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conic-gradient(from 240deg at 5% 50%, #fce100 60deg, transparent 60deg), conic-gradient(from 225deg at 11% 50%, #d21034 90deg, transparent 90deg), linear-gradient(to bottom, #007168 5%,transparent 5%,transparent 95%,#fce100 95%), linear-gradient(to right, transparent 11%, #fff 11%, #fff 98%, transparent 98%), linear-gradient(to bottom, #007168 25%, #fff 25%, #fff 30%, #000 30%, #000 66%, #fff 66%, #fff 71%, #fce100 71%)"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d21034> 상징 | 국가 |
| 역사 | 역사 전반 · 포르투갈령 모잠비크 ·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모잠비크 대통령 | |
| 외교 | 외교 전반 · 영연방 · 포르투갈어 사용국 공동체 · 아프리카 연합 | |
| 경제 | 경제 전반 · 모잠비크 메티칼 | |
| 국방 | 모잠비크군 | |
| 문화 | 문화 전반 · 요리 · 모잠비크 축구 국가대표팀 · 포르투갈어 | |
| 인물 | 사모라 마셸 | |
| 지리 | 말라위 호 · 잠베지 강 · 모잠비크 해협 | |
| 민족 | 스와힐리족 |
| 모잠비크 주 Estado de Moçambique[1] | ||||
| | | |||
| 국기 | 휘장 | |||
| | ||||
| <colbgcolor=#006600> 1507 ~ 1975 | ||||
| 성립 이전 | 독립 이후 | |||
| 킬와 술탄국 | 모잠비크 인민공화국 | |||
| 무타파 제국 | ||||
| 마라비 | ||||
| 위치 | 모잠비크 | |||
| 수도 | 시다드드페드라 (1507~1898) 로렌수마르케스 (1898~1975) | |||
| 언어 | 포르투갈어 | |||
| 종교 | 가톨릭 | |||
| 국가원수 | 포르투갈 국왕(1507~1910) 포르투갈 대통령(1910~1975) | |||
| 정부수반 | 총독 | |||
| 통화 | 모잠비크 에스쿠도 | |||
1. 개요
모잠비크에 존재한 포르투갈 제국의 식민지이다.2. 역사
1498년에 바스쿠 다 가마가 탐험을 할 때 모잠비크 해안에 도착해 발견되었으며 그 후 1505년에 식민지가 되었다. 포르투갈은 빠르게 입지를 구축하여 16세기 초에 모잠비크 섬과 소팔라 항구를 점령했다. 초기에는 몸바사를 중심으로 해안 통제에 집중했으며, 주 목표는 인도로 향하는 무역로를 장악하는 것이었다. 1515년까지 포르투갈은 아프리카 남동부 해안 대부분을 지배했다. 1530년대부터 포르투갈 상인과 탐광자들은 금을 찾아 내륙으로 이동하여 잠베지강 유역의 세나와 테테에 수비대와 무역소를 세웠다. 자신들의 입지를 공고히 하기 위해 포르투갈은 프라조스라는 토지 양여 제도를 만들었다. 이는 포르투갈 정착민을 위한 것이었지만, 통혼을 통해 아프리카계 포르투갈 또는 아프리카계 인도 중심지가 되었고, 치쿤다라고 알려진 아프리카인 노예 군대에 의해 방어되었다. 포르투갈의 영향력은 점차 확대되었지만 그 권력은 제한적이었다. 1698년에 몸바사의 예수 요새를 아랍인이 점령한 후, 포르투갈은 인도와 브라질의 더 수익성 높은 무역에 집중했다. 18세기와 19세기에 오만 아랍인들이 인도양 무역의 상당 부분을 되찾으면서 포르투갈은 남쪽으로 후퇴해야 했다. 20세기 초에는 모잠비크 행정의 상당 부분이 모잠비크 회사, 잠베지아 회사와 같은 사립 특허 회사로 이관되었다. 이 회사들은 철도와 같은 기반 시설을 구축했지만, 강제 노동 정책을 시행하여 다른 유럽 식민지의 광산 및 농장에 값싼 아프리카인 노동력을 공급했다. 회사들의 성과 부진과 이스타두 노부 정권의 강력한 통제 정책으로 인해, 특허 회사의 조차권은 갱신되지 않았다. 그 결과, 1929년에서 1942년 사이에 이 지역은 포르투갈 식민 정부의 직접적인 통제 하에 놓이게 되었다.1962년에 모잠비크 해방전선이 조직되면서 본격적인 무장투쟁을 수반한 독립운동을 했다. 그러나 다른 식민지와 달리 모잠비크에서는 포르투갈 군대가 우위를 점했다. 결국 점령지의 대부분을 상실했고 민심도 포르투갈에 우호적인 상황이라 장기적으로 가면 독립이 좌절될 공산이 컸다. 그러나 카네이션 혁명으로 인해 포르투갈 제2공화국이 붕괴했고 이후 들어선 신정부는 모든 해외식민지를 포기할 것을 선언했다. 마침내 1975년 6월 25일에 독립했다.
2.1. 국호
- 1505-1752: 소팔라 영지[2]; 포르투갈령 인도의 종속.
- 1569-1752: 모잠비크와 소팔라 영지[3]; 마찬가지로 포르투갈령 인도의 종속.
- 1752-1836: 모잠비크, 소팔라와 세나 강 총독령[4]; 포르투갈령 인도 총독으로부터 독립했다.
- 1836-1891: 모잠비크 도[5]
- 1891-1893: 동아프리카 주[6]
- 1893-1926: 모잠비크 도[7]
- 1926-1951: 모잠비크 식민지[8]
- 1951-1972: 모잠비크 도[9]
- 1973-1975: 모잠비크 주[10]
국호가 자주 바뀐 것으로 유명한데, 그 횟수가 무려 8번이다.
2.2. 역대 국장
| |
| ~1935 |
| |
| 1935~1951 |
| |
| 1951~1975 |
1935년 5월 8일에 최초로 국장을 바꿨다. 그리고 형태는 여느 식민지들과 비슷하게 바꿨다.
1951년 6월 11일에 국호가 바뀜에 따라 국장의 글자를 바꿨다.
3. 사회
1926년부터 포르투갈 식민 당국은 아프리카인의 선천적 열등성에 대한 관념을 버리고, 아프리카 식민지에 다민족 사회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러한 목표에도 불구하고, 1929년 채택된 토착민 지위 법규(Estatuto do Indigenato)는 '문명' 대 '부족주의'라는 주관적인 개념을 바탕으로 인종 기반의 이중 시민 사회를 공식화했다.이 법규는 사회를 세 집단으로 나누었다. 첫째, 포르투갈 법의 적용을 받는 시민, 둘째, 식민지 법과 관습법의 적용을 받고 강제 노동의 대상이었던 대다수의 토착민, 셋째, 최소한의 교육을 받고 일부 시민권을 가진 소수의 동화민이었다. 토착민들은 전통적인 권위자들의 통제를 받았으며, 이 권위자들은 점차 식민지 행정에 통합되었다. 특히 1940년대에 이러한 통합이 심화되어, 농촌 지역의 추장들은 행정 보조원으로 인정받아 세금 징수, 노동력 모집, 토지 분배 통제 등 식민지 국가의 실질적인 일부 역할을 수행하며 보수를 받았다. 1960년에 인디제나투 체제가 공식적으로 폐지되면서, 모든 아프리카인은 법적으로 포르투갈 시민이 되었고, 인종 차별은 법적인 특징보다는 사회학적인 특징으로 남게 되었는데, 법적인 측면에서는 이웃한 남아프리카공화국에 비해 차별이 최소화되었다. 하지만 전통 권위자들의 통치는 오히려 식민지 행정에 더욱 깊숙이 통합되었다.
4. 경제
경제적으로 모잠비크는 농산물 원자재 공급처이자 외화 획득원이었다. 특히 남아공, 로디지아, 말라위 등 인접국과의 통과 무역을 활용하기 위해 운송 시설이 개발되었으며, 주변국에 노동력을 수출하는 수익성 높은 협정도 체결되었았다. 다만, 경제 구조는 이익을 모잠비크에 재투자하기보다는 포르투갈로 가져가는 것을 선호했는데, 이는 대테러 캠페인 비용이 비쌌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74년 초까지 포르투갈의 경제적 이해관계는 높은 수준의 경제 성장과 발전을 촉진했다.5. 문화
5.1. 스포츠
당시 에우제비우를 위시한 이 지역 출신 선수들이 본국 포르투갈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활동했다.6. 출신 인물
대부분이 축구 선수 출신이다.[1] 국호가 자주 바뀌었는데 자세한 사항은 국호 문단 참조.[2] 영어: Captaincy of Sofala, 포르투갈어: Capitania de Sofala[3] 영어: Captaincy of Mozambique and Sofala, 포르투갈어: Capitania de Moçambique e Sofala[4] 영어: Captaincy-General of Mozambique, Sofala and Rivers of Sena , 포르투갈어: Capitania-Geral de Moçambique, Sofala e Rios de Sena[5] 영어: Province of Mozambique, 포르투갈어: Província de Moçambique[6] 영어: State of Eastern Africa, 포르투갈어: Estado da África Oriental[7] 영어: Province of Mozambique, 포르투갈어: Província de Moçambique[8] 영어: Colony of Mozambique 포르투갈어: Colónia de Moçambique[9] 영어: Province of Mozambique, 포르투갈어: Província de Moçambique[10] 영어: State of Mozambique, 포르투갈어: Estado de Moçambiq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