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문서명 != null
문서의 [[https://namu.wiki/acl/카인(신비아파트 시리즈)|{{{#!html <span style="color: var(--espejo-link-color, var(--text-color))">ACL 탭</span>}}}]]을 확인하세요.
예고편과 오프닝을 통해 리온이 사용하는 것보다 더욱 클리프카드의 힘이 증폭된 것으로 묘사되었다. 리온이 세피르카드를 사용해 빛의 힘과 어둠의 힘을 합쳐 능력을 증폭시키는 것과 달리 완전한 어둠의 힘을 사용한다는 것이 큰 대비점.
오프닝에선 아스타로트를 무려 15발이나 동시에 쏘아대는 모습으로 나오는데, 특별판에서 리온은 호크마 한 방에 최강의 퇴마사 최강림과 뱀파이어 일족의 왕 이안을 동시에 리타이어 시키고[1] 클리프카드를 단독으로만 써서 각성 전의 루만을 압도했음을 감안하면, 카인의 전투력은 현재의 퇴마사들과는 격을 달리하는 것으로 보인다.[2][3]
10화에서부터 그 전투력이 상세히 묘사되기 시작하는데, 리온을 농락한 포이즌 코브라를 아스타로트 한 방으로 퇴치했다.[4][5]
11화에서는 포이즌 코브라를 상대로 아스타로트를 10발 이상 쏘아대고, 이 후 미라와 대적할 때도 그것도 독 중독 + 만신창이 상태임에도 나름대로 대등하게 싸웠던 데다가[6], 다크클리프 2개로 가기엘을 한번에 2개를 사용한다. 이 때 독이 퍼질대로 퍼졌음[7]을 생각하면, 카인은 신비아파트 시리즈에서 세계관 최상위권 강자 중 한명이라고 볼 수 있다.
최강림과의 우열은 불명이나, 카인은 만신창이 상태에서도 사신의 힘을 직접 받은, 만전 상태의 미라와 혼자 대등하게 맞섰고, 금지된 기술로 그의 하반신을 날려버렸다. 제압당한 이유도 누적된 데미지(리온 상태일 때 걸린 독)로 인해 기력이 빠지면서 일어난 빈틈이 원인이었다. 그 전까지는 밀리거나 힘들어하기는 커녕 분노한 미라를 조롱하듯 상대했다. [8] 반면에 강림은 만전의 상태로 하반신을 잃고 마지막 힘을 거의 소진한, 만신창이인 미라를 소멸시켰다.
그리고 지금의 전투력이 아닌 전성기 전투력, 즉 과거에서 그가 리온의 몸에 빙의한 인격 상태가 아닌 자신 스스로가 싸우는 힘이라면 인간 중에서 가장 최강이라 묘사되던 귀도 곤마저 카인과의 싸움은 장담하지 못할 것이다.
[1] 하지만 이안의 경우 피를 마시지 않아 2기보다 기운이 쇠약해졌다.[2] 실제로 다크클리프 완구 음성에서 카인 카드를 슬라이드 했을 경우, “온 아이기스가 두려워하는 나와 맞서 싸우겠다고? 하하하~!”라는 대사가 나오는 것으로 봐서, 리온과 사라, 루만보다 더욱 강하고 더 나아가 강림, 현보다 더 강한 힘을 지니고 있을 수도 있다.[3] 다크클리프 완구에서 카인 카드를 긁으면, “내 힘이 느껴지나? 너도 꽤나 강한 어둠의 힘을 지녔군. 끝나는 건 너다! 어둠과 하나가 되어라!” 라는 대사가 나오는 것으로 봐서, 카인이 리온의 어둠의 힘을 개방 시킨 후 그것을 이용 하여 목적을 이룰 것으로 추정 된다. 리온 카드를 긁으면, “스승님, 이 싸움은 정말 피할 수 없는 거겠죠? 이제 모든걸 끝낼 때다!”라는 대사에서 리온이 무언가를 결심한 듯한 말을 한다.[4] 아직 최강림과의 우열은 불명이다. 둘 다 리온을 고전시킨 괴수(포이즌 코브라, 만티코어)를 간단히 토벌했다는 공통점이 있다.[5] 차이점 이라면, 만티코어와 싸울 때 리온은 세피르카드만을 사용한 반면, 포이즌 코브라와 싸울 때는 클리프카드 기술까지 퍼부었다. 포이즌 코브라에겐 아무런 타격도 못 줬으나, 카인은 사마엘 한 방으로 그를 날려버리고, 사신의 힘을 직접 받은 미라와 전투를 치르기에 이른다.[6] 달리 생각하면 만전 상태였다면 미라를 압도하거나 더 우위로 밀어붙여 이겼을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7] 실제로 이 때문에 하리가 걱정하기도 하였고, 본인도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고 얘기했을 정도였다.[8] 전작에서 다른 사신의 힘을 받았던 최종 보스를 상대로 애를 먹은 강림, 현과는 대조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