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23 00:38:05

케이한 13000계 전동차


파일:하위 문서 아이콘.svg   하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케이한 13000계 전동차/현황]]{{{#!if 문서명2 != null
, [[]]}}}{{{#!if 문서명3 != null
, [[]]}}}{{{#!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파일:케이한전기철도 로고.svg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11961> 케이한 13000계 전동차
Keihan 13000 series
京阪 13000系 電車
}}}
파일:Keihan13000.jpg
외부
차량 정보
열차 형식 도시철도 입선용 통근형 전동차
구동방식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
편성대수 4량 1편성, 6량 1편성, 7량 1편성
운행노선 파일:Keihan-KH.svg 본선, 파일:Keihan-KH.svg 오토선, 파일:Keihan-KH.svg 우지선,
파일:Keihan-KH.svg 나카노시마선, 파일:Keihan-KH.svg 키타노선
도입년도 2012년 ~ 도입중
제작회사 가와사키 차량
소유기관 케이한 전기철도
운영기관
운행시기 2012년 ~ 현재
차량 제원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전장 선두차 18,900㎜
중간차 18,700㎜
전폭 2,792㎜
전고 선두차 4,195㎜
중간차 4,116㎜
궤간 1,435㎜
급전방식 직류 1500V 가공전차선 방식
운전보안장치 K-ATS
제어방식 도요전기 VVVF-IGBT
도요전기 VVVF-Full SiC
동력장치 3상 농형 유도전동기
최고속도 영업 110㎞/h
설계 120㎞/h
가속도 2.8㎞/h/s
감속도 상용 4.0㎞/h/s
비상 4.3㎞/h/s
MT 비 2M2T, 3M3T, 3M4T }}}}}}}}}

1. 개요2. 설명3. 관련 문서

1. 개요

케이한 전기철도가 2200계, 2600계, 5000계 등의 구형차량들을 대체할 목적으로 2012년부터 현재까지 도입 중인 케이한 전기철도의 최신 통근형 전동차이다.

2. 설명

이 차량은 2008년에 제조된 3000계 이후 4년 만에 도입이 시작되어 현재까지도 증비가 계속되고 있는 차량이며 전 차량이 가와사키 중공업 효고공장에서 제조되고 있다.

그런데 2010년대에 도입한 신차인데도 불구하고 사진과 같이 더블암 팬터그래프(...)[1]가 탑재되었으나, 다행히도 2021년부터 도입되는 30번대 차량은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탑재하였다.

30번대 차량은 케이한에서 십수년 만에 6량편성으로 도입되었다. 그러나 2025년 다이아 개정으로 케이한 전철 본선의 보통열차가 전부 4량으로 감량되면서, 30번대의 중간차는 새로 제작되는 선두차와 함께 재조성된다.

몇몇 차량에는 2대 3000계의 프리미엄 카 연결로 인해 잉여가 된 2대 3000계의 일반석 중간차가 연결되어 있다.

3. 관련 문서


[1] 한국에서 운행중인 통근형 전동차의 팬터그래프와 100% 똑같은데 사실 이는 팬터그래프를 폐차 부품에서 뜯어왔기 때문(...). 이후 30번대 차량은 신품인 싱글암 팬터그래프를 도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