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촨(防川) |
한국어로는 방천(防川)이라고 하며 "팡촨 풍경구"로도 알려진 "팡촨촌"은 지린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훈춘시 징신타운에 위치하고 있으며 두만강의 동해 하구에 인접해 있다. 2002년 5월 17일, 팡촨은 중국에 의해 국가 중점 명승지로 공식 지정되었으며, 계획 면적은 139㎢, 국경 길이는 44.68km다. 팡촨 풍경구(防川风景区)의 위치는 대부분 산이며 산으로 둘러싸여 있다.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 팡촨은 "일본으로 가는 해상 실크로드"였지만 네르친스크, 아이훈, 중러간 베이징 조약이 체결되면서 중국은 점차 일본 극동해의 연안 지역을 잃었고 팡촨은 동해로 가는 길에서 단절되어 내륙 도시가 되었다. 1938년, 일본과 소련 간의 갈등이 팡촨(方川)에서 발발했는데, 바로 장궈펑(張國鳳)사건이다.
1. 개요
팡촨은 길림성 옌벤 조선족 자치주 훈춘시 징신진에 위치하고 있으며 훈춘시 시가지에서 65km 떨어져 있으며 러시아와 북한과 국경을 접하고 있어 중국에서 유일한 삼국 국경이며 두문강과 동해와 가깝다. 바다로 들어가는 입구는 동쪽으로 러시아의 하산, 남서쪽으로 라선시, 두만강 하류에서 북한과 러시아를 연결하는 러시아-북한 철도 다리와 접해 있다.팡촨은 또한 중국에서 동해와 가장 가까운 곳으로, 동해에서 3km 미만, 두만강 입구에서 약 15km, 러시아 포셰트 항구에서 16km,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20km 떨어져 있다.
또한 팡촨 풍경구에는 주변 삼국을 바라볼수 있고 모래 언덕 공원, 연꽃 호수, 장 구펑 전투 현장, 팡촨 민속마을, 우 다이동상, 휴안허 항, 지우쿠 연꽃 연못, 롱샨 호 등 수십 개의 관광 명소가 있다.
2. 역사
팡촨은 두먼강 어귀와 인접해 있으며, 지리적 위치로 인해 동아시아 무역의 중심지이며, 수나라와 당나라 시대에는 일본으로의 "해상 실크로드"였으며, 당나라의 경제와 문화가 이곳을 통해 일본에 전해졌기 때문에 일본의 문화는 당나라의 영향을 깊게 받았다.Hunchun은 "국경 땅"을 의미하는 여진족 언어에서 유래했으며 Fangchuan은 "국경 땅"의 가장자리다. 지리적인 거리로는 중국에서 러시아, 북한 동해안, 일본 서해안, 북미와 북유럽에 가장 가까운 지점이다. 러시아 포셰트 항구에서 도문강을 따라 러시아 포셰트 항구까지 16km, 블라디보스토크에서 180km, 일본 니가타 항구에서 800km 거리에 있다. 그것은 그러한 특별한 지리적 위치에 있다.
역사적 기록에 따르면 17세기 후반, 제정 러시아는 우랄 산맥을 넘어 헤이룽강 유역을 침공했지만 청나라 군대에 패배했다. 그 후 두 나라는 협상을 통해 최초의 국경 조약인 네르친스크 조약을 공식 체결했다. 18세기 중반,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제2차 아편전쟁을 일으켰을 때, 제정 러시아도 이 불을 틈타 약탈하고 다시 군대를 파견하여 헤이룽장강 유역의 넓은 지역을 강제로 점령하고 청나라 정부로 하여금 '중러 아이훈 조약'을 체결하도록 강요한 후 청나라 정부로 하여금 '중러 베이징 조약'을 체결하도록 강요했다. 이 두 조약은 헤이룽강 북쪽, 트랜스 칭안 산맥 남쪽, 사할린 섬을 포함한 우수리강 동쪽 100만 ㎢ 이상의 땅을 약탈하고 중국의 영해를 차단하여 길림성을 바다와 가장 가까운 성으로 만들었지만 해역은 없다.
망루 아래에는 "흙 판"이 있다. 중국과 러시아 사이의 국경 표시자 중 하나이며 중국-러시아 국경의 동쪽 시작점이기도 하다. 1886년 청나라 정부는 황궁의 좌측 대리인인 우다청(Wu Dacheng)을 파견하여 러시아와 협상하고 이 "국경판"을 설립했다. "Tuzipai"는 높이 1.44m, 너비 0.5m, 두께 0.22m이며 질감은 화강암이다. 중국을 향한 면에는 중앙에 세로로 새겨진 세 개의 큰 문자가 있고 왼쪽에는 "광서 12년 4월"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다. 러시아 쪽에는 러시아어로 "T"라는 단어가 새겨져 있다.
1957년 두만강의 범람으로 팡촨은 중국 본토와의 육상 운송이 완전히 단절되어 중국의 '영토'가 되었고, 중국인들은 소련을 통해 팡촨을 출입해야 했다. 1990년이 되어서야 중국 측은 양관핑 제방을 건설하고 1992년 제방에 길이 888m, 폭 8m의 국방 고속도로를 건설하여 팡촨은 중국 본토와 다시 연결되었다.
3. 지리
위치는 팡촨은 길림성 연변 조선족 자치주 훈춘시 징신진에 위치하고 있으며 훈춘시 도심에서 65km 떨어져 있으며 동해에서 가장 가까운 중국 지역이며 동쪽은 러시아 하산 지구와 인접 해 있으며 남서쪽의 라선시에서 강 건너편에 있다. 마을의 총 면적은 20㎢이며 고도는 해발 5m에 불과하다.4. 기후
기후는 온화한 해양이며 여름은 비교적 시원한 편이다.5. 인구
2018년 현재 팡촨촌에는 43명의 토착민이 있으며 총 인구는 약 100명이며 마을 주민은 모두 조선족이다.6. 중국의 두만강을 통한 동해로 진출?
지도를 보면 지린성 훈춘시의 남동쪽은 북한과 러시아 영토에 막혀 아슬아슬하게 동해 바다와 접해있지 않다. 그러다보니 동해로 나가고 싶은 중국 정부가 동해로의 진출로를 모색하려고 북한에게 여러 가지 지원을 해주면서 나진항 이용권을 얻어가고 있다. 하지만 실용성이 있을지는 미지수이긴 하다.과거 청나라와 제정 러시아 시절에 연해주를 놓고 갈등을 벌인 적도 있다. 양국은 네르친스크 조약과 캬흐타 조약이라는 국경 획정 조약을 맺었지만, 1800년대에 서구 열강들이 중국을 차례차례대로 전쟁에 이기면서[1] 아이훈 조약과 베이징 조약으로 지금의 국경선이 만들어진 것이다.
그와 별개로1990년대 초부터 지금까지 두만강유역의 훈춘시 팡촨(방천,防川)일대에 내륙항구를 만들어 두만강 물줄기를 통해 동해안 진출을 노리고 있어 훈춘에서 40㎞ 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취안허(圈河)에서 부두 공사가 한창 진행중이었다.고 하지만 이를 두고러시아와 북한의 이해관계도 복잡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