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05:58:45

트랜스포머: 강철의 혼

파일:attachment/강철의 혼/118.jpg

1. 개요
1.1. 스토리1.2. 특징1.3. 취소된 시리즈1.4. 레트콘
2. 완구3. 기타

1. 개요

Hearts of Steel

IDW 출판사의 트랜스포머 코믹스 중 하나이다. G1트랜스포머들이 1980년대가 아니라 19세기 증기기관 시대의 지구에 깨어났다는 설정으로 이야기가 시작된다.

세미콜론 사에서 2009년에 정식 출간했고 2020년대 시점에선 절판됐다.

1.1. 스토리

오랜 옛날, 지구에서 싸우던 오토봇과 디셉티콘은 빙하기가 몰려오자 활동에 어려움을 느끼고 동면에 들어간다. 긴 세월이 흐른 뒤 19세기 서부개척시대미국에서 우연히 동면에서 깨어난 범블비는 이전에는 보지 못했던 '인간'이라는 생물들이 돌아다니는 것을 본다.

한편, 스타스크림과 몇몇 디셉티콘들도 동면에서 깨어나 인간들을 이용해 지구를 정복할 계획을 세운다.

1.2. 특징

본작의 로봇들은 19세기의 탈 것들을 스캔했기에 디자인에서 스팀펑크 느낌이 난다. 권말에서 제공하는 설정화에 실린 본작 미출연 캐릭터들의 디자인도 19세기 탈 것에 맞춰져 있다 . 코믹스의 전체적인 분위기가 칙칙한 색감으로 진행되며 옵티머스와 메가트론이 출연하지 않은 거의 유일한 트랜스포머 작품이기도 하다.[1]

1.3. 취소된 시리즈

원래대로라면 강철의 혼은 장기 시리즈물로 이어질 예정이였다. 본작의 전체 제목이 '트랜스포머: 에볼루션 - 강철의 혼'인 것도 '트랜스포머: 에볼루션'이라는 이름으로 시리즈를 이어가려 했던 흔적이며 옵티머스와 메가트론이 등장하지 않은것도 후속작을 위한 빌드업이였던 것이다.

IDW의 작가였던 돈 피규로아 작가의 언급에 따르면 본래 IDW에서는 IF와 elseworld[2]라는 컨셉으로 새로운 시리즈를 계획 중에 있었다고 하며, 트랜스포머들이 바다로 가득한 세계에 떨어진 이야기에 대한 아이디어를 의논한 적이 있다고 한다.[3]

때문에 시기상으로나 정황상 에볼루션 시리즈는 각 작품마다 IF의 설정이 가미된 시리즈로서 옴니버스 식으로 진행하려 했으나 모종의 이유로 엎어졌을 것이라 추측해볼 수 있다.

한가지 웃긴 점은 넷플릭스 시리즈인 워 포 사이버트론 트릴로지의 후속작으로 동명의 애니메이션이 제작될 예정이였으나 넷플릭스 측에서 직접 제작을 취소하면서 에볼루션이라는 이름을 쓴 트랜스포머 매체는 모두 취소엔딩을 맞이했다는 점이다.

1.4. 레트콘

본작은 원래 IDW의 메인 트랜스포머 코믹스 세계관인 IDW 트랜스포머 G1 코믹스, 일명 2005 IDW G1과는 관련없는 별개의 작품이었고, 후속작 없이 연재가 종료된 뒤에도 G1 코믹스와는 독립된 단독 세계관이라는 게 공식 측의 입장이었다. 실제로 Ask Vector Prime 코너에서는 이 작품에 독립적인 유니버설 스트림 넘버(Universal Stream designation)를 부여해 IDW G1과는 다른 평행 세계로 취급하였다.

그러다가 2016년, IDW 2005 코믹스 페이즈2에서 G.I. Joe, M.A.S.K., 롬 더 스페이스 나이츠 등 해즈브로 IP들과의 크로스오버인 레볼루션 이벤트가 발표되면서 트랜스포머도 크로스오버에 합류했고, 이 과정에서 강철의 혼의 캐릭터들이 고대 지구를 배경으로 카메오 등장한다. 이 때문에 IDW의 기존 입장이었던 강철의 혼의 독립 세계관 설정과 충돌 논란이 발생했으나, IDW는 이를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정리하였다.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레볼루셔너리즈 #5에서는 강철의 혼에 등장한 트랜스포머들이 사실 오토봇과 디셉티콘이 아니라, 13인 시대 당시 오닉스 프라임 행세를 하던 쇼크웨이브 휘하의 맥시멀들이라는 걸로 밝혀진다. 이들은 탈리스만을 운반하던 중 지구로 추락했고, 이후 본편 시간대의 쇼크웨이브가 지구로 왔을 때 이들을 발견했다. 쇼크웨이브는 이들의 기억을 조작해 자기들이 오토봇과 디셉티콘이라 믿게 한 뒤, 미래의 대전쟁을 재현하는 워게임을 했다.

그러나 스포트라이트: 쇼크웨이브 이슈에서 쇼크웨이브가 봉인당하며 실험은 불완전하게 종료되었고, 맥시멀들은 다시 동면에 들어갔다가 19세기에 깨어나면서 강철의 혼 본편의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후 인페스테이션 2와 레볼루셔너리즈를 통해 이들의 이후 행적이 밝혀지며 IDW 2005 세계관에 편입됐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 설정이 기존 강철의 혼의 독립 세계관 설정 자체를 완전히 레트콘한 것은 아니라는 점이다. Ask Vector Prime 코너에서는 여전히 강철의 혼 세계관에 유니버설 스트링 넘버를 부여하여 본편과는 다른 평행 세계의 이야기로 존속하고 있으며, 레볼루션 이후 IDW 2005 세계관에 편입된 맥시멀 워게임 설정은 IDW 2005 메인 세계관 내에서 일어난 '강철의 혼'이라는 식으로 병존하고 있다. 즉, 같은 설정이 두 개의 버전으로 존재하는 형태다.

이로 인해 강철의 혼은 IDW 코믹스 안팎에서 일종의 ‘슈뢰딩거의 세계관’으로 취급되며, 본편 오토봇과 디셉티콘이 빅토리아 시대에 깨어나는 이야기로도, 쇼크웨이브의 세뇌를 받은 맥시멀들의 이야기로도 양립 가능한 독특한 사례로 남아 있다.

강철의 혼 본편 이후 시점에서 엘더갓[4]들의 침공이 확인되자 오토봇들(이라고 여겨진 맥시멀들)은 잠들어 있던 옵티머스(의 정체성을 지닌, 액셀론의 함장인 도미티우스 메이저)를 깨워 엘더갓들을 물리친다.

맥시멀들은 완전히 동면에서 깨어난 후 1차 세계대전에 참전했다. 이들은 유럽 전선에서 도미티우스의 지휘 아래 전쟁에 투입되었으나, 갈수록 전사자가 늘어 결국 도미티우스와 자신을 범블비라 믿는 맥시멀 센츄리온, 그리고 자신을 쇼크웨이브라 착각하는 또다른 맥시멀만이 엑셀론의 생존자로 남게 된다.

그러나 도미티우스 역시 끝까지 자신이 옵티머스 프라임이라고 믿으며 전사하고, 그 직후 센츄리온은 쇼크웨이브의 암시에서 풀려나, 자신이 본래 오닉스 프라임 휘하의 맥시멀이었으며 범블비가 아닌 '센츄리온'임을 떠올리고 모든 기억을 되찾게 된다. 이후 2차 세계대전 기간 동안 자신을 쇼크웨이브라 착각하는 마지막 맥시멀 동료마저 처치한 센츄리온은 지구에 남은 최후의 맥시멀이 된다.

그는 엑셀론의 위치로 돌아가 자살을 시도하려 했지만, 탈리스만과 엑셀론은 이미 흔적도 없이 사라져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탈리스만의 에너지로 만들어진 아이언 트루퍼들이 도미티우스의 시신을 조종하는 모습을 목격한 센츄리온은 절규하며 그 시신을 찢어버리고, 평생 자신을 기만하고 마지막 안식처마저 앗아간 탈리스만에 대한 복수를 다짐한다.

이후 엑셀론으로 향하는 과정에서 도움을 주었던 인간 '게리슨 크레이거'가 센츄리온에게 힘을 보태겠다고 나서자, 센츄리온은 그의 경호원이자 파트너로서 탈리스만과 관련된 비밀을 조사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레볼루션 이벤트를 통해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탈리스만의 행방과 지구와의 연관성이 점차 드러나게 되고, 센츄리온은 이후 이벤트에서 주역급 인물로 부상한다. 레볼루셔너리즈에서는 탈리스만을 둘러싼 사건의 핵심 인물로 활약하며, 13인의 식민지 행성을 기반으로 구성된 세계 의회의 지구 대표로 등장한다. 이후 타이탄 트립티콘의 타이탄마스터로서도 활약하며, IDW 코믹스 세계관에서 꾸준히 등장하는 핵심 캐릭터로 자리잡는다.

2. 완구

2025년 2월 8일 미국 올랜도에서 개최한 메가콘 2025에서 공개됐다.
파일:Picsart_25-05-13_10-08-42-651.jpg파일:Picsart_25-05-13_10-11-27-237.jpg
타임라인 옵티머스 프라임 타임라인 스타스크림
일본에서는 2025년 10월에 타카라토미 몰 한정으로 발매될 예정으로, 가격은 세금포함 13,200엔이다. 대한민국에는 2025년 10월에 정발될 예정이다.
파일:Picsart_25-08-07_18-17-46-001.png파일:Picsart_25-08-07_18-18-50-169.png
타임라인 메가트론 타임라인 범블비
일본에서는 2026년 1월에 타카라토미 몰 한정으로 발매될 예정으로, 가격은 세금포함 13,200엔이다.

3. 기타


[1] 작중에서 오토봇 측은 자원이 부족하기에 디셉티콘의 확실한 활동이 확인되기까지는 옵티머스를 깨우지 않기로 했다가 작품이 끝났고, 디셉티콘 측도 스타스크림이 메가트론을 깨우지 않았기 때문.[2] 지금의 멀티버스로 생각하면 된다고 한다.[3] 직접적으로 해당 시리즈가 에볼루션 시리즈와 연관이 있다고 언급하진 않았지만 돈 피규로아는 에볼루션의 추가적인 아이디어를 원했다면서 두 작품이 사실상 같은 시리즈였음을 암시했다.[4] IDW 세계관에서 러브크래프트의 크틀루 신화는 이 엘더갓들을 보고 만든 것이라는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