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2-05-18 16:07:19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모던 컴뱃/미 해병대

모던 컴뱃의 진영
미군 중국군
미 육군
미 해병대
중국군

1. 개요2. 교리
2.1. 제공권(Air Superioirty)2.2. 근거리 전투(Close Combat)2.3. 전차전(Armored Warfare)
3. 건물 및 유닛
3.1. 건물
3.1.1. 미군 본부3.1.2. 보병 사령부3.1.3. 기계화 사령부3.1.4. 전차전 사령부
3.2. 보병 및 무기반
3.2.1. 전투공병3.2.2. 해병대3.2.3. 기관총반3.2.4. 정찰 저격수3.2.5. 재블린 대전차반3.2.6. 해병대 특수작전단3.2.7. 네이비 씰
3.3. 차량 및 전차
3.3.1. 험비3.3.2. AAV-7A1 상륙돌격장갑차3.3.3. LAV-A2 수륙양용 정찰 장갑차3.3.4. M106A2 박격포 장갑차3.3.5. LAV-AT 대전차미사일 차량3.3.6. M2A3 브래들리 보병전투차3.3.7. M1A1 에이브람스3.3.8. M109A6 팔라딘 자주포

1. 개요

컴퍼니 오브 히어로즈모던 컴뱃 모드에 등장하는 미 해병대 진영. 설정상 미국이 육군과 해병대를 보내 중국 남동부에 상륙했는데 따라서 해병대가 두 진영 중 하나로 등장한다. 미 육군과 교리명은 동일하고 스킬에 몇몇 변화가 있으며 유닛 구성에도 변화가 있다. 크게 바꾸지 않으면서도 역설적으로 많은 변화를 이끌어내어 조금 더 상급자용 진영이 된 편. 모던 컴뱃 모드에서는 대체 유닛이 존재하지 않지만 해병대 진영을 일종의 대체 유닛들만 모인 진영으로도 파악할 수 있다.

2. 교리

2.1. 제공권(Air Superioirty)

전장 내부와 외부의 고정된 혹은 날개가 달린 항공자산들을 활용하십시오. 적들의 위치를 상공에서 파악하고, 항공 공격 유닛을 소환해 근접 지원을 받고, 공중을 통해 엘리트 병력을 소환해 전장에 배치하십시오.
[보너스] 소총수와 해병대, 공수부대는 위치 추적기를 장착해 적들을 추적할 수 있게 됩니다.

〈근접 지원〉
〈항공 운송〉

2.2. 근거리 전투(Close Combat)

밀집한 시가전을 위해 단련된 특수한 유닛과 전술로 적과 싸우십시오. 당신의 유닛들에게 특화된 장갑과 무기를 지급하고, 특수부대를 배치해 적의 후방을 기습하십시오. 그리고 강력한 전술 미사일을 요청해 파괴만을 남기십시오.
[보너스] 소총수와 해병대, 그린 베레는 AN-M83 연막탄이 지급되어 잠시동안 엄폐할 수 있게 됩니다.

〈무력〉
〈특수전〉

2.3. 전차전(Armored Warfare)

전세계에서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된 전쟁기계를 사용하십시오. 적 병력을 파악하기 위해 최첨단 위성을 이용하고, 당신의 보병들을 아군 차량을 지원하기 위해 무장시키십시오. 그리고 전장에 가장 강력한 기갑 유닛을 배치하십시오.
[보너스] 소총수와 해병대는 열상 고글이 지급되어 그들의 탐지 거리가 늘어납니다.

〈간접 지원〉
〈차량 공습〉

3. 건물 및 유닛

3.1. 건물

3.1.1. 미군 본부

생산 : 전투 공병
업그레이드 : 보병 사령부
업그레이드 : 기계화 사령부
업그레이드 : 전차전 사령부
업그레이드 : 구급상자

21세기식 미군 천막이 쳐 있는 본부. 건물들은 기본적으로 미 육군과 동일한 건물을 사용한다. 보병 사령부로 업그레이드하는 비용이 50인력 5연료인 데다 건설 시간이 약 3초로 매우 짧기 때문에 게임 시작하자마자 업그레이드를 클릭하고 보병 사령부를 건설하고 게임을 시작하게 된다.

구급 상자 업그레이드를 하면 미 해병대 병력들에게 국방군처럼 체력 재생을 부여하게 된다. 체력 재생량이 매우 적어 티도 안 난다는 것은 단점.

3.1.2. 보병 사령부

생산 : 해병대
생산 : 기관총반
생산 : 험비
생산 : 정찰 저격수
기능 : 의무 지원
업그레이드 : M67 수류탄
업그레이드 : 철갑탄

1티어 건물.

막사에 해당하는 건물. 미 해병대는 의무대를 따로 건설할 필요 없이 보병 사령부에서 40탄약을 소모하면 근처 모든 병력의 피를 빠른 속도로 채워준다.

3.1.3. 기계화 사령부

생산 : AAV-7A1 상륙돌격장갑차
생산 : M106A2 박격포 장갑차
생산 : 재블린 대전차반
생산 : LAV-A2 정찰차량(LAV-A2 정찰차량 업그레이드 필요)
업그레이드 : 험비 추가장갑

미군의 중간 단계 건물.

3.1.4. 전차전 사령부

생산 : LAV-AT 대전차미사일 차량
생산 : M2A3 브래들리 전투차
업그레이드 : 연막탄
업그레이드 : TOW 미사일
업그레이드 : 수리소

미군의 최종테크 건물. 미군은 먼 땅에서 침공한 상태이기 때문에 전차 지원을 받기 힘들어 최종티어까지 가더라도 전차가 아닌 장갑차량만으로 전투가 이뤄지게 된다. 스트라이커에 대전차 미사일을 장착할 시 공격력 하나는 뛰어나지만 주고받는다면 그대로 터져버리며 브래들리 전투차는 대보병이라기보단 탱킹에 집중된 형태임에 유의. 50탄약을 주고 수리소로 업그레이드하면 근처의 손상된 차량 유닛들을 자동으로 수리할 수 있게 된다.

3.2. 보병 및 무기반

3.2.1. 전투공병

시작하면 하나씩 보유하는 전투공병이다. 비실비실한 중국군에 비하면 공병 주제에 4인 분대인지라 전투력 자체도 나쁘지 않은 편. 물론 태생이 공병인 만큼 물몸인 것은 변함이 없으므로 전면전에는 함부로 투입하지 말고 조심스럽게 굴리자.

3.2.2. 해병대

미 육군 대신 미 해병대 진영을 선택할 경우 여기부터 많은 유닛이 대체된다.
해병대는 소총병 유닛을 대체하며 M4A1으로 무장한 미육군 소총수와는 달리 M16A4로 무장하고 있는 것이 특징.
가격은 260으로 저렴해졌으나 분대원 수는 단 4명으로 줄어 중공군의 물량을 상대하는 데 애로사항이 꽃핀다. 유닛 하나의 단일 전투력은 별반 차이가 없는데 분대원 수만 하나가 줄어들었으니 방어를 하고 있어도 중공군이 근접거리로 접근해 더 많은 수를 이용하여 먼저 퇴각시키게 되는 일이 잦다. 중국군의 민병대와 20인력밖에 차이가 나지 않으니 되려 미군 주제에 물량전으로 나가는 것 역시 가능하지만, 분대원 수가 4명밖에 되지 않아 죽어나가기 쉽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다. 그 대신 기계화 사령부를 건설하고 M27 IAR을 들려주면 전투력이 소총병보다도 급증해 4인 분대 주제에 다가오는 뭐든지 쓸어버릴 수 있게 된다. 가장 기초적이고 중요한 유닛이 초반에 방어를 든든하게 하고 스노우볼을 굴려야 하는 미군의 특성과 맞물려 해병대를 상급자용 진영으로 만드는 원인.
해병대는 미 육군과 달리 무기를 2개 들 수 없고 둘 중 하나를 선택해야만 한다. 슬롯이 있어 추가로 집는 경우는 가능. 두 무기 모두 성능이 출중하기 때문에 어떤 것을 선택하더라도 대보병과 대차량에 특화된 모습을 보인다.

3.2.3. 기관총반

M240 기관총을 장비하고 있는 3인 분대. 해병대의 경우 보병 사령부에서 50인력 10연료를 내고 업그레이드를 해야 철갑탄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변했다. 바닥에 거치할 시 자동으로 모래주머니가 쌓이는 기능은 동일. 가격이 250인력에서 260인력으로 살짝 늘었지만 미 육군의 기관총반에 비하면 사격각이 넓어져 거의 180도를 커버할 수 있다.

3.2.4. 정찰 저격수

미 해병대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유닛으로 저격수를 대체한다. 가격도 성능도 30탄약을 내 2인 분대가 되는 기능도 완벽히 동일하지만 티어가 2티어에서 1티어로 내려와 해병대를 보조하는 조합이 가능해졌다. 그러나 은신 성능이 모드 자체에서 너프되어 좋다고는 말하기 힘든 편.

3.2.5. 재블린 대전차반

재블린을 장비하고 있는 4인 대전차 분대. 공격력이 뛰어나지만 이 유닛의 진가는 쿨이 없는 탑 어택 모드에 있다. 기능을 사용할 시 직사 사격에서 재블린이 실제 가능하듯 공중으로 치솟았다 위에서 때려박는 식으로 공격형태가 바뀌고, 사정거리가 올라가며 데미지가 더욱 증대된다. 탑 어택 모드를 사용할 시 연사속도가 끔찍하게 내려가며 제자리에서 움직일 수 없게 되는 페널티가 있지만 쿨이 없어 여차하면 풀고 도망갔다가 또 바로 고정시켜 쏴댈 수 있다. 보병 유닛 중에서도 물몸인 것은 특히 주의.

3.2.6. 해병대 특수작전단

공수부대를 대체하는 유닛. 헬기에를 타고 내려오는 공수부대와 달리 낙하산으로 강하한다. 어째 이 쪽이 더 공수부대답다고 생각되면 기분 탓. 가장 변형이 많이 가해진 유닛으로 들려줄 수 있는 무기에 차이가 크게 생겨 운용법이 변했다. 원판인 공수부대와 동일하게 인력 충원시에도 낙하산을 타고 강하한다.

*M32A1 MGL(75탄약) : M32A1 유탄발사기를 지급해 대보병 전투력을 높인다. 무난하고 좋은 화기.
*SARC(75탄약) : 미 해병대 정찰위생병(U.S Navy Special Amphibious Reconnaissance Corpsman)을 분대에 추가해 분대 정원을 4명에서 5명으로 늘리고, 25탄약을 소모해 다른 분대를 치료할 수 있는 능력을 부여한다. 전장에서 치료가 가능해지는 것은 좋지만 탄약 소모가 극심하다. 또한 바로 5인 분대가 되는 것이 아니라 1명을 충원하는 식인데 1명 충원비가 65인력이나 되는 고급 인력이라 인력 낭비 역시 심하다.

3.2.7. 네이비 씰

근거리 전투 교리를 채택할 시 그린베레 대신 불러올 수 있는 400인력 분대 유닛. 역할과 성능, 업그레이드까지 원판 그린베레와 같으며 소음기가 부착된 소총 4정을 들려줄 시 사거리와 화력이 크게 줄어들어 쓰레기가 되는 점마저 동일하다. 유일하게 눈에 띄는 점은 철모 대신 멋진 모자를 쓰고 있다는 점.
탄약 소모량도 같으니 M82 바렛 대물저격총을 들려주고 전투에 투입하자.

3.3. 차량 및 전차

3.3.1. 험비

미 육군과 동일한 지프. 정찰과 저격수 사냥에 용이하다. 2티어 건물에서 업그레이드를 해 소화기에 대한 저항력을 향상시키는 것까지 미 육군과 동일한 유닛.

3.3.2. AAV-7A1 상륙돌격장갑차

스트라이커 보병전투차를 대체하는 미 해병대의 유닛. 여러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스트라이커와 달리 업그레이드가 전무하다. 비용이 300인력 50연료로 첫 장갑차인 주제에 연료를 많이 잡아먹기 때문에 테크가 늦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일단 뽑으면 성능은 출중한데 연료를 잡아먹는 데다 덩치가 큰 만큼 스트라이커에 비해 몸빵이 상대적으로 튼튼하며, 거의 도움 안 되는 기관총이 하나 달려 있는 게 전부인 스트라이커와 달리 기관총탑과 유탄을 발사하는 포탑이 달려 있다. 평타로 이따금씩 유탄을 발사하는데 탄속이 빨라 피하기가 힘들고 딜이 매우 세서 어지간한 보병들은 그냥 죽어나간다. 심지어 40탄약을 소모해 지정한 곳에 포탑에서 유탄을 연속으로 발사하는 스킬이 있는데 사용하면 지정된 지역에 있는 보병들은 그냥 다 죽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중공군 대전차포를 지워내는 데도 유효. 정면에서 대놓고 써도 운용병 3명이 그냥 죽어버린다. 3티어 전차전 사령부에서 연막탄 업그레이드가 가능해 생존력이 더욱 향상된다.

3.3.3. LAV-A2 수륙양용 정찰 장갑차

오리지날 푸마와 같은 퉁퉁포를 써서 대보병과 대차량을 지원하는 유닛. 대보병 성능은 나쁘지 않지만 대차량 전투를 위한 유닛이며 해병대는 2티어에 LAV-A2가 해금되기 전까지 이렇다할 대차량 유닛이 아예 존재하지 않는다. 가격은 싸지만 생산하기 위해 선행 업그레이드가 필요해 해병대가 차량에 휘둘려야 하는 원인이 된다.
75탄약을 소모할 시 LAV-AT 대전차 미사일 차량으로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3.3.4. M106A2 박격포 장갑차

박격포반을 생산할 수 없는 대신 280인력과 40연료로 생산할 수 있는 박격포 장갑차. 스트라이커 박격포 장갑차가 2티어로 내려왔지만 원래 딜이 강력한 박격포 특성상 크게 차이는 느껴지지 않는 좋은 유닛. 단 이 시간대에는 일반적으로 일선에서 몸싸움을 할 유닛이 더 궁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3.3.5. LAV-AT 대전차미사일 차량

미군의 스트라이커 대전차 미사일 차량을 대체하는 유닛. 스트라이커와 마찬가지로 2티어 LAV-25 장갑차에서 업그레이드하거나, 그냥 3티어를 해금하고 325인력과 50연료라는 저렴한 가격에 생산할 수 있다. 성능은 스트라이커 대전차 버전과 마찬가지로 적 전차를 때려잡는 데 특화된 유닛. 저렴한 가격에 전차로 정직하게 상대했다가는 대판 깨져버리는 화력을 맞이해야 하는 중공군 입장에서는 악몽과도 같은 유닛이다.

3.3.6. M2A3 브래들리 보병전투차

미 육군에서 사용하는 브래들리 보병전투차가 그대로 등장한다. 이름과 성능은 완벽히 동일해 튼튼한 유닛이 장갑차를 제외하면 전무하다고 해도 좋은 미 해병대에 한 줄기 빛이 되는 유닛.

3.3.7. M1A1 에이브람스

미 해병대 답게 m1a2가 아닌 m1a1사양이다 그래서 당연히 tusk 키트는 없고 시가전교리에서 불러오는 에이브람스도 걍 m1a1
성능자체는 m1a2와 크게 차이가 없다. 실제 성능차이가 미미해서 그런지 차이가 크지않은듯하다. 근데 이럴거면 시가전 교리는 걍 에이브람스 2대 주면 안되나 tusk도 없는데

3.3.8. M109A6 팔라딘 자주포

미 육군과 동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