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8-21 19:35:15

조던 파머

조던 파머의 수상 이력 / 역대 등번호
{{{#!folding ▼
파일:external/vignette2.wikia.nocookie.net/2985.gif
2009 2010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5번
티에르 브라운
(2004~2005)
조던 파머
(2006~2009)
스티브 블레이크
(2010~2014)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1번
자바리스 크리텐튼
(2007~2008)
조던 파머
(2009~2010)
조 스미스
(2010~2011)
뉴저지 네츠 등번호 2번
조쉬 분
(2006~2010)
조던 파머
(2010~2012)
조쉬 칠드레스
(2012)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등번호 1번
다리우스 모리스
(2011~2013)
조던 파머
(2013~2014)
디안젤로 러셀
(2015~2017)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등번호 1번
스티븐 잭슨
(2013~2014)
조던 파머
(2014~2015)
조던 해밀턴
(2015)
멤피스 그리즐리스 등번호 4번
크리스 존슨
(2013)
조던 파머
(2016)
웨이드 발드윈 4세
(2016~2017)
새크라멘토 킹스 등번호 20번
퀸시 밀러
(2015)
조던 파머
(2016)
해리 자일스
(2017~2020)
}}} ||
파일:LA 레이커스 조던 파머.jpg
조던 로버트 파머
Jordan Robert Farmar
생년월일 1986년 11월 30일 ([age(1986-11-30)]세)
캘리포니아 주 로스앤젤레스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이스라엘|{{{#!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이스라엘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이스라엘}}}{{{#!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출신학교 UCLA
신장 188cm (6' 2'')
체중 82kg (180 lbs)
포지션 포인트 가드
드래프트 2006 NBA 드래프트 1라운드 26순위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지명
소속 팀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06~2010)
→ 로스앤젤레스 디펜더스 (2007)
뉴저지 네츠 (2010~2012)
마카비 텔 아비브 (2011)
아나돌루 에페스 (2012~2013)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 (2013~2014)
로스앤젤레스 클리퍼스 (2014~2015)
다루사파카 (2015)
마카비 텔 아비브 (2015~2016)
멤피스 그리즐리스 (2016)
새크라멘토 킹스 (2016)

1. 개요2. 아마추어 시절3. 선수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관련 문서

1. 개요

미국의 전직 농구 선수. 한국 한정으로 농부라고 불렸다.[1] 노장들로 가득찬 레이커스에서 몇 안되는 젊은 선수로써 운동능력과 에너지를 공급해주었던 선수였다.

2. 아마추어 시절

아프리카계 미국인 아버지와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나 4살 때부터 농구를 시작했다.

버밍햄 고등학교에서 터프트 고등학교로 전학을 가 마지막 학년 때 평균 27.5점 6.5어시스트를 기록하며 모교를 첫 우승으로 이끌었다. 파머는 로스앤젤레스 타임스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했고, USA 투데이가 선정한 슈퍼 25, 퍼레이드 매거진 선정한 올아메리칸 세컨드팀 등에 뽑혔다.

그 후 UCLA로 진학해 2년차 때 NCAA 토너먼트 준준결승에서 곤자가 대학교를 상대로 종료 17초를 남기고 1점차로 추격한 상황에서 상대방의 공을 빼앗아 팀 메이트의 어시스트로 역전승을 이끈 뒤 얼리 엔트리로 NBA 드래프트에 신청하며 26순위로 자신의 고향 팀인 로스앤젤레스 레이커스에 입단했다.

3. 선수 경력

루키 시즌에는 스무시 파커의 백업 가드로 72경기에 출전하였고, 두번째 시즌부터 레이커스에 복귀한 베테랑 포인트 가드 데릭 피셔의 백업으로 뛰며 2009년과 2010년의 팀의 2연패를 이끌었다.

이후 뉴저지 네츠로 이적했으며 두번째 시즌에는 경기당 평균 10.4점을 기록하며 46.7%의 야투 성공률로 커리어 하이를 기록했다.

4. 플레이 스타일

운동능력이 뛰어나고 용감한 돌격형 가드. 작은 키임에도 덩크를 찍어대는 상당한 운동능력이 장점이었다. 반면 생각없이 막 들이대는 무모함으로 인해 베테랑의 도움과 제어가 반드시 필요했으며, 그 무모함엔 레이커스 팬들이 질렸을 정도였다(...). 외곽슛도 좋지 못했고 수비도 그렇게 뛰어나지 못했으며 오프볼 무브도 BQ도 부족해 필 잭슨 감독의 트라이앵글 오펜스와는 담 쌓은 선수였으나, 벤치에서 섀넌 브라운 등과 함께 코트에 넘치는 에너지를 공급해주던 선수였다.

5. 여담

미국드라마 넘버스에 본인 역할로 특별출연을 한 적이 2번 있다. 첫 출연에서는 각각 수학자와 천체물리학자인 주인공들이 대학 농구팀 감독을 맡아서 수학에 기반한 전략을 바탕으로 팀에게 오랜만의 첫 승리를 안겨주려고 하지만 실제로는 영혼까지 털리는 상황이 연출된다. 그러자 그 교수들 중 한 명이 조교랍시고 데려온 게 바로 조던 파머, 그리고 당시 그와 레이커스에서 한솥밥을 먹던 파우 가솔이다. 그 교수가 수도원에서 살고 있을 때 필 잭슨 감독이 선수들로하여금 수도원 생활을 시켰을 때 인연이 닿았다고 하며, 출전에 대한 대가로 무려 우주선 탑승을 약속받았다. 물론 이 둘은 키가 큰 농구선수들인지라 우주선 탑승자에게 걸리는 신장 제한을 아득히 넘어버리고, 기본 훈련을 겪지 않고는 함부로 우주에 보낼 수 없다는 문제도 있다. 어쨌든 이 둘의 말도 안 되는 활약으로 수십 점 차이를 뒤집으며 주인공 팀이 승리를 가져간다. 이후 레이커스가 그 해 NBA 파이널에서 반지를 따낸 후 조던 파머만 대학으로 돌아와서 두 번째로 출연하는데, 결국 앞서 말한 신장 제한으로 인해 우주선 탑승 약속 대신 교내에 있는 우주선 시뮬레이션 장치를 이용할 기회를 제공한다.

6. 관련 문서



[1] 마침 같은 팀에서 뛰던 데릭 피셔가 어부라고 불렸기에, 둘을 합쳐 일차산업 듀오라는 이름으로 불리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