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1 13:32:05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

축산농협에서 넘어옴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이 문서는 협동조합에 관한 내용을 다룹니다. '축협'의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협동조합을 통합한 협동조합에 대한 내용은 농업협동조합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의 없어진 은행 및 예금취급기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81818,#e5e5e5
현존 은행 전신 법인 전신 은행
KDB산업은행 파일:한국정책금융공사 로고.svg
KB국민은행 파일:x_kb_2.png | 파일:한국주택은행 CI.svg | 파일:한국장기신용은행 CI(1990-1999).svg | 파일:동남은행 CI.svg | 파일:대동은행 CI(1989-1996).svg
농협/NH농협은행
농업은행
| [[우체국예금|
(구) 우편저금
]] | 파일:축산업협동조합 로고.svg | [[인삼협동조합|
인삼협동조합
]] | [[낙농업협동조합|
낙농업협동조합
]]
우리은행 파일:한국상업은행 CI.svg | 파일:한빛은행 CI.svg 파일:한일은행 CI(1980-1999).svg파일:한일은행 CI(1980-1999) 화이트.svg | 파일:평화은행 CI.svg
SC제일은행 파일:제일은행 CI(1982-2005).svg파일:제일은행 CI(1982-2005) 화이트.svg
하나은행 파일:외환은행 로고.svg파일:외환은행 로고 화이트.svg 파일:서울은행 CI(2001-2002)_국영문.svg파일:서울은행 CI(2001-2002)_국영문 화이트.svg | [[서울은행|
한국신탁은행
]] | 파일:충청은행 CI(1993-1998).svg | 파일:보람은행 CI.svg | 파일:하나은행 로고(2003-2015).svg
한국씨티은행 파일:한미은행 CI.svg파일:한미은행 CI 화이트.svg 파일:경기은행 로고.svg
신한은행 파일:조흥은행 CI(1999-2006).svg파일:조흥은행 CI(1999-2006) 화이트.svg 파일:동화은행 CI.svg파일:동화은행 CI 화이트.svg | 파일:강원은행 CI(1992-1999).svg | 파일:충북은행 CI(1986-1999).svg | 파일:신한은행 CI(2002-2022).svg파일:신한은행 CI(2002-2022) 화이트.svg
정렬은 지로코드순.
전신 법인: 법인은 현존하나 계열이 변경된 경우.
우체국예금은 농협금융에 흡수된 후 재설립되었음.
대한민국의 은행 | 대한민국의 비은행예금취급기관 | 각 기관의 코드 보기
}}}}}}}}}}}} ||


파일:축산업협동조합 로고.svg
설립 직후부터 해체 당시까지 사용한 로고[1]
파일:축산업협동조합 로고 1993년.svg
1993년 3월에 도입한 로고[2][3]

1. 개요2. 역대 회장3. 주요사업4. 브랜드5. 사건 사고6. 관련 문헌
기쁨 두배 축협
믿음직한 은행 축협!
[clearfix]

1. 개요

대한민국의 축산업자 협동조합 조직체로 1981년 국내 양축(養畜) 농가에 대한 협동조직을 구성하고 축산업 진흥과 구성원의 경제적, 사회적 지위향상을 통하는 목적으로 설립되었다가 2000년 7월 농협, 인삼협 등과 함께 농협에 통폐합되었다. 동시에 축협 브랜드와 구 축협중앙회의 기능[4]농협중앙회로 통합, 이관되어 현재 축산업협동조합들은 모두 농협의 간판을 달고 있다.

현재 농협 중에는 축협 혹은 축산농협이라는 명칭을 쓰는 조합이 있는데[5] 과거 축협단위조합이었던 곳이 간판만 농협 로고를 달고 이름은 기존 명칭을 그대로 쓰거나 혹은 약간만 바꾼 것이다. 은행 코드는 축협중앙회가 16, 회원조합축협은 17이었으며, 전산은 공유하였다. 축협중앙회의 지점 숫자도 그렇게 많지는 않았으며 농협 지점코드 중에서 1000번대[6]를 새로 할당받았다. 그런데 정작 축협중앙회 본점이었던 서울영업부가 089다.[7] 그러나 요즘은 신설 점포에 대해서도 1000번대를 부여하고 있기 때문에 1000번대 점포가 축협중앙회 출신이라고 단정짓긴 어렵다. 단위조합 또한 지점코드로 구분 방법이 존해는데, 축협단위조합 출신 점포들은 170000번대를 사용하는 점포가 많다. 이 경우에는 축협이나 축산농협으로 끝나는 점포 외에도 계란 등. 양계를 담당하는 양계농협 계열이나[8] 돼지를 키우는 양돈농가를 위한 양돈농협 계열[9], 꿀벌의 사육과 채취 등. 양봉업자를 위한 한국양봉농협, 토끼와 사슴의 녹용을 진행하는 한국양토양록농협, 임실군임실치즈농협과 같이 주로 동물과 관련된 축산업 계열 점포에서 사용한다. 이 점포들은 모두 과거 축협 출신 점포라는 공통점이 있다. 사실 축협 외에도 우유를 담당하는 낙농업협동조합(낙협) 출신 점포 또한 170000번대를 사용하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 또한 170000번대를 점포 코드로 사용하는 중이다. 대체적으로 동물과 관련된 점포들이 170000번대 코드를 사용한다고 생각하면 쉽다.

본점 및 영업부는 서울특별시 강동구 성내동에 있었으며 현재는 농업협동조합 서울지역본부와 서울영업부[10]로 운영되고 있다.

NH농협은행에는 축협중앙회 신용사업의 흔적이 많이 남아있지 않으나 단위조합의 경우에는 많이 남아 있다. 일단 농협중앙회에서 농협 단위조합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이름부터가 "농, 축협"인데다가, 축산농협, 축산업협동조합 등 조합이름에서 축산물을 강조하는 농협이 많다. 수표축산업협동조합이 기본 인쇄된 수표가 나온다. 또한 은행코드 16은 NH농협카드BIN xxxx-16으로 그 흔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

2. 역대 회장

3. 주요사업

기존의 농업협동조합, 수산업협동조합 등과 마찬가지로 은행 업무도 겸하였으며 농협과 마찬가지로 '땅' 과 '농촌' 을 위주로 하였지만 이전까지 농산물을 위주로 했던 농업협동조합과는 달리 주로 축산업 및 축산물 위주로 운영되었으며 축산 기술 향상, 생산지도, 생활 향상, 육류 및 우유 소비 촉진, 우량 축종, 양질의 배합 사료, 목초 종자, 축산 기자재 등과 관련한 구매 사업을 하였다. 우유의 생산과 낙농가에 대한 업무는 낙농축협에서 담당하고 있으며 축협과 업무 형태는 비슷하고 별도의 업무 영역이 구축되어 있으며 심지어 사료사업도 별도로 추진한다. 젖소가 먹는 사료와 육우가 먹는 사료 배합이 다르기 때문이다.

1980년대경에 포장육(肉) 판매 개시화에 따라 한냉과 함께 포장육 판매를 담당하기도 했으며 후에 자체 브랜드 '목우촌' 을 개발하여 육류가공품과 우유 및 유제품 등을 통해 이 브랜드를 사용하기도 했다. 2000년 7월 농협과 통합 후에는 농협이 현재까지 브랜드 유통권을 관리하고 있다.

2000년 7월 농협, 인삼협 등과 함께 농축인삼협 통폐합 방침에 따라 통합하게 되어 2000년 6월 30일 영업을 마지막으로 축협이라는 간판을 창립 20년 만에 내리게 되었다. 기존에 담당해왔던 은행 부문과 축산업 사업 부문은 농업협동조합으로 통합, 이관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지역단위 조합들은 업무 영역을 지켜 운영되고 있으므로 축협, 낙농협 등의 단어는 여전히 사용되고 있다.

한때 VISA 카드와의 제휴하에 '축협 VISA 카드' 를 신설하기도 했으나 2000년 7월 농협과의 통합에 따라 농협 VISA 카드(現 NH농협카드)로 통합되었다.

4. 브랜드

5. 사건 사고

6. 관련 문헌



[1] 로고가 효성그룹과 매우 비슷하다. 효성그룹의 로고는 거목을 상징한 것이고, 축협의 로고는 황소의 뿔과 머리를 상징하는 것이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모양새가 정말 비슷해져서 결국 법적 분쟁으로 번졌다. 효성에서 1993년 자사 로고의 상표등록 출원을 낸 것에 대해 축협에서 소송을 제기한 것. 대법원까지 간 끝에, 축협과 동일한 업종의 경우 효성이 자사 로고를 쓸 수 없도록 판결이 났다. 하지만 2000년 7월 축협이 농협과 통합되어 축산업협동조합중앙회가 해체되면서 결국 분쟁은 끝이 났다.# 효성그룹 역시 2020년대를 즈음해서 현재의 영문명 로고로 변경하였다.[2] 관련 기사[3] 다만 해체될 때까지 기존 로고와 병행해서 사용했다.[4] 신용사업, 경제사업 등[5] 예를 들면 경기도 광주시에 본점을 둔 광주지구축산농협이 있다. 광주시에서 가장 유명한 랜드 마크 중 하나이며 과거 광주군이었던 성남시, 하남시는 물론이고 심지어 서울특별시 강동구에도 지점이 있다.[6] 예로 축협중앙회 신설동지점 출신인 NH농협은행 신설동지점은 1141.[7] 축협 당시의 코드는 013.[8] 한국양계농협과 대전충남양계농협이 있다.[9] 서울경기양돈농협, 강원양돈농협, 부경양돈농협, 대전충남양돈농협, 도드람양돈농협, 제주양돈농협 등.[10] 농협으로 통합된 이후 한동안 성내동지점으로 격하(?)되었다가 서울 영업부로 승격되었다. 그런데 정작 본점 영업부도 같은 서울에 있는데 굳이 이래야 할 이유가 무엇일까? 차라리 제2 본점이나 강동중앙금융센터, 강동영업부로 운영하면 될 것을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