큰이삭풀[1] 大扁雀麦 | Rescuegrass | |
학명 | Bromus catharticus Vahl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Plantae) |
분류군 | 관다발식물군(Tracheophytes) |
속씨식물군(Angiosperms) | |
외떡잎식물군(Monocots) | |
닭의장풀군(Commelinids) | |
목 | 벼목(Poales) |
과 | 벼과(Poaceae) |
속 | 참새귀리속(Bromus) 케라토클로아절(Ceratochloa) |
종 | 큰이삭풀(B. catharticus) |
[clearfix]
1. 개요
남아메리카 원산의 동계일년생·월년생·다년생 벼과 식물.2. 특징
이배수가 42인 6배체 식물(2n = 6x = 42)[2]로, 까락이 없거나 짧으며, 납작한 소수가 이삭마디당 두서너개씩 달린 모습이 주된 외형적 특징이다. 소수는 이삭이 단정하게 모인 형태이나, 고숙기에 이삭이 벌어지고 말단부터 떨어져나가면서 톱니같은 형상이 된다. 줄기는 대체로 직립형으로 분얼과 포기져 1m까지 자라나, 종자가 여물면서 크게 기울어진다. 한국에서의 개화·결실기는 4~6월로,[3] 대개 자가수정을 하는 폐쇄화다. 호영엔 단방향으로 미세한 돌기가 있어 동물과 옷에 붙을 수 있으며, 종자를 물에 띄울 수 있다. 따라서 중력·풍수·동물에 의해 산포될 수 있다.목초용·사방용으로 도입하거나 가축의 털에 붙어 전파된 끝에 북아메리카·유럽·오스트레일리아·동아시아 등 세계 각지의 온대지역에 정착했다. 한국에서도 귀화식물로 취급되며, 남부 도서·해안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한다.
3. 활용
스페인인 도래 전의 칠레에선 종자를 빻아 식량으로 썼다고 하며,[4] 현재는 동계 목초로 쓰인다. 하지만 밀이나 보리와 같은 겨울 작물을 기르는 곳이나 생태보호구역에선 골치아픈 잡초로 관리의 대상이다.[5]4. 분류 및 근연종
과거엔 B. catharticus는 물론이고 B. unioloides, B. tunicatus, B. burkartii, B. coloratus, B. lithobius, B. stamineus, B. mango, B. fonkii, B. valdivianus와 같은 수많은 종으로 분류되어 있었으나, 계통분류학에 다변량 분석 및 분자생물학적인 방법이 도입됨에 따라 상기한 종들을 B. catharticus와 그 아종들로 분류하는 학자들도 생겨났다.[6] 아래 분류는 2011년 슈프링거에서 발간된 『Wild Crop Relatives: Genomic and Breeding Resources』를 기반으로 한다.- 케라토클로아절 Ceratochloa
- 6배체
- 큰이삭풀 Bromus catharticus
- B. catharticus subsp. catharticus
- B. catharticus subsp. stamineus
주로 다년생으로, 습한 환경에서 유래했으며 까락이 3~7 mm로 길다. 자식성이 더 강하다. - B. catharticus var. rupestris
- 8배체
- 성긴이삭풀 Bromus carinatus
- B. carinatus var. carinatus
- B. carinatus var. hookerianus
- B. carinatus var. marginatus
- Bromus marginatus
- Bromus sitchensis
- 12배체
- Bromus arizonicus
- Bromus ayacuchensis
[1] 일어명인 이누무기犬麦, イヌムギ를 치환한 개보리로 쓰는 경우도 있으나, 한국에서 개보리는 보통 Elymus sibiricus L.를 지칭한다. 북한명은 납작새귀리다.[2] Williams, W. M., A. V. Stewart, and M. L. Williamson. "Bromus." Wild Crop Relatives: Genomic and Breeding Resources (2011): 15-30.[3] 조양훈·김종환·박수현, 『벼과·사초과 생태도감』 (2016, 지오북), 156[4] de Moesbach, Ernesto Wilhelm. Botánica indígena de Chile. Andres Bello, 1992, quoted in León-Lobos, Pedro, et al. "Patterns of Traditional and Modern Uses of Wild Edible Native Plants of Chile: Challenges and Future Perspectives." Plants 11.6 (2022): 744.[5] Yanniccari, Marcos, et al. "First case of glyphosate resistance in Bromus catharticus Vahl.: Examination of endowing resistance mechanisms." Frontiers in Plant Science 12 (2021): 617945.[6] Massa, A. N., Jensen, K. B., Larson, S. R., & Hole, D. J. (2004). Morphological variation in Bromus sect. Ceratochloa germplasm of Patagonia. Canadian Journal of Botany, 82(1), 136-1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