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3 23:53:28

준천시사열무도

파일:수문상친림관역도.jpg
수문상친림관역도(水門上親臨觀役圖)

파일:영화당친림사선도.jpg
영화당친림사선도(暎花堂親臨賜膳圖)

파일:모화관친림시재도.jpg
모화관친림시재도(慕華館親臨試才圖)

파일:연융대사연도.jpg
연융대사연도(鍊戎臺賜宴圖)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

1. 개요

濬川試射閱武圖. 조선 영조 36년인 1760년에 왕의 명으로 청계천 준천(濬川)을 완성한 후 그 과정과 포상 행사를 그림으로 남긴 4첩의 채색 기록화. 현재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2. 내용

1760년 2월 23일 영조의 명으로 청계천 홍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정비 사업을 시작하여 4월 15일에 공사를 완성한 후 이를 그린 기록화이다. 수문상친림관역도(水門上親臨觀役圖), 영화당친림사선도(暎花堂親臨賜膳圖), 모화관친림시재도(慕華館親臨試才圖), 연융대사연도(鍊戎臺賜宴圖)로 이루어져 있다.

당시 청계천은 서울로 밀려드는 백성들이 늘어나면서 이들이 배출하는 폐기물이 청계천으로 몰리고 백성들이 근처에 있는 나무들을 베어가면서 청계천 내부에 흙들이 계속 쌓이는 등 여러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다 큰 비라도 내린다면 서울 전 지역에 큰 홍수 피해를 일어날 것이 확실하였기에 국가에서 청계천 공사를 하기로 결심한 것이다.

이전까지 청계천은 매년 조금만 가 와도 주변이 물바다가 되기 일쑤였으나 이때 꾸불꾸불하던 하천을 직선화할 정도로 조직화되고 전문화된 공사를 하였다. 승정원일기에는 이후 100여년 간은 홍수 피해가 없을 것 같다는 구절이 있고, 실제로도 이후 청계천은 홍수 피해가 거의 없다.

이 공사 당시 도성의 방민(坊民), 시전상인, 지방의 자원군(自願軍), 승군, 모군(募軍) 등 백성 약 21만 5천여 명을 동원하여 57일간 공사를 진행하였고, 공사에 참여한 인원들에게 품삯을 지급했다.

당시 준천사의 사업 내용을 모두 기록한 준천사실(濬川事實)과 함께 1760년 청계천 공사 과정을 연구하는 데 중요하게 사용된다.

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