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12-31 23:15:13

평면 우주(성계 시리즈)

1. 평면우주
1.1. 고리
2. 시공포(時空泡)3. 문

1. 평면우주

성계 시리즈에서 설정된 우주개념.

평면우주란 통상적인 우주에 거울의 양면처럼 존재하는 특수한 우주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통상우주보다 공간이 작으며, 때문에 평면우주로 돌입, 평면우주를 항행하여 통상우주로 나오면 굉장히 빠르게 이동할 수 있다. 말하자면 일종의 초공간도약. 일반적인 초공간도약과의 차이점은 초공간(Hyperspace)을 단순히 초광속 항행을 위한 공간으로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그 초공간 안에서도 전투를 벌인다는 점에 있으며 이러한 독특한 특징이 성계 시리즈에서 벌어지는 함대전의 최대의 특징이 되어 있다.

통상적인 우주공간의 법칙 및 거리에 구속되지 않으며, 따라서 평면우주상에서 바로 옆의 성계라도 통상우주에서는 몇광년씩 떨어져 있는 경우와, 평면우주상에서 먼 성계라도 실질적으로 근접성계(아무리 가까워도 그냥 가기는 너무 멀지만)일 경우도 많다.(고슬로스가 만난 인류통합체의 함대가 침임한 문은 평면 우주에서는 보라슈와 페브다슈 사이에 있었지만 실제 우주에서는 인류 통합체의 행성에서 4.1광년 떨어져 있었다.) 때문에 국가간의 영토도 다음처럼 꽤 뒤죽박죽 섞여있다.

파일:attachment/평면 우주(성계 시리즈)/6.jpg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지도에서 보면 아브에 의한 인류제국의 각 왕국은 서로 멀리 떨어져있으면서도, 실제로는 제국 수도 락파칼에 있는 8개의 문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예를 들어 하이드 성계에서 크류브 왕국으로 가려면, 보라슈문->페브다슈문->스파그노프 문을 거쳐 이리슈 문을 통과하여 락파칼로 간 다음, 락파칼에 존재하는 크류브 문을 이용해서 진입하는 방법을 써야 한다. 직선상으로는 하이드 성계에서 하니아 연방을 통과하면 크류브왕국 영역에 갈 수 있는 것처럼 보이지만, 평면우주로 돌입하기 위해서는 "시공포"와 "문" 이 필요하며, 문이 없다면 이동할 수 없으므로 가까이 있다 해서 가까운 것이 아니고, 멀어 보여도 먼 것만은 아니다.

사실상 각 국가의 영토와 경계선은 평면우주에 기인하고 있다. 즉 평면우주를 통해서 갈 수 있는 곳이 자국의 영토며, 후술하겠지만 보급이 가능한 "문"을 갖춘 성계와 그 항로의 집합체가 자국의 항로와 영토인 셈.

1.1. 고리

위 그림을 보면 알겠지만 이리슈 왕국은 12고리라고 표시되어 있는데 이것도 평면우주의 중요한 특성이다. 문은 평면우주에 무작위로 분포되어 있는게 아니라 토성의 고리처럼 원형태로 밀집되어 있는데 이것을 고리라 한다. 지도 중앙에 있는 빈공간은 은하의 중심영역으로 추측되는데 여기서부터 막대한 입자 흐름이 나와 이쪽 방향으로의 항행이 어렵다. 그리고 고리 사이의 이동도 이것때문에 어려워지는데 중앙영역이 산의 정상으로 생각하면 편하다. 중앙 방향으로의 이동은 입자 때문에 이동거리가 짧아지고 바깥 방향으로의 이동은 상대적으로 쉽다. 즉 고리 사이의 이동은 편도가 되기 쉽다. 그래서 영토를 확장할 때는 같은 고리를 위주로 이동해서 확장한다. 게다가 각각의 고리 사이에는 문이 없는 영역이 존재해서 고리에서 고리로 평면우주를 항해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우리은하에 속한 고리는 12고리까지 발견되었는데 12고리 너머는 다른 은하로 통할꺼라 작중에서 추측하고 있다. 본래 12고리는 하이드 성계가 없을 때는 이 빠진 고리였으나 (실제로 하이드 성계는 이리슈 왕국 일주항로 개설을 위한 탐색중 발견되었다) 하이드 성계가 발견되어서 아브에 의한 인류제국은 완전한 원 형태로 12고리를 지배할 수 있게 되었다. 노바 시칠리아 동맹이 아브에 의한 인류제국에 선전포고한 이유 중 하나도 이 12고리가 아브에 의해 독점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은하 개척이 완전히 끝난다면 차후 확장이 막힌다는 이유도 있다[1]

2. 시공포(時空泡)

여기서 포(泡)는 거품 포[2]

평면우주를 항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것으로, 통상우주에서의 공간을 뚝 잘라내어 그안에 들어가서 평면우주를 항행한다. 평면우주의 시공 및 물리법칙은 통상우주와 다르므로, 그 안에서 생존하고 항행하기 위해서는 평면우주 안에서 통상우주의 물리법칙 및 시공을 적용받는 공간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통상우주의 공간을 잘라내어 시공포를 형성한 후, 평면우주로 들어가 시공포의 보호를 받는다. 무려 공간을 잘라내기 때문에 대량의 에너지가 필요할 거 같지만, 소형함도 잘만 장착하고 다닌다(...). 평면우주 항행기능이 있다는 것은 곧 시공포 발생이 가능하다는 이야기.
시공포는 팽이에 비유되며, 팽이가 회전축을 수직으로 하여 제자리에서 돌고 있으면 정지상태, 회전축을 수평으로 하여 굴러가면 이동상태가 되듯, 시공포 역시 수직으로 돌면 정지, 수평으로 돌면 전진 이라는 식으로 이해하면 된다. 다만 중요한 것은 정지든 이동이든 에너지를 소모하며, 소모하는 에너지가 다 떨어지면 시공포 역시 붕괴하므로 그 안에 든 물체는 무사할 수 없다. 따라서 평면우주를 항행하는 함선은 시공포를 유지하기 위해 빈번하게 보급을 받아야 하며, 평면우주로 돌입한다->시공포로 항행한다->에너지가 바닥나면 통상우주로 돌입, 자국 성계에서 보급받는다->다시 평면우주로 항행한다 라는 방식이 사실상 영토개념이 되어버린다.[3]
시공포는 하나의 독립된 우주이며, 둘 이상의 시공포는 합치거나 반대로 분리할 수 있다. 전자를 시공융합, 후자를 시공분리라하며, 평면우주 자체에서는 서로에게 타격을 줄 수 있는 것은 기뢰밖에 없으므로, 직접적으로 화력을 주고 받으려면 서로가 서로의 시공포를 합쳐야 한다. [4]
동일 시공포 안에서는 통상우주의 물리법칙이 통용되기 때문에 직접적인 통신이 가능하나 서로다른 시공포에서는 평면우주라는 장벽이 있어 일반적인 통신이 불가능하다. 때문에 포간통신이라 하여 평면우주의 소립자를 자극, 그 파장을 통신부호로 전환하는 방식을 쓰거나, 연락정에 정보나 지령을 담아 독립시공포로서 다른 시공포에 보내는 방식을 주로 사용한다.
시공포의 속도는 질량에 반비례하며, 질량이 클수록 시공포의 이동속도는 느리다.[5] 또한 시공포안에 큰 질량이 있다면 그것은 대형함 아니면 소형함 여러 척이라는 이야기도 된다. 이를 통해 시공포의 질량을 합산하여 적함대의 규모를 파악하는 경우도 많다. 또한 전투로 인해 시공포안의 질량이 늘었을 경우[6] 자연히 속도도 느려지게 된다.
시공포를 발생시키고 유지시키는 주체는 시공포 안의 함선이므로, 시공포 안의 함선이 에너지 고갈 이외의 다른 이유(전투로 인한 파손등)로 사라졌을 경우 시공포 역시 소멸한다. 때문에 "적함이 격침되었습니다" 라는 말은 "적 시공포 소멸" 이라는 말로 종종 대체된다.

3.

미지의 소립자 유아논의 비활성화상태로만 알려졌으나, 이곳에 에너지와 질량을 주입하면 통상우주->평면우주, 평면우주->통상우주가 가능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사실상 평면우주의 돌입구이자 통상우주로의 출구가 되는 중요한 지점. 통상 우주 어디에도 존재하나, 열어보기 전까지는 이게 어느 문으로 통하는지 알수 없다. 따라서 평면우주에 있는 미지의 문을 개척하는 것 역시 중요한 영토확장사업이 된다.
사실상 영토개념을 마무리짓는 것으로, 자국의 영토라면 성계와 더불어 이 문이 존재하는 것이 필수. 문을 통해서 함선이 들락거리고 이를 통해서 항로가 결정되기 때문. 시간이 걸리지만 이동도 가능하며, 제국 수도인 락파칼도 서로 다른 곳에서 끌어온 8개의 문을 한 성계에 밀어넣어 성립되었다. 다만 에너지 주입이 없으면[7] 차츰 문이 닫히게 되며, 이 경우에도 에너지 주입을 하게 되면 다시 열린다.
문으로 진입하든지 나오든지, 그 순간에 어느 공간에 위치하게 될지는 확률적이다. 따라서 순차적으로 진입하는 것이 관례이며, 문으로 들어서거나 문에서 나오는 직후는 위치파악이 필수, 게다가 직후는 적의 공격에 상당히 취약해지므로 적의 성계에 돌입하기 위해서는 먼저 기뢰를 발사해 길을 뚫고 문 주변 영역을 장악하는 전술적 절차를 밟는다.


[1] 작중에서는 너무 먼미래의 일이기 때문에 억지주장이라고 소개된다. 1권에 언급된 케이슈193문의 위치만 봐도 억지다. 어느 고리로 통할지는 열어볼때까지 전혀 알 수 없고 케이슈 193문처럼 뜬금없는 곳으로 통하기도 한다.[2] 그래서 국내정발판에서는 시공거품으로 번역됨[3] 에너지 다 떨어져가는데 다음 보급지가 적국이라면 그냥 안에서 죽든지 나와서 뺏든지 해야 하기 때문에, 보급 가능한 영역이 곧 영토이다.[4] 즉 물 위에 떠 있는 비누방울에 들어있는 서로가 서로를 공격하려면, 비누방울을 분리하여 그 안에 기뢰를 실어 다른 비누방울로 보내서 그 비누방울과 합치거나, 직접 비누방울을 부딪쳐야 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5] 같은 힘이라면 큰 공이 더 굴리기 힘들고 느리게 간다[6] 적함의 잔해라든지 기뢰의 파편이라든지 하는 것이 섞이는 경우도 있지만 방어를 위해 아군끼리 시공포를 합치는 경우도 존재한다. 특히 순찰함 3척이 한 시공포를 이루면 반개단위시공포라 하여 속도는 느리지만 방어에 가장 적합한 형태라고. 따로 분리되어 1개의 함이 1개의 시공포를 가지면 단함시공포라 부른다. 속도는 그 함 단위 내에서 최상이지만 단일시공포라 방어력이 낮은 듯.[7] 함선이 들락거리지 않으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