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2px 0; display: inline-table" | <tablebgcolor=#d00c33><tablebordercolor=#d00c33> | 쿠야흘레크 주 행정구역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 <tablewidth=100%><tablebgcolor=#d00c33> | 나노르탈리크 구 Nanortalik Distrikt |
<colbgcolor=#f5f5f5,#fff><colcolor=#d00c33> 시 | 나노르탈리크 | |||
정착촌 | 아필라토크 | 아흘루이추프 파 | ||
암마시비크 | 나르사르미이트 | |||
타시우사크 | 코흘로르토르수아크 | |||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 | 나르사크 구 Narsaq Distrikt |
시 | 나르사크 | |||
정착촌 | 이갈리쿠 | 나르사르수아크 | ||
카시아르수크 | ||||
{{{#!wiki style="margin: -12px 0px; display: inline-table" | | 카코르토크 구 Qaqortoq Distrikt |
시 | 카코르토크 | |
정착촌 | 에칼루가르수이트 | 카시미우트 |
사흘로크 | 우페르나비아르수크 |
암마시비크에 속한 목축지 코흘로르토르수아크 Qorlortorsuaq | |||||
<colbgcolor=#d00c33><colcolor=#FFFFFF> 경위도 | 60°46′30″N 45°13′54″W | ||||
국가 | [[그린란드| ]][[틀:국기| ]][[틀:국기| ]]그린란드 | ||||
주 | |||||
지구(地區) | 나노르탈리크 | ||||
시간대 | UTC-02:00 | ||||
우편번호 | 3921 | ||||
지역번호 | 66 | ||||
인구 | 4명[A] |
[clearfix]
1. 개요
코흘로르토르수아크(Qorlortorsuaq)는 나노르탈리크 지구의 폭포이자 목축지[2]이다. 둘의 이름은 같다.행정적으로는 개별 정착촌이 아니며 암마시비크에 속한 것으로 간주된다.
인구는 2020년 기준으로 4명에 불과하며, 이들은 모두 수력발전소의 운영을 맡고 있다.
2. 코흘로르토르수아크 댐
<colbgcolor=#29ACFF><colcolor=#fff> 코흘로르토르수아크 댐 Qorlortorsuaq Dam | |
국가 | [[틀:국기| ]][[틀:국기| ]][[그린란드| ]] |
착공 | 2003년 |
완공 | 2007년 |
관리 기관 | 누키시오르피트Nukissiorfiit |
유형 | 수력 발전 |
위치 | 쿠야흘레크주 나노르탈리크 지구 암마시비크 정착촌 코흘로르토르수아크 목축지 |
높이 15미터, 길이 80미터로 1.08억 세제곱미터의 저수량을 가진다. 카코르토크 및 나르사크로 전선이 설치되어, 일대의 전력 공급을 전담하고 있다.
그린란드 정부의 환경정책에 따라 친환경 에너지원으로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전력 공급원을 대체하려는 계획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연간 27.5GWh의 에너지를 생산하고 있다.
[clearfi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