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3-20 08:24:57

조인철(유도)

<colbgcolor=#131230><colcolor=#ffffff> 조인철
趙麟徹 | Cho In-chul
파일:조인철.jpg
출생 1976년 3월 4일 ([age(1976-03-04)]세)
충청북도 청주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현직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유도경기지도학과 교수
학력 교동초등학교(충북) (졸업)
대성중학교(충북) (졸업)
청석고등학교 (졸업)
용인대학교 무도대학 (유도학 / 학사)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체육교육학 / 석사)[1]
명지대학교 대학원 (체육학 / 박사)[2]
종목 유도
체급 -81kg
신체 180cm, 81kg

1. 개요2. 선수 경력3. 수상 기록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유도 선수이며 현재는 용인대학교 유도경기지도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2. 선수 경력

1996 애틀랜타 올림픽 국가대표 선발전 -78kg급 경기에서 이 체급 세계 최강자로 군림했던 윤동식을 꺾고 선발되어 한국 유도의 신성으로 떠올랐다. 올림픽에서 동메달을 받은 조인철은 이듬해 열린 1997 파리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여 올림픽의 아쉬움을 달랬다.

이후 1998년부터 체급 조정으로 -81kg급으로 체급을 올린 조인철은 이 해 1998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금메달을 획득하여 건재를 과시했지만 이듬해 열린 1999 버밍엄 세계선수권에서 동메달로 만족했다.[3] 애틀랜타 올림픽 당시와 비하면 크게 세대교체가 이루어진 2000 시드니 올림픽에도 출전했지만 결승에서 일본의 타키모토 마코토에게 패해 은메달을 받았다. 2001 뮌헨 세계선수권 금메달을 마지막으로 선수 커리어를 마감했다.

3. 수상 기록

올림픽
은메달 2000 시드니 -81kg
동메달 1996 애틀랜타 -78kg
세계선수권
금메달 1997 파리 -78kg
동메달 1999 버밍엄 -81kg
금메달 2001 뮌헨 -81kg
아시아선수권
금메달 1995 뉴델리 -86kg
동메달 1996 호치민 -86kg
아시안게임
금메달 1998 방콕 -81kg
동아시안게임
금메달 1997 부산 -78kg
동메달 2001 오사카 -81kg


[1] 석사 학위 논문: 우수·비우수 투기종목 집단 선수들의 경쟁불안에 관한 연구(2000)[2] 박사 학위 논문: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운동 시 혈중피로요소 변화와 항산화 체계에 미치는 영향(2004. 8)[3] 이 대회는 대한민국 유도가 1980년대 이후 세계선수권에서 대한항공 007편 격추 사건의 항의 차원으로 보이콧한 1983년 모스크바 대회를 제외하면 처음으로 노골드를 기록한 대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