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14 19:16:52

진보당/제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진보당 제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파일:20240530101555_22.png
{{{#!wiki style="margin: -17px -12px" 2022년 7월 22일
2기 당직선거
2024년 6월 14일
3기 당직선거
2026년
4기 당직선거
}}}
선거대상 상임대표 1인
일반대표 3인
계급계층조직 중앙대표 각 1인[여]
시·도당 위원장 및 부위원장
계급계층조직 시·도 대표
지역위원회 위원장
지역위원회 부위원장
계급계층조직 현장조직 (부)대표
중앙위원
중앙당 대의원
시·도당 대의원
방식 본선: 진성당원 투표(100%)
링크 파일:진보당(2020년) 로고.svg (전국동시당직선거 홈페이지)
1. 개요2. 일정3. 상임대표 선거
3.1. 최종 등록 후보
3.1.1. 정태흥 현 공동대표3.1.2. 김재연 전 국회의원
3.2. 미등록 후보군
4. 일반대표 선거
4.1. 최종 등록 후보
4.1.1. 장진숙 현 공동대표4.1.2. 신창현 인천시당 위원장
5. 계급계층조직 중앙대표 (전원 단선)
5.1. 노동자당: 김창년 현 건설노조 수도권북부지부장5.2. 농민당: 이대종 전 전농 정책위원장5.3. 빈민당: 이경민 현 빈민당 대표5.4. 청년진보당: 홍희진 현 청년당 대표
6. 개표 결과
6.1. 상임대표6.2. 일반대표6.3. 계급계층조직 중앙대표
7. 총평8. 여담
[clearfix]

1. 개요

진보의 미래, 국민과 함께!
2024년 6월 10일부터 6월 14일까지 치러지는 동시당직선거.

진보당이 원내정당이 된 후 치르는 첫번째 당직선거이다. 또한, 진보당 역대 대표 선거 중 처음으로 단선이 아닌 경선의 형식으로 치루어지는 선거이기도 하다.

2. 일정

비고 날짜
당권회복[2] 기간 5월 6일(월) ~ 5월 19일(일)
선거공고 5월 21일(화)
선거인명부 작성 5월 22일(수) ~ 23일(목)
명부열림 및 이의신청 5월 24일(금) ~ 5월 26일(일)
선거인명부 확정 5월 27일(월)
후보등록 5월 28일(화) ~ 5월 29일(수)[3]
후보자 안내 5월 29일(수)
선거운동 5월 30일(목) ~ 6월 9일(일)
후보자 토론회 6월 7일(금)
투표 6월 10일(월) ~ 6월 14일(금)[A]
개표 6월 14일(금) 18:00시[A]

3. 상임대표 선거

3.1. 최종 등록 후보

3.1.1. 정태흥 현 공동대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주자에 대한 내용은 정태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6001C> 1 정태흥 (鄭泰興)
파일:정태흥 프로필.png
출생 1971년 6월 15일 ([age(1971-06-15)]세)
전라남도 장흥군
출신 정파 경기동부연합[6]
현직 진보당 공동대표 겸 정책위의장
경력 한총련 3기 의장
민주노동당 전략기획실장
6회 지방선거 통합진보당 서울시장 후보
민중당 초대 공동대표 겸 정책위의장
슬로건 유능한 진보, 강한 진보당
한총련의 의장을 지낸 인물로, 서울 강북에서 미약하게나마 진보당의 당세를 유지해오고 있는 정치인이다. 22대 총선의 비례대표 경선에서 장진숙, 전종덕, 손솔 등과 경쟁했고 당원투표에서 4위로 떨어지며 결과적으로 공천을 받지는 못한 바 있다. 당내 자주파의 핵심인물로 민주노동당 시기부터 통일운동에 헌신해왔다. 다만 조직력과 인지도는 김재연 의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다. 5월 29일, 출마를 선언했다.#
진보당이 진보의 정체성을 잃어버렸다는 비판이 아프게 다가옵니다.

우선, 연대의 원칙과 진보의 가치가 훼손되었습니다. 민주당은 민주/진보/개혁/시민 연합을 마치 위성정당처럼 운영하였습니다. 자주와 통일에 헌신한 후보들을 일방적으로 사퇴시켜 종북 색깔론에 굴복했습니다. 원내 진출을 위해 이렇게까지 희생해야 하나 굴욕을 느끼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또한, 당원 민주주의가 심각하게 훼손되었습니다. 진보정당 20년 역사에서 당원 총투표로 선출되지 않은 후보가 의원에 당선된 건 초유의 일입니다. 진보정당의 생명선인 당원 주권, 진성당원제가 무너진 것입니다.

바로 잡겠습니다. 진보의 가치를 지키고 연대의 원칙을 사수하겠습니다. 진보당을 ‘당원 중심 대중정당’으로 바로 세우겠습니다.
출마 선언문 中
출마 선언문에서 민주연합 참여에서 장진숙 후보와 본인이 낙마한 것을 두고 종북 색깔론에 굴복했다라는 강한 표현을 쓰며 이례적으로 지도부의 더민련 참여에 회의적인 의견을 드러냈다.[7] 민주당과 구별되는 선명성으로 승부해야하는 광주전남연합 측으로부터 지지를 받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1.2. 김재연 전 국회의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주자에 대한 내용은 김재연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6001C> 2 김재연 (金在姸)
파일:김재연(진보당).jpg
출생 1980년 11월 27일 ([age(1980-11-27)]세)
경상북도 경산시
출신 정파 경기동부연합
현직 의정부시 지역위원장
경력 한총련 10기 의장 선거 후보 (낙선)
21세기 한대련 집행위원
제19대 국회의원
진보당 1기 상임대표
20대 대통령선거 진보당후보
슬로건 김재연과 함께, 열자! 제7공화국
독재 정권을 무너뜨린 자리에 또 다른 독재 세력이 자라나 순식간에 대지를 덮어버리는 광경을 우리 역사는 수차례 반복해 왔습니다. 7년 전 엄동설한 차가운 아스팔트 위에서 독재자 대통령을 탄핵시키고도, 나라다운 나라를 바로 세우지 못한 것은, 전면적인 사회대개혁으로 새로운 질서를 수립하지 못한 '무능한 정치' 때문입니다.

윤석열 탄핵 이후의 새로운 제7공화국을 준비하는 것은 지금 시기 야당에게 부여된 임무입니다. 원내 유일 진보정당으로서 진보당은 정권 교체의 목표를 넘어 낡은 87년 체제를 전환해내는 진보적 개헌의 소임을 다하겠습니다.
출마 선언문 中
제19대 국회의원과 진보당의 1기 상임대표를 지낸 인물로, 경기동부연합 출신이다. 제7공화국 개헌을 공약으로 내세우며 5월 27일 출마를 선언했다.# 지난 대선 때 진보당의 후보로 출마하였고 윤희숙과 더불어 진보당의 당세를 회복하는데 큰 공헌을 한 인물이다.

2020년 총선 이후 진보당을 안정적으로 지도한 인물로 당원들 사이에서 인망이 높으며, "포스트 이정희"로 전통적인 지지층에서도 기대를 거는 면이 크다. 조직력과 인지도에서도 모두 정태흥에 앞서있어 유력 후보로 꼽힌다.

3.2. 미등록 후보군

4. 일반대표 선거

4.1. 최종 등록 후보

4.1.1. 장진숙 현 공동대표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주자에 대한 내용은 장진숙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6001C> 1 장진숙 (張珍淑)
파일:IMG_8828.jpg
출생 1980년 11월 27일 ([age(1974-09-18)]세)
경상남도 마산시
출신 정파 울산연합
현직 진보당 공동대표
경력 한총련 15기 간부
민중당 기획국장
진보당 기획실장
진보당 지방자치위원장
더불어민주연합 비례대표 후보 (사퇴)
슬로건 윤석열 탄핵!
지방선거 당선자 100명 이상 배출!

4.1.2. 신창현 인천시당 위원장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주자에 대한 내용은 신창현(1969)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colbgcolor=#D6001C> 2 신창현 (申昌眩)
파일:진보당 신창현.jpg
출생 1969년 9월 3일 ([age(1969-09-03)]세)
전라남도 강진군
출신 정파 인천연합[9]
현직 진보당 인천광역시당 위원장
경력 서총련 북부지구의장
한총련 1기 대변인
민주노동당 부대변인
6회 지방선거 통합진보당 인천시장 후보
민중당 수석대변인
슬로건 대표 인물을 세우고,
당의 존재감을 키워 지방선거 승리!
수권정당으로 진일보!

5. 계급계층조직 중앙대표 (전원 단선)

5.1. 노동자당: 김창년 현 건설노조 수도권북부지부장

당원중심! 현장중심! 진보집권 노동자 당원이 열자!

5.2. 농민당: 이대종 전 전농 정책위원장

일만 농민당원 힘으로 탄핵 개헌 농민3법 제정하자

5.3. 빈민당: 이경민 현 빈민당 대표

도시빈민! “정치의 배경대에서 정치의 주인으로”
윤석열 탄핵! 진보집권의 시대를 열겠습니다!

5.4. 청년진보당: 홍희진 현 청년당 대표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진보정치, 청년당원들의 힘으로 열겠습니다!

6. 개표 결과

6.1. 상임대표

진보당 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상임대표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정태흥(鄭泰興) 8,730 2위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30.96% 낙선
2 김재연(金在姸) 19,464 1위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69.04% 당선
선거인 수 40,605 투표율
69.43%
투표 수 28,194
무효표 수

6.2. 일반대표

진보당 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일반대표 선거
기호 이름 득표수 순위
정당 득표율 비고
1 장진숙(張珍淑) 비공개 당선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2 신창현(申昌眩) 당선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로고.svg
선거인 수 40,605 투표율
69.43%
투표 수 28,194
무효표 수

6.3. 계급계층조직 중앙대표

진보당 3기 전국동시당직선거
계급계층조직 중앙대표 선거 (단선)
이름 투표수 비고
조직 투표율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아이콘.png 김창년 17,478 당선
노동자당
69.30%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아이콘.png 이대종 1,068 당선
농민당
54.08%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아이콘.png 이경민 331 당선
빈민당
63.53%
파일:진보당(2020년) 흰색 아이콘.png 홍희진 796 당선
청년진보당
77.73%

7. 총평

8. 여담


[여] 여성-엄마당 대표는 미등록함.[2] 당비를 내지 않은 일반당원이 4개월 분의 당비를 내고 당직자 선거 투표권을 얻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말한다.[3] 울산은 5월 30일~31일[A] 투표율 미달시 15일까지[A] [6] 정확히는 범경기동부연합에 속하는 서울연합 출신.[7] 다만 정태흥은 더불어민주연합 참여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인물이기도 하다.[8] 토론회에서 김문수 민주당 후보를 강하게 몰아붙이는 모습이 화제가 되기도 하였다.[9]경기동부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