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5 09:42:55

카드 서바이벌: 열대 섬/맵



카드 서바이벌: 열대 섬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파일:WinterSpring Games.jpg
캐릭터
파일:WinterSpring Games.jpg
파일:WinterSpring Games.jpg
아이템 및 기타
파일:WinterSpring Games.jpg
상태 및 장비
파일:WinterSpring Games.jpg
동식물
파일:WinterSpring Games.jpg
운영
인게임 카드 목록
인게임 도움말 목록
}}}}}}}}}


1. 환경 정보
1.1. 장소별 작물 성장속도
2. 장소(외부)
2.1. 해변2.2. 돌밭2.3. 해안 만2.4. 맹그로브 숲2.5. 황량한 해변2.6. 서부 초원2.7. 동부 초원2.8. 동부 고산지2.9. 정글 외곽2.10. 정글 길2.11. 깊은 정글2.12. 버드록 섬2.13. 습지2.14. 정글 고산지대2.15. 비밀의 계곡
3. 장소(내부)

1. 환경 정보

1.1. 장소별 작물 성장속도

작물의 기본 성장 속도는 1.00=7일이다. 그 후 각 지역의 조건에 따라 추가적인 성장 수치가 붙는 식. 예를 들어 성장 수치가 붙어 2.00이 된다면 다 자라는데 3.5일이 걸린다.
이름 습함 건조함 비옥함 건조+비옥함 동굴
생강 1.50 0.75 1.25 1.00 -
습함
선호
1.25 0.75 1.25 1.00 -
버섯류 1.25 0.50 1.00 0.50 1.50
건조함
선호
0.75 1.25 1.25 1.50 -
야생 대추 0.50 1.50 1.25 1.75 -
1.00 1.00 1.25 1.25 -

2. 장소(외부)

2.1. 해변


구버전 카드 서바이벌 기본 시작지점. 현재 기본 캐릭터인 사냥꾼 말고 새로운 커스텀 캐릭터를 만들어서 시작해보면 기본으로 설정된 시작 지역이 이 곳임을 알 수 있다.

해변, 해안 만, 돌밭 등의 해안 인접 지역은 초반에는 코코넛, 게, 생선 등의 식량 확보에는 유리하지만, 코코넛 외에는 수원지가 없어 물을 확보하는데는 불리하다.

또한 맑은 날씨일 때는 밤에도 광원이 있는 것으로 취급받기 때문에, 밤중에도 추가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이는 건기 환경에서 해안이 꽤 유리하게 작용하는데, 기온이 낮아서 열사병에 걸릴 위험이 낮고, 바닷물로 몸을 씻는 것으로 깨끗한 물을 아낄 수 있으며, 밤에도 양초 없이 활동할 수 있고 건조한 환경이라 말린 고기를 확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우기가 되면 해안은 심심하면 찾아오는 폭풍으로 인해 석재 시설(집수지, 염전, 가마, 돌 오두막 등)을 제외하면 죄다 초토화되므로 우기에는 잠시 다른곳으로 피난할 필요가 있다.

2.2. 돌밭


식물 종류가 없고 조수 웅덩이 때문에 냄새 디버프도 있어서 살기에는 별로 좋지 않은 곳.

2.3. 해안 만


사냥꾼의 최초 시작 지역. 평온한 해안으로 착각할 수 있지만 바다뱀과 긴꼬리원숭이가 초반의 위험요소로 자리잡고 있다.[1] 이곳을 거점으로 잡고 시작하는 플레이도 종종 있으나, 우기가 되면 태풍이 와서 조금 힘들어진다.

2.4. 맹그로브 숲

2.5. 황량한 해변

2.6. 서부 초원


정글 길과 함께 거점으로 자주 선택되는 지역 중 하나. 농사를 짓기 좋고, 태풍이 와도 아이템이 날라가거나 바람이 심해 피해야 되는 일이 없다. 바다에서 조금 먼 것은 단점.

2.7. 동부 초원

2.8. 동부 고산지

2.9. 정글 외곽


'정글'이 들어가 있어서 헷갈릴 수 있는데, 이 곳도 태풍이 오면 아이템이 날라갈 수 있는 노출된 지역으로 분류된다. 사실상 정글 길의 하위호환. 특이하게도 길을 내는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아도 해변 맵과 왕복하는 데 3분밖에 걸리지 않는다.

2.10. 정글 길


거점으로 자주 선택되는 지역. 바닷가 지형인 해안 만, 오염된 물이나 진흙을 얻을 수 있는 습지, 이 곳에서 얻지 못하는 아이템을 얻을 수 있는 서부 초원 등 유용한 맵들과 인접해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다. 탐색을 했을 때도 유용한 아이템이 많이 나온다.

2.11. 깊은 정글

2.12. 버드록 섬


헤엄을 쳐서 올 수 있는 장소. 다만 수영 숙련도가 어지간히 높아야 된다. 만렙 기준 30분이 걸린다. 나오는 거라곤 게, 구아노, 돌 종류랑 갈매기나 갈매기 시체 따위 뿐이라 돌밭 하위호환 급이지만, 유용한 아이템들이 나오는 난파선을 발견할 수 있다. 밧줄은 그냥 덤 정도고 고철조각도 유용하긴 하나 소모품이라 아쉽지만, 연료 말통은 용량이 큰 밀폐용기라 매우 유용하고 플라스틱 천도 비옷 등 유용한 아이템을 만들 수 있어 좋다. 저 아이템들이 다 나오고 나면 게 밖에 안 나오니 굳이 더 이상 탐사할 필요는 없다.

2.13. 습지

2.14. 정글 고산지대

2.15. 비밀의 계곡

3. 장소(내부)



[1] 다만 사냥꾼은 창술이 꽤 좋은 편이라 원숭이건 바다뱀이건 훌륭한 단백질 공급원이 되기 때문에 사냥꾼 스타팅에 한해서는 패널티라고 할 수도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46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4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