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럭비 월드컵 | 통가 선수단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fff> 포지션 | 소속팀 | 한글 성명 | 로마자 성명 | 비고 | |
후커 (3) | | | | | ||
| | 시오네 앙가아엘랑기 | Sione Anga'aelangi | 시우아 메일 대체 | ||
| | 샘 몰리 | Sam Moli | 뉴질랜드인[1] | ||
| | 폴 은가우아모 | Paul Ngauamo | 뉴질랜드인[2] | ||
프롭 (6) | | | 조 아피코토아 | Joe Apikotoa | 뉴질랜드인[3] | |
| | 시즈프리드 피시이호이 | Siegfried Fisi'ihoi | |||
| | | | 뉴질랜드인[4] | ||
| | 시아테 토콜라히 | Siate Tokolahi | 페아오 포투아이카 대체 | ||
| | 타우 콜로아마탕기 | Tau Koloamatangi | 뉴질랜드인[5] | ||
| | 폴라 라투 | Paula Latu | |||
| | 벤 타메이푸나 | Ben Tameifuna | 뉴질랜드인[6] | ||
록 (5) | | | 애덤 콜먼 | Adam Coleman | 호주 출신[7] | |
| | 샘 루시 | Sam Lousi | 뉴질랜드인[8] | ||
| | 레바 피피타 | Leva Fifita | |||
| | 스티브 마피 | Steve Mafi | 호주인[9] | ||
| | 세미시 파에아 | Semisi Paea | |||
백 로우 (5) | | | 바에아 피피타 | Vaea Fifita | ||
| | | | |||
| | 페니토아 피나우 | Penitoa Finau | 뉴질랜드인[10] 솔로모네 푸나키 대체 | ||
| | 탕기노아 할라이포누아 | Tanginoa Halaifonua | |||
| | 시오네 하빌리 탈리투이 | Sione Havili Talitui | |||
| | 시오네 바일라누 | Sione Vailanu | |||
스크럼하프 (3) | | | 마누 파에아 | Manu Paea | 뉴질랜드인[11] | |
| | 어거스틴 풀루 | Augustine Pulu | 뉴질랜드인[12] | ||
| | 소나타네 타쿨루아 | Sonatane Takulua | 주장 | ||
플라이하프 (2) | | | 윌리엄 하빌리 | William Havili | 뉴질랜드인[13] | |
| | | | |||
| | 패트릭 펠레그리니 | Patrick Pellegrini | 오투마카 마우시아 대체 | ||
센터 (4) | | | 피타 아키 | Pita Ahki | 뉴질랜드인[14] | |
| | 말라카이 페키토아 | Malakai Fekitoa | |||
| | 조지 모알라 | George Moala | 뉴질랜드인[15] | ||
| | 아푸시파 타우모에포 | Afusipa Taumoepeau | 호주인[16] | ||
윙 (4) | | | 파인 이니시 | Fine Inisi | 뉴질랜드인[17] | |
| | 솔로모네 카타 | Solomone Kata | |||
| | 안젤로 투이타부키 | Anzelo Tuitavuki | 뉴질랜드인[18] | ||
| | 카이렌 타우모에폴라우 | Kyren Taumoefolau | 뉴질랜드인[19] | ||
풀백 | | | 찰스 피우타우 | Charles Piutau | 뉴질랜드 출신[20] | |
감독: 투타이 케푸 (Toutai Kefu) [1]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뉴질랜드 U-20 대표팀 출신이다.[3]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4]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5]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뉴질랜드 U-20 출신이며, 2019년 홍콩 대표팀으로도 1경기 뛰었다. 홍콩에 거주하며 대표팀으로 뛴 다음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에 따라 통가로 바꾼 듯.[6]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7] 아버지가 통가인이라 이중국적이다. 2016~2019년 월러비스로 뛴 경력이 있다.[8]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9] 출전 자격 : 조부모 국적[10]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1]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2]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2014년 올 블랙스로 뛴 경력이 있다.[13]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친형제인 데이비드 하빌리는 올 블랙스를 선택했다.[14]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통가 U-20과 뉴질랜드 U-20 대표팀을 모두 경험한 독특한 경력이 있다.[15]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2015~2016년 올 블랙스로 뛴 적 있다.[16]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 호주 U-20 대표팀 출신이다.[17]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8]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19] 출전 자격 : 부모 또는 조부모 국적[20] 부모님이 통가인이라 이중국적이다. 통가와 뉴질랜드 U-20 대표팀 경력이 모두 있으며, 2013~2015년 올 블랙스로 활동하다 영국으로 넘어가 대표팀에서 선발 제외되었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