도 없는지라 사실상 보수세는 포항에서도 강한 축에 들어간다.2. 역대 선거 결과
2.1.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6선거구 연일읍, 대송면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김종영(金種永) | 10,892 | 1위 |
[[새누리당| | 69.63% | 당선 | |
4 | 채옥주(蔡沃珠) | 4,749 | 2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30.36%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30,764 | 투표율 52.40% |
투표 수 | 16,121 | ||
무효표 수 | 480 |
2.2.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6선거구 연일읍, 대송면, 상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1 | 이건기(李建基) | 10,303 | 2위 |
33.25% | 낙선 | ||
2 | 김종영(金鍾永) | 14,908 | 1위 |
[[자유한국당| | 48.11% | 당선 | |
3 | 유병탁(兪炳卓) | 2,510 | 4위 |
[[바른미래당| | 8.10% | 낙선 | |
6 | 이상기(李相其) | 3,265 | 3위 |
[[무소속(정치)| 무소속 ]] | 10.53% | 낙선 | |
계 | 선거인 수 | 53,790 | 투표율 59.11% |
투표 수 | 31,796 | ||
무효표 수 | 810 |
2.3.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포항시 제7선거구 연일읍, 대송면, 상대동 | |||
기호 | 이름 | 득표수 | 순위 |
정당 | 득표율 | 비고 | |
2 | 이동업(李東業) | 무투표당선 | |
| |||
계 | 선거인 수 | - | 투표율 - |
투표 수 | - | ||
무효표 수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