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o San SC(Simplified Chinese): 구글에서 제작한 Noto 폰트이다. 대개 Noto Sans Simplified Chinese가 설치되어 있는데 PingFang SC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출력된다. 참고로 매우 일부이지만, 한글도 지원한다.
Noto Sans TC(Traditional Chinese): 구글에서 제작한 Noto 폰트이다. 대개 Noto Sans Traditional Chinese가 설치되어 있는데 PingFang TC이 설치되어 있지 않은 환경에서 출력된다. 참고로 매우 일부이지만, 한글도 지원한다. 심지어 옛한글인 옛이응도 지원된다.
[1] 줄바꿈 문제 발생 시엔 {{{#!html <span style="font-family: 글꼴">텍스트</span>}}} 사용.[a] 홍콩판 윈도우는 우선 글꼴로 대만 한자 기준으로 제작된 Microsoft JhengHei를 사용한다.[3] 정체자의 중국식 명칭.[a] 홍콩판 윈도우는 우선 글꼴로 대만 한자 기준으로 제작된 Microsoft JhengHei를 사용한다.[5] 지역 용어 처리 예시: zh-cn:出租车; zh-sg:德士; zh-my:德士; zh-tw:計程車; zh-hk:的士; zh-mo:的士[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참고] 폰트의 이름 뒤에 붙어 있는 UI는 글자 사이의 폭을 줄였음을 이야기한다. 그래서 실질적으로 글자 하나 하나의 모양 차이는 거의 없는 경우가 많아서 같은 폰트로 봐도 된다.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