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30 10:01:29

충남 아산 FC/김현석호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충남 아산 FC|충남 아산 FC]]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f5cf2c><tablebgcolor=#f5cf2c>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충남 아산 FC
역대 감독
}}} ||
{{{#!wiki style="margin: 0 -10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rowcolor=#093C91> 초대 2대 3대
박동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2023)
김현석
(김현석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4)
배성재
(배성재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5~ )
: K리그1 우승 / : K리그2 우승 / : 코리아컵 우승 / : AFC 챔피언스 리그 엘리트 우승
}}}}}}}}}}}} ||
파일:미즈노 로고 조합형 화이트.svg
파일:충남 아산 FC 로고.svg
충남 아산 FC
김현석호
[[김현석(축구)|
파일:MspkFW.jpg
]]
제2대 감독
김현석
<colbgcolor=#003696><colcolor=#fff> 감독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현석 / 제2대 감독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배성재 (수석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김종영 (필드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이정래 (골키퍼 코치)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용재 (피지컬 코치)
주장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박세직 / 제3대 주장 (2024)
계약 기간 2023년 11월 1일 ~ 2024년 12월 1일
(1년 / 396일)
계약 종료 (계약 기간 만료)
연봉 비공개
전술 스타일 빌드업 축구
┗ 비대칭 백쓰리 전술
┗ 인버티드 윙백 전술

1. 개요2. 선임 과정3. 활동4. 총평

1. 개요

충남 아산 FC김현석 제2대 감독 체제를 정리한 문서.

2. 선임 과정

2023년 12월 1일 박동혁의 후임으로 충남 아산 FC의 사무국장에서 감독으로 보직을 변경하며 만 57세의 다소 늦은 나이에 프로 구단 감독으로 데뷔했다.# 최근 K리그가 젊은 지도자를 선호하는 추세에서 만 57세의 프로 구단 수장 경험이 없는 김현석 감독을 선임은 축구계를 놀라게 했다.

김현석은 “선수들과 화합하고 소통하며 열심히 뛰고 이길 수 있는 축구를 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선수단과의 상견례에서는 기술보다는 체력을 중요시 할 것이며, 원활한 소통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선수들과는 언제든 소통하며 이야기 나눌 것이라는 의지를 드러냈다. 훈련 이외의 사생활에는 일절 터치하지 않으므로 자유롭고 즐겁게 지내되, 밖의 생활의 연장선이 훈련장 안으로 들어오면 절대 안된다고 강조하면서 사생활 문제가 훈련과 축구에 영향을 줘서는 안됨을 명시했다.#[1]

3. 활동

3.1. 2024 시즌

1라운드 수원 삼성 블루윙즈 원정에서 데뷔전을 치렀고 아쉽게 2:1로 패배하였다. 경기 이후 인터뷰에서 "선수들이 원정에서 수원 팬들의 응원에 눌리지 않고 경기에 임해줘 고맙게 생각한다."라고 데뷔전 소감을 전했다.

2라운드 부천 FC 1995와의 홈경기에서 후반전 부천에게 선제 실점을 내줬지만, 후반전 71분 주닝요의 동점골이 터졌고 부천에서 퇴장이 나왔지만 팀은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3라운드 경남 FC 원정에서 1:2 승리와 K리그2에서 리그 첫 승을 거두었으며, 부임 세 번재 경기 만에 라운드 베스트팀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었고 연이어 4라운드 충북 청주 FC 충청 더비 홈경기에서 4:1 승리 및 시즌 첫 2연승을 거두며 2경기 연속 라운드 베스트팀을 수상했다.

3월 한 달 동안 승점 7점으로 K리그2 단독 선두를 달리며 프로 지도자로서 첫 달을 완벽하게 보냈다. 기존 팀의 핵심인 박세직, 이학민, 강준혁, 강민규, 박대훈 등에 새로 합류한 박병현, 최희원, 황기욱, 김종석, 그리고 U-22의 젊은 신송훈, 정마호 등으로 적절히 벨런스 있게 팀을 꾸리며 초반 돌풍을 선보이며 리그 내 충격을 주고 있다.

5라운드 성남 FC 홈경기에서 후반전 강민규의 선제골이 있었지만 후반전 83분 동점골을 내주면서 아쉽게 1:1 무승부를 거두었다

7라운드 천안 시티 FC와의 아산천안더비 홈경기에서 강민규김종석의 연속골이 나오면서 리드를 잡았지만 이내 동점골을 허용하며 아쉬운 2:2 무승부를 거뒀다.

8라운드 전남 드래곤즈와의 홈경기에서 후반 12분 정마호의 선제골이 터졌지만 1:1로 무승부를 거뒀다.

9라운드 서울 이랜드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5:0으로 대패를 하며 처참한 경기력을 보여 주었다. 특히 수비 실책으로 먹힌 것이 다수였다.

첫 라운드 로빈을 리그 9위로 마무리했다. 3월엔 좋은 출발을 보였으나 이후 전력의 한계를 보이며 순위가 많이 내려갔다.

14라운드 수원 삼성 홈경기에서 후반전 93분 황기욱의 극장 중거리 슛으로 팀의 1:0 승리를 거두었다. 경기가 끝난 뒤 직전 김포전 패배 직후 사퇴 의사를 전했으나 구단이 만류했다고 밝혔다.

18라운드 경남 FC와의 홈경기에서 4:0 대승을 거두었다. 수원 FC에서 자유 계약으로 영입한 호세의 쐐기골 주닝요의 멀티골로 시원하게 이겼다.

19라운드 성남 FC와의 원정 경기에서 또 4:0 대승을 거두었다. 공격 축구답게 주닝요의 발끝에서만 3득점이 터졌다.

20라운드 서울 이랜드 FC와의 홈경기에서 2:0으로 승리하며 지난 번 대패를 갚아 줬다. 이 승리로 리그 3위에 올랐다.

7월을 끝으로 두 번째 라운드 로빈을 4위로 마쳤다. 쟁쟁한 구단들 사이에서 플레이오프 진출 순위권을 유지하며 아산의 돌풍을 이끌었다.

9월 마지막 경기인 선두 안양 원정 경기에서 1:0으로 승리하며 리그 2위에 올랐다.#

2024년 10월 10일 K리그 9월 이달의 감독상을 수상했다.

9월 5경기 동안 고작 3실점밖에 하지 않으며 2위까지 올라왔지만, 10월 2경기에서 무려 5실점으로 잠깐 기우는 듯 했지만, 37라운드 서울전 승리로 구단 창단 첫 플레이오프 진출을 확정지었다.

하지만 10월 30일 수원 삼성전에서 패배함과 동시에 서울 이랜드가 내리 2연승을 거두며 서울에게 2위 자리를 내주고 말았다.

다행히 청주와의 리그 마지막 경기에서 4:1 대승을 거둠과 동시에 서울이 전남에 패하면서 2위로 최종 순위를 확정지었고, 3주 가량 충분한 휴식을 취하며 준비 기간을 가진 뒤 플레이오프에서 1부리그 11위팀 대구 FC플레이오프를 치르게 되었다.

11월 28일 플레이오프 대구 FC 1차전 홈경기에서 4:3 승리했지만 후반전 막판 4:1 상황에서 2실점을 내주면서 2차전 수비에 비상이 걸렸다.

2차전에서는 2:0으로 뒤지고 있던 막찬 주닝요의 극적인 페널티킥 골로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으나, 호세의 퇴장 악재 속에서 연장전에서 한 골을 더 헌납하며 아쉽게 승격은 다음 해로 미루게 되었다. 경기 종료 후 기자 회견장에서 김현석 감독은 눈물을 보이며 내년에는 플레이오프를 거치지 않고 바로 승격하겠다는 소감을 전했으며, 아산이 큰 클럽이 되려면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야 하고 예산도 늘어나야 한다고 주장했다.#

하지만 아산 구단과 재계약에 실패하며 1년만에 아산을 떠나게 되었다.

4. 총평

그 누구도 부정할 수 없는 충남 아산 구단 역사상 최고의 감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아산 무궁화 FC 시절부터 팀을 맡아 지난 시즌까지 팀의 뼈대를 만든 박동혁 감독이 떠난 와중에 프로팀 감독 경력이 없는 신인 감독인 김현석이 과연 잘해낼 수 있을지 걱정하는 목소리가 컸지만, 단 한번도 플레이오프에 진출한 적이 없는 만년 하위권 구단인 아산을 단번에 리그 준우승으로 끌어올리고, 1부 리그 승격 직전까지 가는 저력을 보여주며 역대 최고 성적을 선사하였다.

초보 감독이었지만 충남아산에서 사무국장을 한 경험을 살려 구단 프런트와 꾸준히 소통하면서 분위기를 만들었다고 하는데, 스카우트 시스템을 토대로 누구나 다 아는 선수, 비싼 선수가 아닌 능력과 잠재력은 있지만 기회를 못 받는 흙 속의 진주를 찾기 위해 노력한 결과 골키퍼 신송훈, 미드필더 정마호가 대박을 터트렸고, 경험 많은 황기욱도 충남아산에서 다시 능력을 폭발했다.[] 김포FC에서 자유계약(FA) 영입한 주닝요도 폭주를 했고 수원FC에서 실패 후 여름에 데려온 구 몬레알 현 호세도 쏠쏠한 활약을 펼쳤다. 데니손도 마찬가지며, 새로운 얼굴들 활약 속 박세직, 이학민, 이은범 등이 확실한 중심을 잡아줬다. 박대훈, 강민규, 강준혁을 비롯한 기존 자원들 활약도 빼놓을 수 없다.]

연이어 터지는 선수들을 김현석 감독이 형님 리더십으로 다 잡았다. 배성재 수석코치와 전술적 부분을 분담하고 내부 소통으로 팀 분위기를 만들면서 충남아산은 몇 경기 패하더라도 무너지지 않는 팀이 됐다.

특히 김 감독 특유의 '가물치볼'이 제대로 구현했는데,[3] 김현석 감독은 시즌 초 3백, 4백을 병행했는데 황기욱을 3백 중앙에 두면서 3백 배치를 하고 좌우 윙백에 김승호, 강준혁을 두면서 이학민, 주닝요에게 좌우 공격을 맡겼다.[4]

김승호가 중앙에 들어가 정마호, 김종석을 지원하면 순간적으로 이학민과 주닝요가 좌우로 넓게 벌렸다. 측면이 비교적 약한 충북청주를 공략하기 위한 김현석 감독의 전술적 선택이었다. 이학민은 윙백인데 순간적인 오버래핑이 장점이다. 주닝요는 일대일 돌파가 좋다. 좌우 한 쪽에서 순간적으로 밀고 들어와 충북청주 수비가 쏠리면 다른 한 쪽에서 순간적인 침투가 이뤄졌다.

중앙에 선수가 많아 다양한 곳으로 패스를 보내는 게 가능했다. 최전방 강민규도 머물고 있지만 않고 계속 움직여 공간을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는 등 상대 팀을 잘 공략하면서도 선수들의 특성을 이용하면서 시즌이 갈 수록 팀은 더 조직력을 갖췄고 잘 맞아 들었다.

[1] 사실상 황의조를 의식하고 한 발언으로 보인다. 황의조의 사생활이 결국 본인의 경기는 물론 대표팀에까지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다.[] [3] 가물치는 김현석 감독 현역 시절 별명이다.[4] 김승호 본 포지션은 윙어이고, 이학민은 윙백인 걸 알아야 한다. 조금 더 풀어가는 능력이 좋은 김승호를 윙백에 둔 건 공격 시 사실상 미드필더처럼 활용하기 위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