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29 14:32:53
관련 문서: 데몬(유희왕) #!if top2 != null
, [[]][[]]
#!if top3 != null
, [[]][[]]
#!if top4 != null
, [[]][[]]
#!if top5 != null
, [[]][[]]
#!if top6 != null
, [[]][[]]
유희왕 의 상급 일반 몬스터 카드. 한글판 명칭 탈와르 데몬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 タルワール・デーモン 영어판 명칭 Beast of Talwar 일반 몬스터 레벨 소환마족 종족 공격력 수비력 7 악마마족 악마족 2400 2150 그 탈와르는 악마중에서도 검의 달인만이 소유할 수 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 에서부터 등장.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일반=, 한글판 명칭=탈와르 데몬, 일어판 명칭=タルワール・デーモン, 영어판 명칭=Beast of Talwar, 레벨=6,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공격력=2400, 수비력=2150, 효과외1=탈와르는 악마족이라도 검술의 달인만 소유할 수 있다.)] 첫 등장한 DM3과는 달리 레벨 6이 되어 소환은 더 편해졌지만, 데몬 소환 의 존재로 인해 처음 등장시 부터 악마족 일반 몬스터 계의 콩라인 신세였다. 공격력도 제왕 과 맞짱뜰 정도는 되고 수비력도 더 높지만, 효과가 없는 일반 몬스터 라면 제왕과 대등한 공격력이 아니라 그 이상의 공격력을 가져야 채용 가치가 있다고 할 수 있고, 수비력도 어태커로 쓰라고 있는 이 카드에게는 크게 중요시되는 게 아니니 의미가 없다. 레벨 5 에도 이 카드보다 공격력이 더 높은 사이바테크 와이반 이 있는 판인데다, 공격력 2600의 프로스트사우루스 와 마법 검사 트랜스 의 등장으로 더욱더 덱에서 볼 일은 없게 되었다. 능력치로는 어필할 수 없기 때문에 이 카드가 살 길은 데몬 서포트를 받는 카드라는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이것마저도 데몬 소환 에게 밀린다. 데몬의 이름, 레벨 6 어둠 속성 악마족 일반 몬스터라는 점은 모두 똑같은데 데몬 소환보다 공격력은 딸리고 융합체나 서포트 카드도 인지도도 없다. 데몬 소환보다 나은 건 수비력 하나밖에 없다. 4장째의 데몬 소환으로 채용할 수는 있을지 모르겠지만 바닐라 데몬 덱을 짠다고 해도 보통 데몬 소환을 3장이나 넣는 경우는 별로 없고, 그 자리에 차라리 데몬의 장성 같은 걸 넣는 게 낫다. 물론 데몬 소환 전용덱을 짜면 데몬 소환을 3장씩 넣을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이 카드가 데몬 소환 전용덱에 들어갈 이유도 없다. 일반 몬스터라는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더욱 더 비참하여 레벨이 다르긴 하지만 동일한 공격력에 효과가 그럭저럭 쓸만한 미스트 데몬 도 이 카드의 자리를 위협하기 쉽다. 결국 그냥 쓰고 싶어서 쓰는 게 아닌 이상 뭘 해도 존재의미를 찾기 힘든 불쌍한 카드다. 그나마 능력치가 객관적으로 매우 낮은 것은 아닌지라 손해를 감수하고 덱에 넣는다면 그럭저럭 싸울 수는 있긴 하다. 아무래도 상관없지만, 이 카드는 그래도 레벨 6 일반 몬스터 중 공수의 합계가 가장 높은 카드다. 저 높은 수비력 조금만 떼서 공격력에 붙여주지… 일단 저 레벨 능력치 덕분에 마리셔스 데블 , 마리셔스 베인 , 다크 나이트,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의 융합 소재가 될 수는 있다. 데몬 소환 3장으로도 소재는 충분하겠지만. 초기에 나온 데몬 카드인지라 영어판 이름이 Beast of Talwar로 "Archfiend"라는 이름이 들어가있지 않다. 물론 특수재정으로 데몬 카드 취급을 받게 되어 있다. 2013년에 재록이 한번 있었지만 이미 저 특수재정으로 굳어져서인지 이 카드의 이름이 바뀌는 일은 없었다. 이름의 탈와르 라는 것은 플레이버 텍스트 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 인도 에서 탄생한 굽은 모양의 칼 이름이다. 그나마 위안이라는 것은 이 카드의 스테이터스 자체는 붉은 눈의 흑룡 의 상위호환이라는 점이다. 딱 봐도 레벨6이면서 레벨 7인 붉은 눈이랑 동급이고 제물 하나만 바치면 소환할 수 있고 수비력도 탈와르 데몬이 150이나 높다. 다만 붉은 눈 계열의 다양한 서포트를 감안하면 이 카드 자체를 붉은 눈의 흑룡의 상위호환이라고 볼 수는 없다. 또한, 이 카드는 월드 프리미어 카드 / TCG 선행 발매 카드의 선조격인 카드이다. 2002년 4분기에 TCG 부스터 팩인 PHARAOH'S SERVANT 에 등장하여 2003년 1월에 OCG 기획 상품인 Booster Pack Collectors Tin 2003의 동봉 카드로 등장했기 때문.유희왕 듀얼 링크스 에 악마룡 블랙 데몬즈 드래곤 이 출시된 이후 레벨 6 '데몬' 몬스터가 필요해졌는데, 데몬 소환이 WONDERS OF THE SKY 미니 박스의 SR 카드이기 때문에, 무료 티켓으로 간단히 얻을 수 있는 R등급인 탈와르 데몬이 대신 사용되는 중. 붉은 눈 덱에서 사용할 경우 데몬 소환 역시 '붉은 눈' 카드가 아니기에 굳이 현금을 사용하면서까지 데몬 소환을 얻을 필요가 없어졌다.유희왕 ARC-V 특별 단편 만화 에서는 아카바 레이지 가 사카키 유우야 와의 듀얼 중 사용. 고대의 룰 의 효과로 특수 소환되었으며, 액션 마법 '차원의 날개'의 서포트를 받아 필드를 제압했으나, 유우야의 우둔한 도끼 를 장착한 EM 헤이타이거 의 공격에 파괴되었다. 수록 시리즈 2003-01-1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BPT-J01 | BOOSTER PACK COLLECTORS TIN 2003 2009-10-0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1-JP007 | トーナメントパック2009 Vol.3 2015-03-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일본|{{{#!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일본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일본}}}{{{#!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S15-JPD01 | デュエリストエントリーデッキVS - ダークレギオン - 2002-10-20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SV-103 | PHARAOH'S SERVANT 2013-10-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LCJW-EN236 | LEGENDARY COLLECTION 4 JOEY'S WORLD MEGA PACK 2015-05-28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영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영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영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S15-END01 | 2-PLAYER STARTER DECK YUYA & DECLAN (UK) 2015-05-2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YS15-ENL01 | STARTER DECK DARK LEGION (US) 2020-11-26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BCB-EN111 | Speed Duel: Battle City Box 2023-04-2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SV-EN103 | PHARAOH'S SERVANT (LC01 25th Anniversary Edition) 2004-06-19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PSV-K103 | 파라오의 사도 2011-10-05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TP11-KR007 | 토너먼트 팩 Vol.11 2015-07-11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VS15-KRD01 | 듀얼리스트 엔트리 덱 VS 다크 레기온
3. 관련 카드3.1. 스워드서밋-탈와르 데몬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스워드서밋-탈와르 데몬 <sub>(미발매\, 비공식 번역명)<sub>, 일어판명칭=<ruby><rb>魔剣達士</rb><rp>(</rp><rt>ソードサミット</rt><rp>)</rp></ruby>-タルワール・デーモン, 영어판명칭=Beast Of Talwar - The Sword Summit,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7, 공격력=2400, 수비력=2150, 효과1=①: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이 카드는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효과2=②: 이 카드는 1턴에 1번만 상대의 효과로는 파괴되지 않는다., 효과3=③: 이 카드가 몬스터 존에 존재하는 한\, 양쪽 플레이어는 다른 몬스터를 장착 마법 카드의 효과의 대상으로 할 수 없다.)]슈프림 다크니스 TCG 월드 프리미어 카드로 등장한 탈와르 데몬의 리메이크. ①의 효과는 자신 필드에 몬스터가 없으면 패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는 룰 효과 . 각종 랭크 7 엑시즈로 이어갈 수 있으며 이 카드 자신이 데몬 카드군이기도 하기에 해당 덱의 전개 요원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②의 효과는 매턴 1번씩 상대의 효과 파괴에 대한 내성을 갖는 지속 효과 . 소소하지만 상대의 방해 효과를 무시하고 전개가 가능한 점은 매력적이다. ③의 효과는 양쪽 플레이어에게 다른 몬스터를 장착 마법의 대상으로 할 수 없게 만드는 지속 효과 . 장착 위주의 덱을 상대로는 꽤 치명적인 카운터 효과로 자신 몬스터의 강화는 물론 상대 몬스터에게 장착해 약화시키거나 강탈해오는 등의 행위를 전부 무력화 시킨다. 다만 어디까지나 장착 마법 카드만 막기에 유니온 몬스터나 장착되는 함청 카드등은 막을 수 없으니 주의. 카드명은 원본의 레벨은 플레이버 텍스트에서 따온 수식어가 붙었으며, 듀얼 몬스터즈 게임 시절에 맞춰서인지 레벨 7이 되었다. 효과 쪽은 상술한 아크파이브 단편에서 따왔는데, 1번 효과는 고대의 룰 로 소환한 것을 그대로 내장한 것, 2번 효과는 액션 마법 "차원의 날개", 3번 효과는 헤이타이거가 우둔한 도끼를 장착 못하도록 방해하는 효과다. 수록 시리즈 2025-01-23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SUDA-EN087 | SUPREME DARKN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