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8 14:29:2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color: #000,#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계열사 지주회사 <colbgcolor=#fff,#1f2023>(주)코오롱 핵심소재 코오롱인더스트리 (코오롱글로텍 · 코오롱머티리얼 · 코오롱ENP ) 건설 · 서비스 코오롱글로벌 | 네이처브리지 | 코오롱베니트 | 코오롱인베스트먼트 | 코오롱LSI | (주)MOD (호텔 · 리조트) | 그린나래 패션 · 유통 코오롱인더스트리 | 코오롱글로벌 | 코오롱아우토 | 코오롱오토모티브 | 스위트밀 바이오 · 헬스케어 코오롱생명과학 | 코오롱제약 | 코오롱티슈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
대한민국 코오롱그룹 의 건설업체. 본사는 경기도 과천시 코오롱로 11에 위치해 있다. 지주회사 코오롱 의 직할 하에 있으며, 코오롱그룹 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기업 이다. 2011년 코오롱그룹 구조개편으로 자회사들을 대부분 흡수합병하였다. 이에 따라 건설 , 무역 , 유통 세 가지 사업을 한번에 영위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원래 코오롱건설에서 코오롱글로벌로 이름이 바뀌었다. 건설업 40%, 무역업 30%, 유통업 30%의 매출비중으로 건설업이 제일 많으나 절대적인 비중은 아니다. 원래 토목 업으로 출발하였으며, 1982년 부터 아파트 같은 일반 건설업에도 뛰어들었다. 1994년 신세기통신 에 설립 출자를 하였다가 신세기통신이 외환위기 때 SK텔레콤 에 인수됨으로서 지분을 정리하게 되었고, 이 이후로는 통신 사업에는 진출하지 않고 있다. 아파트 브랜드로는 코오롱하늘채 가 있으며, 2024년 기준 도급순위는 19위이다. 강원도 차이나타운 유치에 힘쓴 일등공신. 강원도에 중국복합문화타운 유치를 추진하고 직접 건설하는 기업이다. 2021년 4월 26일 언론을 통해 해당 사업의 전면 재검토를 선언했다.3. 지배구조 2023년 4월 기준 주주명 지분율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코오롱 75.23%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오운문화재단 0.52%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웅열 0.38%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자사주 0.44%
<rowcolor=#fff> 연도 시공능력평가 순위 <colcolor=#fff><colbgcolor=#005eb8> 1986년 <colcolor=#000,#fff><colbgcolor=#fff,#1f2023> 32위 1987년 28위 1990년 19위 1999년 20위 2000년 19위 2001년 16위 2002년 19위 2003년 17위 2004년 21위 2005년 27위 2006년 20위 2007년 16위 2008년 18위 2009년 19위 2010년 20위 2011년 22위 2012년 22위 2013년 20위 2014년 18위 2015년 19위 2016년 20위 2017년 19위 2018년 20위 2019년 19위 2020년 19위 2021년 16위 2022년 16위 2023년 19위 2024년 19위
5. 대표 실적천호동 코오롱 상가 서울 올림픽수영장 대전 하수 처리장 - 결국 대전시가 기존 하수처리장 부지에 메디컬센터를 지을 예정이며. 한화 건설부문 이 대전 금고공에 하수종말처리장을 공사중이다. 대전 하수 고도처리 1,2차공법 기자재설치 공사 - 현대건설 과 공동 시공 남산 제모습 가꾸기 사업 - 결국 남산외인아파트는 한국 최초로 폭발물로 철거하기로 결정, 1994년 11월 20일 오후 3시 발파 시켜 철거 됐다.대구월드컵경기장 코오롱 신사옥 서울지하철 7호선 7-18공구 건설공사 서울지하철 7호선 7-19공구 정거장 시설공사 단성사 빌딩 신축공사대전 도시철도 1호선 - 대림산업 , 계룡건설 , 화성산업 과 공동 참여상주시 하수관거정비 BTL 민간투자사업 대구 임상시험신약생산센터 신축공사 한국가스공사 본사 신사옥 건립공사고덕국제신도시 삼성현장 내 사무동코오롱건설 시절 장영자-이철희 사건 의 희생양이 될 뻔했다. 당시 이동찬 코오롱 회장은 장영자와 친분이 있어서 코오롱건설을 매각하려 했는데, 매각 직전에 장영자가 체포되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