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21 16:17:01

트레이 머피 3세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0c2340><tablebgcolor=#0c2340> 파일: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심볼.svg뉴올리언스 펠리컨스
2024-25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0c2340,#ddd
<colbgcolor=#0c2340><colcolor=#fff> 감독 윌리 그린
코치 재런 콜린스 · 케이시 힐 · 프레드 빈슨 · 테리사 웨더스푼 · 라이언 프래지어 · 라이언 판노네
가드 3 CJ 맥컬럼 · 5 디존테 머레이 파일:부상 아이콘.svg · 15 호세 알바라도 · 24 조던 호킨스
가드-포워드 00 브루스 브라운 · 4 자본테 그린 · 11 브랜든 보스턴 Jr.TW · 12 안토니오 리브스
포워드 0 키언 브룩스 Jr.TW · 1 자이언 윌리엄슨 · 2 허브 존스 파일:부상 아이콘.svg · 8 자말 케인TW · 25 트레이 머피 III
포워드-센터 13 켈리 올리닉 · 17 카를로 마트코비치 · 50 제레미아 로빈슨얼
센터 21 이브 미시
* TW : 투웨이 계약
다른 NBA 팀 선수단 보기
}}}}}}}}}}}} ||
파일:트머삼2425.webp
<colbgcolor=#0c2340><colcolor=#ffffff>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No. 25
트레이 머피 3세
Trey Murphy III
본명 케네스 트레이 머피 3세
Kenneth Trey Murphy III
출생 2000년 6월 18일 ([age(2000-06-18)]세)
노스캐롤라이나 주 더럼
국적
[[미국|]][[틀:국기|]][[틀:국기|]]
학력 버지니아 대학교
신장 203cm (6' 8")[1]
체중 97kg (215 lbs)
윙스팬 213cm (7' 0")
포지션 스몰 포워드 / 파워 포워드
드래프트 2021 NBA 드래프트 1라운드 17순위
멤피스 그리즐리스 지명
소속 구단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2021~)
등번호 25번 - 뉴올리언스
계약 2021-22 ~ 2024-25 / $14,779,415
연봉 2023-24 / $3,359,280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소개2. 커리어
2.1. NBA 이전2.2.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2.2.1. 2021-22 시즌2.2.2. 2022-23 시즌2.2.3. 2023-24 시즌2.2.4. 2024-25 시즌
3. 플레이 스타일4. 여담

[clearfix]

1. 소개

NBA의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소속의 포워드.

자이언 윌리엄슨과 함께 뉴올리언스의 미래를 이끌어나갈 핵심 자원이다.

주로 약칭인 트머삼이라고 불린다.

2. 커리어

2.1. NBA 이전

트레이 머피 3세는 노스캐롤라이나 더럼에서 어머니 알베다와 아버지 케네스 머피 주니어 사이에서 태어났다. 머피는 노스캐롤라이나 캐리에 있는 캐리 아카데미에서 고등학교 농구를 했고, 시니어 시절에는 경기당 평균 24.7점과 7.4개의 리바운드를 기록했다. 필드골 성공률은 49.4%였고, 3점슛 성공률은 43.6%, 자유투 성공률은 85.8%였다. 2017년 10월 4일, 머피는 라이스 대학교로 진학했다.

신입생으로서 머피는 라이스 대학교의 32경기에 모두 출전했다. 31경기 동안 벤치에서 나와서 1경기를 주전으로 뛰었는데, 대학 첫 경기는 2019년 3월 Charlotte와의 경기였다. 머피는 평균 8.4점과 2.6개의 리바운드를 기록했다. 3점 슛 성공률(42.1%)에서 Conference USA(C-USA)에서 4위를 차지했고, 경기당 3점슛 성공률(2.0)에서 14위를 차지했다. 3점 슛 성공률(42.1%)에서 학교 신입생 기록을 세웠다. 2019년 1월 26일, UAB와의 경기에서 자유투 6개 중 6개를 성공시키며 커리어 최고 기록인 24점과 5개의 3점슛을 기록했다.

2학년 때 32경기 중 29경기에 출전했다. 그 중 23경기에서 선발로 출전했고, 6경기에서 벤치에서 나왔다. 13.7점으로 득점을 이끌었고, 2개의 더블더블을 포함해 25개의 두 자릿수 득점 경기를 기록했다. 또한 6개의 20점 경기로 팀을 이끌었다.

2020년 3월 30일, 머피는 이적 포털에 들어갔고, 2020년 4월 14일, 버지니아 대학교로 갔다. 노스캐롤라이나 출신이자 친구인 저스틴 매코이가 그를 버지니아로 영입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COVID-19가 대학 농구에 영향을 미쳐 머피는 1년을 쉬지 않아도 되었고, 2년 대신 3년의 즉시 자격을 얻었다. 벤치에서 나온 머피는 버블빌에서 열린 캐벌리어스 시즌 오프닝전에서 9개의 필드골 중 7개를 성공시키며 21점을 득점했다. 2020년 12월 말 윌리엄 앤 메리와의 경기에서 첫 선발 출장을 했고, 시즌의 나머지 기간 동안 선발 출장했다. 당시 NBA 스카우트들은 머피를 톱 45 드래프트 유망주로 보았다. 주니어 시절 경기당 평균 11.3점과 3.4개의 리바운드를 기록했다. 버지니아에서 토니 베넷의 지휘 아래 매우 효율적인 180클럽 시즌을 기록한 후, 머피는 대학 자격을 유지하면서 2021년 NBA 드래프트를 신청했다. 2021년 6월 21일, 머피는 에이전트와 계약하여 버지니아와의 남은 자격을 포기하고 NBA 진출을 선언했다.

2.2. 뉴올리언스 펠리컨스

2.2.1. 2021-22 시즌

2021년 NBA 드래프트에서 멤피스 그리즐리스에 의해 전체 17위로 지명되었지만 뉴올리언스 펠리컨스로 트레이드되었다. 2021년 8월 10일, 루키 계약을 맺었다. 10월 20일, NBA 데뷔전인 필라델피아전에서 6점과 2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2승을 거둔 펠리컨스는 2018년 이후 처음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고, 1라운드 시리즈에서 피닉스 선스와 맞붙었다. 머피는 4월 17일 플레이오프 데뷔전을 치렀고, 110-99로 패한 1차전에서 6점, 4개의 리바운드, 2개의 어시스트를 기록했다. 펠리컨스는 결국 6차전 끝에 1라운드에서 탈락했고. 신인 시즌 동안 머피는 G리그 팀인 Birmingham Squadron에서 여러 차례 뛰며 시즌을 마감했다.

2.2.2. 2022-23 시즌

올스타전 덩크 컨테스트에 나와서 좋은 모습을 보여주며 준우승을 기록했다.[2]

2023년 2월 5일, 136-104로 이긴 새크라멘토 킹스 전에서 4개의 리바운드와 2개의 어시스트와 함께 당시 시즌 하이 30점을 기록했다.

3월 12일, 포틀랜드 트레일블레이저스를 상대로 127-110으로 승리하며, 커리어하이 41점을 기록했다.

79경기를 평균 31분 출전하여 평균 14.5득점, 3.6 리바운드, 1.4 어시스트, 1.1 스틸, 0.5 블락, 필드골 10.1개의 시도에 48.4%의 확률로 4.9개 성공, 3점 슛 6.3개의 시도에 40.6%의 확률로 2.6개 성공, 90.5%의 자유투 성공률을 기록하였다.

2.2.3. 2023-24 시즌

지난 시즌보다 중량을 한 것으로 보이며 볼핸들링 또한 발전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57경기를 평균 29.7분 출전하여 평균 14.8득점, 4.9 리바운드, 2.2 어시스트, 0.9 스틸, 0.5 블락, 필드골 10.9개의 시도에 44.3%의 확률로 4.8개 성공, 3점 슛 7.8개의 시도에 38.0%의 확률로 3.0개 성공, 81.5%의 자유투 성공률을 기록하였다.

2.2.4. 2024-25 시즌

2024년 10월 3일, 뉴올리언스는 트레이 머피 3세가 훈련 캠프 저녁 연습 중 오른쪽 햄스트링 염좌를 겪어 정규 시즌 시작을 놓칠 것이라고 발표했다. 10월 21일, 뉴올리언스 펠리컨스와 4년, 1억 1,200만 달러의 연장 계약을 체결했다.

본디 3점 슈터로만 알려진 선수였던 트머삼이 4년차 시즌을 기점으로 알을 깨고 나오면서 리그 정상급 슈터이자 볼륨을 뽑아낼 수 있는 선수로 성장했다. 특히 볼핸들링 능력이 이전 시즌에 비해 놀라울 정도로 좋아졌고 이를 통한 공격 루트 또한 다양해졌다. 기량이 급상승하며 기량발전상 후보로도 언급되는 중이다.

2025년 2월 22.7 득점 / 5리바 / 3점슛 38%를 높은 효율로 뽑아내고 있으며, PER, TS등 모두 커리어 하이급이다.

잉그램이 떠난 후 자이언도 부상인 뉴올리언스에 한줄기 빛이 되가고 있고 슈팅 능력이 몇 년간 리그 정상급이었지만 이번 시즌엔 볼륨까지 뽑아내면서 자이언 윌리엄슨에 이은 팀의 2옵션으로 완전히 성장했다. 이같은 활약에 뉴올리언스는 트머삼을 NFS 선수로 못박았다.

3. 플레이 스타일




3년차 시즌까지는 평범한 3&D 유형의 선수였으나 4년차 시즌 알을 깨고 나오며, 온볼러로서 샷 크리에이팅이 가능한 유형의 선수로 환골탈태했다. 뛰어난 운동능력과 신체조건(맨발 203cm의 키와 213cm의 윙스팬), 외곽슛 능력을 지니고 있는 성장할 잠재력이 높은 빅윙이다. 준수한 볼륨과 함께 40%가 넘는 3점 성공률을 기록하고 있다. 딥 쓰리의 비중이 상당히 높다는 것이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미숙한 볼핸들링과 스텝으로 인해 온볼로 페인트 존에 진입하는 플레이 자체를 버거워 했지만, 이후 여러 시즌을 치르면서 간결한 드리블을 섞은 풀업 3점, 펌프페이크 이후 드리블 돌파를 가져갈 정도의 능력 향상이 이뤄졌다. 특히 24-25 시즌 볼핸들링 능력이 갑자기 비약적으로 상승하였고, 드리블 기반 돌파, 샷 크레이팅 능력 또한 향상되어 훨씬 능동적인 플레이를 할 수 있는 선수가 되었다.

수비 또한 잘한다. 팀 최고의 수비수인 허브 존스 다음 가는 뛰어난 수비능력을 갖추고 있다. 훌륭한 신체조건을 바탕으로 넓은 수비범위를 커버하며, 대인수비능력이 좋다. 뛰어난 운동능력과 리그 상위권의 외곽슛 성공률, 좋은 수비력을 갖추었고 볼핸들링 능력이 향상 중에 있는 공수겸장 스코어러로 성장해 가고 있는 중이다.

4. 여담



[1] 맨발 신장 202cm (6' 7.5") / 착화신장 206.4cm (6' 9.25")[2] 우승은 맥 맥클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