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4 03:56:19

내몽골 자치구

차하르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ee1c25> 베이징시
· 톈진시
· 허베이성
· 산시성
· 내몽골 자치구
랴오닝성
· 지린성
· 헤이룽장성
화둥 지구
상하이시
파일:1px 투명.svg
· 장쑤성
· 저장성
· 안후이성
· 푸젠성
· 장시성
· 산둥성
· 타이완성
중난 지구
허난성
· 후베이성
· 후난성
· 광둥성
· 광시 좡족 자치구
· 하이난성
· 홍콩 특별행정구
· 마카오 특별행정구
시난 지구
충칭시
· 쓰촨성
파일:1px 투명.svg
· 구이저우성
파일:1px 투명.svg
· 윈난성
파일:1px 투명.svg
· 티베트 자치구
시베이 지구
산시성
파일:1px 투명.svg
· 간쑤성
파일:1px 투명.svg
· 칭하이성
· 닝샤 후이족 자치구
· 신장 위구르 자치구
{{{#ffff00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1px 2px; border-radius: 3px; border: 1px solid #ffff00; font-size: 0.7em; color: #ffff00"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내몽골 자치구 관련 둘러보기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ee1c25><tablealign=center><tablewidth=310><tablebg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광시 좡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닝샤 후이족 자치구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자치구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d91e31> 민족
산융·동호† <colcolor=#000,#fff>산융† | 동호
선비&오환·거란† 선비(모용부 | 단부 | 우문부 | 탁발부 | 독발부 | 걸복부 | 하란부 | 철불부 | 독고부 | 유연)† | 오환족† | 해족† | 습족† | 오락후† | 거란
몽골족 실위(여러 부족들)† | 모골 | 둥샹족 | 다고르족 | 오이라트(준가르 | 칼미크 | 상몽골인) | 부랴트 | 몽구오르인 | 몽골인(차하르 | 할하)
국가 및 지역
독립국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자치지역 및
다수 거주지
파일:중국 국기.svg 내몽골 자치구 | 중가리아(바인궈렁 몽골 자치주 · 보얼타라 몽골 자치주) | 하이시 몽골족 티베트족 자치주
파일:러시아 국기.svg 파일:부랴티야 공화국 국기.svg 부랴티야 공화국 |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기.svg 칼미키야 공화국
해당 지리적 인종 동아시아인 | 시베리아 원주민
문화 및 언어
신화 텡그리 신앙, 거란 신화, 몽골 신화, 부랴트 신화
언어 몽골어족 }}}}}}}}}

[[중국|]][[틀:국기|]][[틀:국기|]] 중국의 자치구
내몽골자치구
[ruby(内蒙古, ruby=NèiMěnggǔ)][ruby(自治区, ruby=Zìzhìqū)] | [ruby(ᠦᠪᠦᠷ ᠮᠤᠩᠭᠤᠯ, ruby=Öbür Mongghul)]
Nei Mongol(Inner Mongolia) Autonomous Region
파일:내몽골자치구 위치.svg
지역 화베이
면적 1,183,251km²
구도 후허하오터시
최대도시 바오터우시
청사소재지 내몽골자치구 후허하오터시 싸이한구
츠러촨다제1호
内蒙古自治区呼和浩特市赛罕区
敕勒川大街1号
하위 행정구역 9지급시 3맹 23구 11현급시 17현 49기 3자치기
시간대 UTC+8
인문 환경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5px -13px"
인구 2,404만명
인구밀도 20.2명/km²
민족 구성 한족 78.74% | 몽골족 17.66%
만주족 1.95% | 후이족 0.89%
HDI 0.766 (2015)
서기 쑨사오청(孙绍骋)
정부주석 왕리샤(王莉霞)
HDI 0.767 (2017)
GRDP 전체 $3,224억 (2021)
1인당 $13,409 (2021)[1]
행정구역 약칭
행정구역코드 150000
지역전화번호 0471 ~ 0478
우편번호 010000 ~ 026000
ISO 3166-2 CN-NM }}}}}}}}}
파일:중국 국장.svg홈페이지

1. 개요2. 지리3. 역사4. 인구5. 행정구역6. 역대 영도인7. 대외관계8. 경제9. 문화10. 관광11. 인물12. 기타13. 사건 사고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내몽골 자치구중국의 자치구다. 구도(수부[2])는 후허하오터시로, 몽골어로는 후흐허트(Хөх хот), 전통적으로는 코크코타(ᠬᠥᠬᠡ ᠬᠣᠲᠠ)라 불렸다. 약칭(자동차 번호판, 车牌)은 ([ruby(蒙, ruby=méng)])이다.

중국의 5대 자치구 중 하나다.

2. 지리

만리장성과 고비 사막 사이인 중국 영토의 북쪽 국경지대에 위치하여 몽골, 러시아와 인접해 있다. 면적은 1,183,000㎢로 중화인민공화국 영토의 12% 정도며 콜롬비아보다도 크다. 국경선이 무려 4,220㎞에 이르는데, 이 가운데 몽골과 접경선이 3,192㎞, 러시아와 접경선이 약 1,000㎞이다.

역사, 문화적으로 몽골과 관련이 깊다. 북쪽으로 몽골(외몽골), 러시아와 접경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만리장성을 경계로 간쑤성, 헤이룽장성, 지린성, 랴오닝성, 허베이성, 섬서성, 산서성, 닝샤후이족자치구 등 수많은 중국 내 성들과 접하고 있다.

다싱안링 산맥(大兴安岭山脉) 동쪽 지역은 넓은 의미의 만주에 포함되기도 한다. 이 일대를 동4맹(东四盟)이라고 부르는데, 여기에 속하는 행정구역은 츠펑시(赤峰市, 구 자오우다맹 昭乌达盟), 퉁랴오시(通辽市, 구 저리무맹 哲里木盟), 후룬베이얼시(呼伦贝尔市, 구 후룬베이얼맹), 싱안맹(兴安盟)이다. 여기서 '맹(盟)'은 몽골과 내몽골자치구에만 있는, 한국의 도에 해당하는 행정구역 단위인 아이막(키릴문자: Аймаг, 몽골 문자: ᠠᠶᠢᠮᠠᠭ, 로마자: Aimag)을 한자로 음차한 것인데 현재 행정구역 개편이 되어 본래의 동4맹 중 3개가 시로 승격되었다. 현재도 이 네 곳을 묶을 땐 예전 행정구역을 따서 동4맹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바뀐 행정구역에 맞춰 3시 1맹(三市一盟)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몽골 지역은 고비 사막을 기준으로 (막)남몽골과 (막)북몽골로 나뉜다. 이러한 구분법은 명나라 때에는 중국에서도 통했던 분류법이지만, 청나라의 몽골 지배 시절 때부터 수도인 베이징을 기준으로 (중기까지 청나라 국경이던) 고비사막보다 바깥에 있는 몽골은 '외(外)몽골'이고, 고비 사막보다 안쪽에 있는 몽골 지역은 '내(内)몽골'이라고 이름을 지었다.

현재 내몽골자치구 인구의 80%는 한족으로, 몽골어보다는 중국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 내몽골에 사는 몽골족은 중국 내 소수민족이므로 "몽골인"이 아닌 "몽골족"으로 분류된다. 이들은 문화적인 부분, 특히 음악 쪽에서 중국과 혼합된 형태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렇게만 보면 내몽골의 몽골 정체성이 상당히 희석된 것 같지만, 꼭 그런 것만은 아니다. 키릴문자를 쓰는 몽골국의 몽골인과는 달리 내몽골에서는 여전히 몽골문자를 실생활에서 사용하며,[3] 몽골국 전체 인구수(300만)보다 내몽골의 몽골족 인구수(400만)가 훨씬 더 많다. 역사적으로도 남몽골의 차하르가 청나라에 가장 먼저 복속되긴 했지만, 복속된 이후에도 당대 그 누구도 막남몽골 차하르들을 '만주인'이라 하지 않았고 '몽골' 또는 '달단'(韃;, 타타르)이라 하여 만주인이나 한족과 엄격히 구분했다.

동북3성 못지 않은 혹한 지역이다. 영하 20℃인 날이 흔하며 영하 40℃ 이하도 심심찮게 찍힌다. 역대 최저기온은 북부 투리허(Tulihe)에서 기록된 영하 58°C로, 이는 중국 내 최저기온이다.

3. 역사

몽골의 역사
파일:몽골 휘장_White.svg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font-size:0.92em; letter-spacing:-0.8px"
<colbgcolor=#f5f5f5,#121212>
고대
흉노 동호
선비 · 오환
철륵 선비
유연 북위 서위·동위
돌궐 제국 북주·북제
동돌궐
돌궐 2제국
위구르 카간국
중세
요나라
서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0px 5px; border-radius: 4px; border: 1px solid #CCC; background: #376c95; font-size: 0.9em" 금나라
몽골 제국
킵차크 칸국 | 오고타이 칸국 | 일 칸국 | 차가타이 칸국 원나라
오이라트 | 티무르 제국 | 모굴리스탄 칸국 | 잘라이르 왕조 | 추판 왕조 북원
준가르 칸국 | 크림 칸국 청나라 치하 몽골
청나라
청나라 치하 몽골
근현대
러시아 제국 복드 칸국 중화민국
몽골 인민공화국 중화민국
중화민국
몽골국 중화인민공화국
내몽골 자치구
}}}}}}}}}


한나라 때는 아시아 최초의 유목제국이었던 흉노의 땅이었으며, 흉노의 후예로 추정되는 튀르크계의 돌궐 역시 몽골, 남시베리아, 북중국, 신강에 걸친 영역을 확보했다. 왕조에 들어서 태종의 북방 원정으로 중국에 귀속되어 기미주가 되었었으나 돌궐 제2제국의 중흥으로 빼앗겼고, 다시 돌궐을 멸망시킨 튀르크계 위구르 제국이 차지했다.

원래 북만주에 살고 있었던 원시 몽골족인 몽올실위족이 초원으로 진출한 후, 그들 중 한 씨족인 보르지긴 오복 키야트 씨족에서 칭기즈 칸이라는 걸출한 지도자가 나와 몽골·튀르크계 제부족을 통일하면서 몽골족이 생겼다. 이 몽골족은 나중에 중국 북부 지역을 지배하고 있던 금나라서하를 멸망시키고 몽골 제국을 세웠다.

한족인 북송 때에 티베트계 탕구트서하, 몽골계 거란족인 요나라, 퉁구스계(여진족)인 금나라가 공존했다. 특히 요나라는 남몽골 남부 전체를 지배했으나 서하와 금나라는 일부를 지배하는 데 그쳤다. 정확히 말하자면 요나라는 동남부의 츠펑 시 일대부터 서남부의 오르도스 동쪽까지 통치했고, 그 이후 오르도스 일대는 서하가, 만주에 포함될 수 있는 남몽골의 동부(蒙東; 몽동)는 금나라가 가졌으며, 몽골 고원은 칭기즈 칸이 발흥할 때까진 몽골·튀르크계의 각 부족이 길항하는 내전 상태였다.

그러다 칭기즈 칸의 등장으로 카마그 몽골에 의해 각 부족이 통일되어 '몽골'이라는 문화적, 국가적, 민족적 정체성이 드디어 생겨나게 되었다. 칭기즈 칸 등장 이전의 '몽골'은 그저 수많은 부족 중 하나인 카마그 몽골의 이름에 불과했으나 칭기즈 칸은 최초로 초원의 모든 유목민에게 몽골이라는 정체성을 부여했고, 이것이 몽골 제국, 그리고 현대의 몽골로 이어졌다. 몽골 제국은 칭기즈 칸 사후 후손들에 의해 나뉘어 지게 되었고, 그 중 하나인 원나라는 몽골과 중국을 모두 아우르는 대제국을 이루었다.

원나라 태조 쿠빌라이 칸양양 공방전애산 전투남송을 멸망시키고, 중국 대륙을 통일하면서 몽골의 전통을 벗어나 대원제국을 자처하면서 중국식 연호를 사용했고, 국자감 설립 및 과거제도를 시행하면서 유교적 국가체제를 확립했다. 여기에다 전통에 따라 전 왕조들의 역사서인 《송사》와 《금사》, 《요사》를 편찬하면서 중화 왕조임을 자처했다.

이후 주원장이 세운 명나라가 등장하면서 원나라는 한족에게 밀려 중원을 빼앗기고 몽골 고원으로 물러났다. 이때의 원나라는 스스로 북원이라 칭했다. 한동안 남몽골 일대에 북원과 여러 몽골 칸국들이 일어나 명나라와 대치했는데, 대표적인 인물이 다시금 몽골 부족을 통일한 다얀 칸과 어느 정도 부흥기를 성립시킨 알탄 칸이 있다.

파일:589px-Ming_Empire_cca_1580_(en).svg.png 파일:중국 장성.jpg

이후 남몽골 지역은 차하르 부족이 계속 다스리다가, 1635년 만주족이 세운 후금에 릭단 칸의 아들 에제이가 항복하고 이후 만주와 함께 청나라 아이신기오로 황실의 지배를 받았다. 이 일로 청나라의 황제는 원나라의 옥새를 얻어 몽골제국 대칸의 권위를 이양받았고, 남몽골은 완전히 청나라의 일부가 되었다. 이후 청나라는 만주족과 몽골족의 연합제국의 형태를 유지하며 고종 건륭제 때는 할하부가 중심이 된 북몽골까지 병합했다. 청나라는 18세기 건륭제 시기에 북몽골신강(위구르스탄), 티베트에 걸쳐있던 오이라트준가르 제국을 격전 끝에 없애버리고 이 지역들까지 정복해 버렸다.

파일:1372px-Qing_Empire_circa_1820_EN.svg.png

한편 몽골 팔기가 주둔한 팔기군 군영 중심으로 군량을 보급할 목적으로 둔전이 설치되었는데, 원래는 팔기군들이 직접 경작해야 했으나 팔기군들이 힘든 농사일을 꺼려 둔전 경작을 한족 농민들에게 맡기는 일이 많았고, 팔기군 둔전을 중심으로 한족 정착민 인구가 늘어나면서 결과적으로 한족 인구가 다수를 차지하게 되었다. 전근대 남몽골 지역은 비교적 척박한 토질에 부족한 강수량 때문에 농업으로는 충분한 소출을 얻기 힘들었으나, 아메리카 대륙에서 수입된 고구마, 감자, 옥수수, 호박 등이 도입된 것을 계기로 남몽골 지역의 인구 부양력도 증가하게 되었다. 청나라 치세 증가한 한족 인구 중 적지 않은 수가 바로 내몽골 지역으로 이주하게 된 것도 이러한 배경에서이다.

신해혁명으로 청나라가 멸망한 이후 북몽골에서 복드 칸이 독립을 선언했으나 남몽골은 독립에 호응하지 않고 중화민국에 잔류했다. 이에 북몽골 측이 남몽골을 복속하기 위해 침공을 감행했으나 원세개의 개입으로 패퇴했다. 북양정부는 남몽골의 왕공 제도를 인정하고 특수 행정구역(특별행정구)을 두어 통치했다. 이후 들어선 국민당의 국민정부는 남몽골 통치를 강화하여 1928년에 열하(熱河)특별행정구와 차하르(察哈爾, 찰합이)특별행정구, 수원(綏遠)특별행정구를 각각 열하성, 차하르성, 수원성(遠省)으로 개편하고 감숙성 영하도(寧夏道) 등을 영하성(寧夏省)으로 승격해서 관리했다. 내몽골은 장제스의 중앙정부를 지지하면서 자치권 확대를 도모했으나, 일본 제국의 세력이 만•몽에서 확장되면서 장제스보다 더 많은 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일본 측에 줄을 대기 시작했다. 1936년 데므치그돈로브를 옹립한 관동군수동사변을 일으켜 남몽골 병탄을 시도했으나 푸쭤이가 반격에 격퇴되었다. 그러나 중일전쟁 발발 이후 일본제국군에게 남몽골이 병합당했고 괴뢰국인 몽강국이 세워졌다. 신해혁명 이후부터 2차대전 시대까지 남몽골 독립 운동 역사는 해당 기사를 참고.

1945년 8월, 공산주의 몽골군과 소련군의 합동작전인 8월의 폭풍 작전으로 인해 소련군 플리예프 기병-기계화 집단이 고비사막을 건너 쳐들어와 이미 미국에 의해 망해가던 일본제국이 세웠던 괴뢰국 몽강국은 멸망하게 되었다. 당시 군비의 대부분을 해군력에만 쏟으며 미국과의 전쟁에 정신이 팔려있던 일본은 손쉽게 무너졌다. 소련은 아예 남몽골북몽골에 병합시키고, 조만간 '몽골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소련에 편입시키려 했으나 미국의 반대로 철회했다. 1945년 9월에는 내몽골 인민 공화국이라는 독립국가가 세워졌지만 몇 달 못가 중국 공산당으로 흡수되었다. 이후 남몽골은 1947년 5월 1일에 중국공산당의 행정개혁으로 흥안성(興安省; 힝간성), 수원성, 차하르성을 통합되어 몽골 자치정부(내몽골자치구)가 설치되었다. 이때에 열하성, 영하성 등의 일부가 편입되었다.

1966년, 문화대혁명의 광기가 온 중국을 휩쓸면서 마오쩌둥은 내몽골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를 더욱 강화하려는 목적에서 덩샤오핑을 내몽골 자치구로 파견했다. 덩샤오핑은 내몽골 자치구 정부주석을 맡고 있던 우란푸를 소환한뒤 분열주의자, 지역주의자라고 맹비난을 퍼붓고 실각시켜버렸다. 우란푸는 저우언라이가 보호해 이름을 왕자력이란 한족풍으로 바꾸고 나서 은거해 목숨을 부지할 수 있었다. 또한 중국 정부에서 이미 해체된 내몽골 인민혁명당이 다시 재결성되었다고 주장하면서 수많은 몽골인들이 이 내몽골 인민혁명당 분자로 간주되어 잇달아 검거 투옥당하는 내몽골 인민혁명당 숙청 사건이 발생했다.

이후 내몽골 자치구는 정부가 폐지되고 인민해방군의 군정이 시행되었으며 1970년에는 주변 각 성에 갈갈히 찢어져 분배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몽골어로 된 출판 행위도 금지되었다. 몽골인 학살 광풍은 여기에 그치지 않고 동북삼성, 신장 위구르 자치구, 티베트, 간쑤성 등에서 몽골인들을 닥치는대로 분열주의자, 지역주의자 누명을 씌워 체포 투옥한후 온갖 고문을 가한 끝에 살해하는 일이 비일비재했다. 몽골인들은 그 과정에서 혀와 코를 베이거나, 뜨거운 물을 맞거나, 이빨을 뽑히거나 목이 매달렸다. 이런 광풍은 1976년 마오쩌둥이 죽고 나서야 겨우 진정되었다.

1979년, 내몽골 자치구가 다시 설치되었고 우란푸도 복권되긴 했으나 이미 수많은 몽골인들이 학살되고 난 이후였다.

4. 인구

인구 구성은 내몽골 자치구란 말이 무색하게 80%에 육박하는 주류 한족(漢族)을 비롯하여 그 다음 몽골족[4], 다우르족[5], 어웡키족, 오로촌족, 시버족, 후이족, 러시아계 중국인, 조선족 등 49개 민족이 있다. 서부에는 중앙아시아 계열 튀르크, 이란계 민족도 있다. 소수민족의 비중은 자치구 전체 인구의 약 20%이며, 몽골족은 약 400만 명에 이른다.

내몽골 인구가 약 2,400만명으로 중국치곤 워낙 적어서 대부분의 주민이 청나라 때와 그 이후 이주한 한족으로 채워졌다.[6] 인구의 약 80%가 한족이라는 현실 때문에 티베트, 위구르와 달리 분리독립 움직임이 매우 미약하다. 이는 같은 민족이 주류이자 독립국가인 몽골의 힘이 티베트의 지원국인 인도, 위구르의 지원국인 튀르키예와 천양지차인 점도 있다.[7]

현재 중국 땅인 내몽골의 인구는 몽골보다도 많다. 중국 전체의 몽골족 수는 약 500만 남짓인 반면, 몽골 전체 인구는 2021년 기준 334만명 정도이다. 경제적으로도 내몽골의 1인당 국민소득이 몽골의 3배 가까운 수준에 해당되기 때문에 몽골에서 노동자들이 일하러 오는 판이다.[8]

내몽골에서 몽골어는 몽골족들의 모어(母語)이지만 그렇다고 모든 내몽골 주민들의 모어는 아니다. 몽골족들도 중국어를 (제2언어로서) 무리없이 구사할 수 있는 반면에 몽골어를 구사할 수 있는 한족들은 거의 없다고 보아도 된다.

게르에 진짜로 살면서 유목하는 유목민이 아직도 꽤 남아있는 몽골과 달리[9] 내몽골의 게르는 대부분 관광지이다. 실제 대다수의 내몽골인들은 큰 도시에서 정착 생활을 한다. 게르가 있다고 해도 별장용이거나 돈이 없어서 게르에 사는 수준이다. 21세기 들어선 오히려 내몽골의 도시에서 나고 자란 방송국 PD가 게르 생활을 체험하는 내용의 "도시아들"이란 예능이 내몽골 TV의 인기 프로그램이 될 정도. 이는 내몽골의 기후변화와 중국-몽골-러시아의 확실한 국경선 설정 등으로 고비사막 이북의 초원지대가 대부분 몽골에 귀속되었고, 국경 때문에 자유로운 유목이 힘들어져 전통적인 유목이 거의 불가능 해졌기 때문도 있다. 한국인 관광객이 내몽골에 여행와서 접할 만한 게르 등 유목민 거주지는 한국으로 치면 민속촌이나 한옥마을 비슷한 곳이라 보면 된다. 다만 어디까지나 게르에 살면서 유목지를 자유로이 떠돌아다니는 식의 전통적인 유목이 불가능해졌다는 얘기지, 광활한 초원에 가축을 풀어놓고 양식하는 의미의 유목이라면 아직도 하고 있다.

5. 행정구역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ee1c25>
파일:중국 국장.svg
}}}
{{{#!wiki style="color: #ffff00;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rowcolor=#fff> 지급행정구
지급시 9, 3
현급행정구
시할구 23, 현급시 11, 17, 49, 자치기 3
후허하오터시
성도
呼和浩特市
신청구
新城区
후이민구
回民区
위취안구
玉泉区
싸이한구
赛罕区
퉈커퉈현
托克托县
허린거얼현
和林格尔县
칭수이허현
清水河县
우촨현
武川县
투모터 좌기
土默特左旗
바오터우시
包头市
둥허구
东河区
쿤두룬구
昆都仑区
칭산구
青山区
스과이구
石拐区
바이윈어보광구
白云鄂博矿区
주위안구
九原区
구양현
固阳县
투모터 우기
土默特右旗
다얼한마오밍안 연합기
达尔罕茂明安联合旗
우하이시
乌海市
하이보완구
海勃湾区
하이난구
海南区
우다구
乌达区
츠펑시
赤峰市
훙산구
红山区
위안바오산구
元宝山区
쑹산구
松山区
린시현
林西县
닝청현
宁城县
아루커얼친기
阿鲁科尔沁旗
바린 좌기
巴林左旗
바린 우기
巴林右旗
커스커텅기
克什克腾旗
웡뉴터기
翁牛特旗
카라친기
喀喇沁旗
아오한기
敖汉旗
퉁랴오시
通辽市
커얼친구
科尔沁区
훠린궈러시
霍林郭勒市
카이루현
开鲁县
커얼친 좌익중기
科尔沁左翼中旗
커얼친 좌익후기
科尔沁左翼后旗
쿠룬기
库伦旗
나이만기
奈曼旗
짜루터기
扎鲁特旗
어얼둬쓰시
鄂尔多斯市
둥성구
东胜区
캉바스구
康巴什区
다라터기
达拉特旗
준거얼기
准格尔旗
어퉈커 전기
鄂托克前旗
어퉈커기
鄂托克旗
항진기
杭锦旗
우선기
乌审旗
이진훠뤄기
伊金霍洛旗
후룬베이얼시
呼伦贝尔市
하이라얼구
海拉尔区
자라이눠얼구
扎赉诺尔区
만저우리시
满洲里市
야커스시
牙克石市
자란툰시
扎兰屯市
어얼구나시
额尔古纳市
건허시
根河市
아룽기
阿荣旗
천바얼후기
陈巴尔虎旗
신바얼후 좌기
新巴尔虎左旗
신바얼후 우기
新巴尔虎右旗
어룬춘 자치기
鄂伦春自治旗
어원커족 자치기
鄂温克族自治旗
모리다와 다우르족 자치기
莫力达瓦达斡尔族自治旗
바옌나오얼시
巴彦淖尔市
린허구
临河区
우위안현
五原县
덩커우현
磴口县
우라터 전기
乌拉特前旗
우라터 중기
乌拉特中旗
우라터 후기
乌拉特后旗
항진 후기
杭锦后旗
우란차부시
乌兰察布市
지닝구
集宁区
펑전시
丰镇市
줘쯔현
卓资县
화더현
化德县
상두현
商都县
싱허현
兴和县
량청현
凉城县
차하얼 우익전기
察哈尔右翼前旗
차하얼 우익중기
察哈尔右翼中旗
차하얼 우익후기
察哈尔右翼后旗
쓰쯔왕기
四子王旗
싱안맹
兴安盟
우란하오터시
乌兰浩特市
아얼산시
阿尔山市
투취안현
突泉县
커얼친 우익전기
科尔沁右翼前旗
커얼친 우익중기
科尔沁右翼中旗
자라이터기
扎赉特旗
시린궈러맹
锡林郭勒盟
시린하오터시
锡林浩特市
얼롄하오터시
二连浩特市
둬룬현
多伦县
아바가기
阿巴嘎旗
쑤니터 좌기
苏尼特左旗
쑤니터 우기
苏尼特右旗
둥우주무친기
东乌珠穆沁旗
시우주무친기
西乌珠穆沁旗
타이푸쓰기
太仆寺旗
샹황기
镶黄旗
정샹바이기
正镶白旗
정란기
正蓝旗
아라산맹
阿拉善盟
아라산 좌기
阿拉善左旗
아라산 우기
阿拉善右旗
어지나기
额济纳旗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background-color: rgba(255, 0, 0, .2)"
색인: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padding: 3px; text-align: center"
}}}}}}}}}


중국어/몽골어

6. 역대 영도인

파일:중국 국장.svg
내몽골 자치구 영도인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주석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내몽골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초대
우란푸
내몽골 자치구 인민위원회 주석
초대
우란푸
내몽골 자치구 혁명위원회 주임
초대 제2대 제3대
텅하이칭 유타이중 궁페이
내몽골 자치구 인민정부 주석
초대 대리 제2대
궁페이 뵈그 울제이
제3대 제4대 제5대
윈부룽 오윤치메그 양창
제6대 제7대 제8대
바타르 부샤오린 왕리샤 }}}}}}}}}}}}}}}
{{{#!wiki style="margin: -0px -10px;"
{{{#ffff00 {{{#!folding [ 중국공산당 지방위원회 서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FFF
초대 제2대 제3대
우란푸 제쉐궁 유타이중
제4대 제5대 제6대
저우후이 장슈광 왕췬
제7대 제8대 제9대
리밍주 추보 후춘화
제10대 제11대 제12대
왕쥔 리지헝 스타이펑
제13대
쑨사오청 }}}}}}}}}}}}}}}

7. 대외관계

중화권 상호관계 관련 문서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6px"
공통
하나의 중국 · 두 개의 중국(화독) · 중화권(중화권/상호 왕래) · 화교 · 한자문화권 · 중국 본토
정치관계 대만/외교 · 대만 해협 위기 · 92공식 · 양안관계(2020년대) · 중화 타이베이
정치성향·정체성 범람연맹(친중화민국 · 중화민국빠) · 범록연맹(친대파 · 대만빠) · 친중공파 · 대만인(본성인 · 외성인 · 대만 원주민) · 반대만
관련 운동 타이완 독립운동(해바라기 운동) · 화독 · 양안통일
관련 사례 TWICE 쯔위 청천백일만지홍기 논란 · hololive 키류 코코-아카이 하아토 대만 언급 논란 · Gen.G 중국 주권 및 영토의 무결성 지지 포스팅 논란
기타 타이완성(중화인민공화국) · 타이완 넘버원 · ECFA
정치관계 홍콩-본토 관계 · 일국양제 · 일국일제 · 홍콩 내셔널리즘
정치성향·정체성 홍콩인(민주파 · 본토파 · 중간파 · 건제파)
관련 운동 홍콩 시위 · 홍콩 독립운동 · 홍콩 민주화 운동(2014년 · 2019년)
대만-홍콩 관계
마카오인 · 마카오-본토 관계
티베트 독립운동 · 티베트 망명정부 · 중국-티베트 관계 · 대만-티베트 관계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중화권-위구르 관계
중국-싱가포르 관계 · 대만-싱가포르 관계 · 중국계 싱가포르인 · 싱가포르(주)
중국-내몽골 관계
기타
중국/정치(중국공산당 · 홍콩/정치 · 마카오/정치) · 대만/정치(중국국민당 · 민주진보당) · 天安門 天安门 法輪功 李洪志 Free Tibet 劉曉波 · 국수주의/행태/중국 · 대만민국 · 중뽕 · 중국/외교(홍콩/대외관계) · 대만/외교 · 중국 대륙 · 타이완 섬 · 중화민족(중화사상) · 중국/경제(홍콩/경제 · 마카오/경제) · 대만/경제 · 중국몽 · 민주당파(중국민주당) · 신중국연방 · 중화권-러시아-만주 관계 · 위구르-티베트 관계 · 제하주의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아시아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

7.1. 몽골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몽골-내몽골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중국과의 관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중국-내몽골 관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경제

강 계곡에서는 밀과 같은 작물의 농사가 우선이다. 더 건조한 초원에서는 염소, 양 등의 목축이 전통적인 생계 수단이다.동쪽의 대흥안 산맥에서는 임업과 사냥이 다소 중요하다. 에벤크족 자치기에서는 에벤크족에 의해 순록의 목축이 행해진다. 최근에는 포도 재배와 와인 제조가 우하이 지역의 경제 요인이 되고 있다.

내몽골은 석탄, 캐시미어, 천연가스, 희토류 원소를 비롯한 자원이 풍부하고 자연발생 니오브, 지르코늄, 베릴륨의 매장량이 중국의 다른 어떤 성급 지역보다 많다. 그러나 과거에는 자원의 개발 및 활용이 다소 비효율적이어서 풍부한 자원의 수익률이 저조했다. 내몽골은 또한 중요한 석탄 생산 기지로서 세계 석탄 매장량의 4분의 1 이상이 이 지방에 위치하고 있다. 2010년까지 연간 석탄 생산량을 2억 6,000만t에서 5억t으로 두 배로 늘릴 계획이다.

내몽골의 산업은 주로 석탄, 발전, 임업 관련 산업 및 관련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다. 내몽골은 현재 에너지, 화학, 야금, 장비 제조, 농산물(유업 포함) 가공, 첨단 기술 등 6개 경쟁 산업을 장려하고 있다. 잘 알려진 내몽골 기업으로는 ERDOS, Yili[10], Mengniu[11] 등이 있다.

2015년 내몽골의 명목 GDP는 1조 8,000억 위안(2,721억 달러)이었고, 2010-2015년에 비해 연평균 10% 증가했다. 2015년 1인당 GDP는 11,500달러로 상하이, 베이징, 톈진에 이어 중국의 31개 성 중 4위에 올랐다.

중국의 많은 지역과 마찬가지로 경제성장은 새로운 상업개발과 대규모 아파트 단지를 포함한 건설 붐으로 이어졌다. 내몽골은 천연자원이 풍부할 뿐만 아니라 초원지대에서 발달하는 강풍 덕분에 중국 내 최대 풍력발전능력을 보유하고 있다. 일부 민간기업들은 내몽골 일부에 바링묘오, 후퉁량, 저우쯔에 윈드파크를 설치했다.

9. 문화

몽골족 전통 복장인 델(Deel)을 입고 장화를 신으며 허리띠를 즐겨 찬다. 쇠고기와 양고기를 즐겨 먹으며, 분해와 조립이 간편한 천막 모양의 이동식 주택인 게르(Ger)에서 산다. 오늘날에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많으며 아파트나 현대식 가옥, 또는 게르촌을 이루며 살고 있다. 내몽골 지역의 게르촌은 사실상 관광객들을 위한 숙박시설이 대부분이며 실제 유목민들이 사는 곳은 많지 않은 편이다.

해마다 7월 중순에는 몽골인이 모여있는 곳에서 나담(Наадам) 축제를 열어 물품을 교환하고 기마·사격·씨름 경기 등을 거행한다. 몽골국에서는 국가적인 행사로 진행되며 타국에 거주하는 몽골인들도 이 축제를 즐긴다.

소련의 영화감독 니키타 미할코프의 1991년 베니스 황금사자상 수상작 <오르가(Close to Eden)>는 내몽골 유목민에 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 문화대혁명 시기 내몽골 지역 유목민들에 대한 이야기를 담은 소설 《늑대 토템》이 있고, 이를 원작으로 한 2015년 영화 "울프 토템"이 있다. 감독은 에너미 앳 더 게이트로 유명한 장 자크 아노.

10. 관광

승마, 풀썰매 등이 인기가 높다.

11. 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내몽골 자치구 출신 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2. 기타

이곳의 쇠고기, 양고기, 우유는 중국 안에서 최고급으로 평가받으며 생산량도 1위이다.

성급행정구 중 제일 많은 공항을 보유했다.

내몽골 지란타이 동쪽에는 인민해방군 로켓군(PLARF)이 이동식 미사일 발사대, 지원차량, 사일로 기반 탄도미사일의 미사일 요원을 훈련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탄도미사일 훈련장이 있다.

황사나 미세먼지 근원을 이야기할 때 중국의 지명으로서 언급되기도 한다.

어얼둬쓰시(오르도스)는 한때 미분양 부동산이 지나치게 많아서 유령도시처럼 되어버린 곳이였다.

뉴멕시코와 마찬가지로 이름이 현재 소속국가와 다르다. 뉴멕시코는 지명은 멕시코인데 소속 국가는 미국이며 내몽골 자치구는 이름은 몽골인데 소속국가는 중국이다. 둘 다 건조기후 지역인점도 비슷하다.

북아일랜드와도 공통점이 있다. 북아일랜드는 영국에, 내몽골자치구는 청나라의 식민지배로 인해 본토와 분리되었다는 점과, 본토와의 인구학적 차이로 외세의 영토로 남을 것을 선택했다는 점이다.[14]

13. 사건 사고

14. 관련 문서



[1] 증권시보[2] 자치구의 지방정부 및 중국공산당 지구당 소재지를 기준으로 한다.[3] 2022년 현재는 몽골국의 중, 고등학교에서도 내몽골처럼 몽골 전통 문자를 의무교육하므로 읽기 자체는 가능하다. 또한 2025년까지 몽골 정부 차원에서 키릴 문자와 전통 문자를 함께 쓰는 정책을 추진중이다.[4] 여기서 몽골족은 독립국 몽골의 국민이 아니라 자치구내에 살고 있는 소수민족인 몽골족을 의미한다.[5] 거란의 후예 민족으로 자기들 조상을 요나라 태조로 본다.[6] 상술한 것처럼 몽골 팔기군들이 힘든 농사일을 꺼려 둔전 경작을 한족 농민들에게 맡기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었다.[7] 인도는 제3세계의 수장국으로서 국제 세계에서 갖는 입지가 굉장히 큰 나라이며, 튀르키예는 인도 정도까진 아니더라도 동유럽, 남유럽 및 중근동 지역의 확실한 패권국이다. 그러나 몽골은 2010년대 기준 내몽골보다도 인구가 적고 사실 내몽골 사람들하고도 역사적으로 갈등이 좀 있기 때문에, 오죽하면 일각에선 내몽골이 중국에서 독립해도 몽골과 내전을 벌일지도 모른다는 관측마저 할 정도다. 물론 그와 별개로 몽골(북몽골)과 내몽골, 부랴티야 공화국의 몽골족 개개인간 교류는 활발한 편이다.[8] 다만 몽골에서는 내몽골보다는 한국으로 일하러 가는것을 더 선호하는 편인데, 이유는 별거없고 한국이 중국보다 급여수준이 2배 이상 더 높기 때문이다.[9] 물론 울란바토르처럼 대도시로 몰려들면서 유목 생활을 포기하는 비율이 늘고 있다.[10] 중국 유제품 1위, 아시아 유제품 1위[11] 중국 유제품 2위[12] 내몽골 출신 최초의 NBA 선수로 비록 NBA에 있었던 시간은 3시즌 뿐이고, 그 기간동안 팀에 큰 역할을 한 것도 아니지만, 2002-03 시즌 샌안토니오 스퍼스 소속으로 무려 NBA 우승을 했다. 견자단 주연의 영화 "8인 : 최후의 결사단"에도 출연한 것으로 유명하다.[13] 중국 유제품 2위 기업.[14] 북아일랜드의 경우 천주교도 아일랜드인이 주류인 본토와는 달리 개신교도가 흔하며 비교적 최근에 잉글랜드나 스코틀랜드에서 넘어온 이들의 후손도 많다. 내몽골의 차하르족 역시 외몽골할하족과는 예전부터 사이가 썩 좋지 못했고, 인구의 과반수가 애초에 한족이다. 그래서 둘 다 각각 영국과 중국에 잔류할 것을 스스로 선택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