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8 10:44:04

졸업(동음이의어)

1. 학교 용어2. 아이돌 용어
2.1. 졸업 시스템이 있는 대표적인 그룹
3. 게임 용어
3.1. DJMAX TECHNIKA에서의 졸업
3.1.1. 각 디스크셋들의 졸업 코스
4. 드라마

1. 학교 용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졸업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아이돌 용어

일본 아이돌, 주로 여성 아이돌 그룹에서 멤버가 그룹을 떠나는 것을 의미한다. 주로 그룹 멤버로서 역할을 다 했거나 아이돌로서 활동하기에 적절한 나이를 지났거나 개인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기 위해 졸업을 한다. 일본의 일반적인 아이돌 콘셉트가 덜 자람, 미숙함인데 이것이 사라진 다 큰 아이돌은 수명을 다한 것이므로 새 갈길을 찾으라는 의미에서 졸업을 시키는 것이다. 졸업을 한 후에는 솔로 가수, 배우, 방송인, 아나운서 등 각자의 진로로 나가거나 연예계를 은퇴한다.

졸업이라는 단어의 어감처럼 탈퇴나 방출보다는 '이 그룹에서 할 몫을 다 하고 새로운 길로 나아간다'는 '발전적 형태의 이탈'이라는 의미로 사용한다. 졸업 자체는 해당 멤버의 자의에 따른 것으로 발표해 팬들의 반감을 줄이는 기능도 한다. 좋지 않은 이유로 방출당하는 경우 졸업하는 것이 아니라 탈퇴/사퇴하거나 해고당한다고 표현한다.

일본에서는 1980년대 말 오냥코클럽이 졸업 시스템으로 큰 재미를 본 적이 있다. TV 버라이어티 '유우야케 냥냥'을 통해 일반인들 여학생들을 뽑아 아이돌 그룹으로 데뷔시킨 후 인기를 얻으면 연예 기획사에 들어가고 더 나아가서는 그룹을 졸업하여 본격적으로 솔로 활동을 시작하는 것이다. 그룹 활동 자체는 3년 정도에 그쳤지만 고쿠쇼 사유리, 닛타 에리, 쿠도 시즈카, 조노우치 사나에 등 인기 멤버를 낳았으며 이들은 여전히 연예계에서 활동한다.

오냥코클럽 이후 모닝구 무스메, AKB48이 비슷한 방식으로 졸업 시스템을 도입했다. 모닝구 무스메의 경우 초기 주축 멤버들이 지나치게 빨리 졸업하면서 하락세가 가속화되었고 반대로 AKB48은 졸업하는 멤버가 너무 적어 로테이션 제도가 작동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주의할 것은 모든 일본 아이돌 그룹에서 멤버의 탈퇴가 긍정적으로 작용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초기부터 로테이션 그룹임을 전제로 깔지 않는 이상 갑작스런 멤버의 졸업은 부정적인 여파를 남긴다. 도로시 리틀 해피라는 그룹은 음악적으로 호평을 받았으며 소소하게 팬덤도 있었으나 멤버 5명 중 3명이 졸업하여 새로운 그룹 '콜미'를 결성한다는 발표가 나온 이후 팬덤이 급격히 와해되었다.

졸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 그룹도 많다. 특히 남성 아이돌 그룹은 졸업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남성 아이돌은 팬덤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은 데다 나이가 들어도 꾸준히 그룹 활동을 할 수 있기 때문에 굳이 떠날 필요가 없다. EXILE은 부분적으로 로테이션제가 도입되었지만, 졸업이 아닌 은퇴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수많은 아이돌 그룹이 졸업 제도를 사용하지만 모든 그룹이 졸업을 필수로 하는건 아니다.

한국에서는 SUPER JUNIOR가 초기에 로테이션제를 도입하려 하였으나 팬들의 반발로 지켜줄게 열세명이 되었다. 이후 애프터스쿨이 이 입학/졸업 체계를 채용했는데 초반에는 잘 돌아갔으나 이후 체계가 삐걱거리며 그룹 자체의 대중성이 떨어지면서 결과적으로는 성공하지 못했다.

하로프로는 2010년대 접어들면서 졸업 시스템을 여러 그룹에 접목시키는 중이다. 스마이레이지는 원년 멤버의 탈퇴 이후 2기를 뽑으면서 로테이션 그룹으로 바뀌었고 컨트리 걸즈 또한 2기 멤버를 뽑으면서 기수제를 적용시켰다.

이에 영향을 받아 일본 버츄얼 유튜버 업계에서도 기업 기반으로 프로듀싱하는 버튜버 그룹에서 소속 멤버가 나갈 경우 졸업이라고 표현하게 되었다. 특히 아이돌 노선을 표방하는 홀로라이브가 대표적인 케이스.

2.1. 졸업 시스템이 있는 대표적인 그룹

3. 게임 용어

여러 번 돌아야 하는 던전이나 스테이지를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업적이나 아이템 등을 다 얻어서 더 이상 들어갈 필요가 없는 상태가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온라인 게임에서 티어 아이템, 세트 아이템을 모두 갖추거나 구할 수 있는 최고급 아이템 수집을 완료한 상태를 가리키는 말이기도 하다.

3.1. DJMAX TECHNIKA에서의 졸업

DJMAX TECHNIKA의 모드 중 하나인 Technical Mixing에서, 특정 디스크셋을 스코어 어택 코스로 전곡을 올콤보(또는 퍼펙트 플레이)를 할 때 이 단어를 사용한다.

그 디스크셋을 마스터한다는 일종의 통과의례인데, EZ2DJ마의 기록과 좀 비슷한 부류라고 할 수 있다.

주로 졸업이라는 말을 사용하는 디스크셋은 아래의 6개 디스크셋이다.

First Step
Cotton Candy
Electro EP
Core Sound
Specialist set[1]
SpecialistⅡset[2]

모 유저의 "이것이 퍼텝 졸업입니다. 도전하시겠습니까?"라는 대사의, 주체할 수 없는 병맛에 이끌려 테크니카계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고 한다.

그외 Randomizer는 곡이 무작위로 나오기 때문에, Heartbeat, Customizer, Challenger, Conqueror는 굴리기를 사용해야 한다는 특이성 때문에 졸업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는다.

3.1.1. 각 디스크셋들의 졸업 코스

※1~3스테이지 곡들의 순서는 어떻게 배치하든 관계없다.

First Step
I want You - Ladymade Star - In My Heart
총 MAX 수치 95% 이상으로 Lover 소환

Cotton Candy
Motion - Here in the Moment - Miles
총 MAX 수치 95% 이상으로 The Night Stage 소환

Electro EP
Cherokee - SuperSonic - Freedom
총 MAX 수치 95% 이상으로 Electronics 소환

Core Sound
Landscape - Para Q - Flea
총 MAX 수치 95% 이상으로 내게로 와 소환

Specialist
SuperSonic - Oblivion - HEXAD
총 MAX 수치 95% 이상으로 SON OF SUN 소환

SpecialistⅡ set
White Blue - Cherokee - Y
총 MAX 수치 98% 이상으로 Cypher Gate 소환

4. 드라마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졸업(드라마)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 추장 SP가 있어서 그런지 한동안 전곡 올콤한 사람이 없었으나 2010년 1월 3일 졸업자가 나왔다.[2] Cypher Gate SP 퍼펙은 있지만 아직 졸업자는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32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