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025년 개최되는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바둑TV를 통해 생중계되며, 네이버를 통해 볼 수 있다. 바둑TV 유튜브를 통해 다시보기 가능하다. 전기 우승자(신진서)와 준우승자(김명훈), 2024년 11월 한국랭킹 기준으로 시드를 받은 기사들을 제외한 九단 기사들 가운데 랭킹 순으로 30명을 컷해서 초청하여 이번 대회를 진행한다. 또한 이번 대회부터 우승 상금 7천만원, 준우승 상금 3천만원으로 대회 상금이 증액됐다.2. 해설진
- 캐스터: 배윤진 三단, 김여원
- 해설: 최명훈 九단, 이희성 九단
- 바둑TV 유튜브에서는 박경근 六단의 해설로 대회 주요 대국의 승부처를 리뷰하는 방송을 진행한다.
- 결승 3번기에는 바둑TV 유튜브에서 '수읽녀'[1]로 윤라은 初단이 1~2국 중간광고 시간에 해설을 맡는다. 3국은 고윤서 初단이 중간 광고 시간에 해설한다.
3. 출전 선수 및 대진표
- 전기 대회 시드 - 신진서(1위, 전기 우승), 김명훈(5위, 전기 준우승)
- 시드 제외 랭킹 상위 30명[2] - 박정환(2), 변상일(3), 신민준(4), 강동윤(6), 원성진(7), 이지현(8), 설현준(9)[NEW], 김지석(10), 안성준(11), 이창석(12), 김정현(13), 한승주(14), 박민규(15)[NEW], 홍성지(17), 박영훈(19), 나현(20), 송지훈(22)[NEW], 한우진(23), 박하민(23), 박상진(26)[NEW], 박진솔(27), 최정(30), 강승민(31)[NEW], 김은지(33)[NEW], 조한승(34), 안국현(36), 이원영(39), 한상훈(40), 류민형(42)[NEW], 백홍석(44)
제2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개막식 및 대진추첨식 |
32강 대진 추첨은 2024년 12월 12일 한국기원에서 김여원 캐스터의 사회로 진행됐다. 행사에 참석한 선수들은 직접 추첨 그외 선수들은 대리 추첨으로 대진을 작성했다. 대진은 먼저 분산 배치 추첨으로 전기 우승자 신진서와 준우승자 김명훈이 그룹 분산 추첨을 진행해 김명훈이 '가', 신진서는 '나'로 배정되었다. 이어진 랭킹 상위자 분산 추첨에서는 변상일, 원성진이 직접 추첨하고 그 외 기사들은 최상인 동서식품 상무가 추첨했다. 나머지 기사들은 무작위 추첨으로 대진을 정했다. 이번 대회에 첫 출전한 설현준, 박상진, 류민형은 현장에 참석해 직접 추첨했고 그 외 선수들은 양재호 한국기원 사무총장, 한종진 프로기사회 회장, 대회 해설위원인 최명훈 九단과 이희성 九단이 대리 추첨했다.
||<table align=center><table width=100%><-10><tablebordercolor=#d2b492><tablebgcolor=#fff,#1f2023><bgcolor=#d2b492> 제2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본선 대진표 ||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32강 | 16강 | 8강 | 4강 | 결승3번기 | ||||||||||||||
김명훈 | - | <colbgcolor=#7e4b24> ➡ | 김명훈 | <colbgcolor=#7e4b24> ➡ | - | <colbgcolor=#7e4b24> ➡ | - | <colbgcolor=#7e4b24> ➡ | 이지현 (2승 1패) 우승 | ||||||||||
- | 한승주 | ➡ | - | ||||||||||||||||
강동윤 | - | ➡ | 강동윤 | ➡ | 강동윤 | ||||||||||||||
김지석 | - | ➡ | - | ||||||||||||||||
신민준 | - | ➡ | - | ➡ | - | ➡ | 이지현 | ||||||||||||
최 정 | - | ➡ | 최 정 | ||||||||||||||||
이지현 | - | ➡ | 이지현 | ➡ | 이지현 | ||||||||||||||
백홍석 | - | ➡ | - | ||||||||||||||||
신진서 | - | ➡ | 신진서 | ➡ | 신진서 | ➡ | 신진서 | ➡ | 신진서 (1승 2패) 준우승 | ||||||||||
- | 한상훈 | ➡ | - | ||||||||||||||||
박정환 | - | ➡ | 박정환 | ➡ | - | ||||||||||||||
- | 류민형 | ➡ | - | ||||||||||||||||
변상일 | - | ➡ | 변상일 | ➡ | 변상일 | ➡ | - | ||||||||||||
한우진 | - | ➡ | - | ||||||||||||||||
- | 나 현 | ➡ | - | ➡ | - | ||||||||||||||
안성준 | - | ➡ | 안성준 |
4. 대회 진행
4.1. 32강
대국 | 일정 (19시 개시)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1월 6일 | 조한승 | 최 정 | 236수 백 불계승 |
2국 | 박상진 | 한상훈 | 240수 백 불계승 | |
3국 | 2025년 1월 7일 | 신진서 | 김은지 | 201수 흑 불계승 |
4국 | 안국현 | 안성준 | 202수 백 불계승 | |
5국 | 2025년 1월 13일 | 신민준 | 박진솔 | 207수 흑 불계승 |
6국 | 이지현 | 박영훈 | 288수 흑 반집승 | |
7국 | 2025년 1월 14일 | 김정현 | 변상일 | 172수 백 불계승 |
8국 | 송지훈 | 김지석 | 172수 백 불계승 | |
9국 | 2025년 1월 20일 | 강승민 | 박정환 | 128수 백 불계승 |
10국 | 원성진 | 나 현 | 246수 백 불계승 | |
11국 | 2025년 1월 21일 | 설현준 | 한우진 | 279수 백 반집승 |
12국 | 류민형 | 홍성지 | 342수 흑 6집반승 | |
13국 | 2025년 1월 27일 | 이창석 | 김명훈 | 206수 백 불계승 |
14국 | 이원영 | 백홍석 | 200수 백 불계승 | |
15국 | 2025년 1월 28일 | 강동윤 | 박하민 | 159수 흑 불계승[10] |
16국 | 한승주 | 박민규 | 195수 흑 불계승 |
* 32강 첫 주차 대국에서는 여자랭킹 1, 2위(2025년 1월)가 나란히 출전했다. 최정은 조한승을 상대로 역전승을 거두며 상대전적 5연패를 끊고 16강에 진출했다. 반면 1월 여자랭킹 1위로 올라선 김은지는 통합랭킹 1위 신진서에게 패해 탈락했다. 대등한 싸움으로 바둑이 이어지던 중 하중앙 전투에서 바둑이 신진서에게 기울어졌다. 한상훈은 박상진을, 안성준은 안국현을 꺾고 16강에 진출했다.
* 이번 대회 새내기 입신 7명 중에서는 류민형이 유일하게 16강에 진출했다.
4.2. 16강
대국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2월 3일 | 류민형 | 박정환 | 258수 백 불계승 |
2국 | 2025년 2월 4일 | 최 정 | 신민준 | 255수 흑 불계승 |
3국 | 2025년 2월 17일 | 나 현 | 안성준 | 220수 백 불계승 |
4국 | 2025년 2월 18일 | 김명훈 | 한승주 | 115수 흑 불계승 |
5국 | 2025년 2월 24일 | 변상일 | 한우진 | 219수 흑 불계승 |
6국 | 2025년 2월 25일 | 백홍석 | 이지현 | 176수 백 불계승 |
7국 | 2025년 3월 3일 | 강동윤 | 김지석 | 298수 흑 2집반승 |
8국 | 2025년 3월 4일 | 신진서 | 한상훈 | 201수 흑 불계승 |
- 이번 대회 새내기 입신 중 유일하게 16강에 올랐던 류민형은 박정환에게 패하며 탈락을 당했다.
- LG배 대국 분쟁 여파로 전체기전 4연패에 빠졌던 변상일은 한우진에게 승리하며 전체기전 4연패에서 탈출했다.
- 최정은 신민준을 상대로 승리를 거두며 이번 대회 8강 중 유일한 홍일점이 됐다.
- 16강 마지막 경기였던 신진서와 한상훈의 대국에서는 각자 10분+추가 30초 피셔룰 대국에서 신진서가 우세 국면을 잡자 거의 노타임으로 착수하다보니 막판엔 기본시간(10분)의 세 배인 30분을 쌓아놓고 대국을 하는 진풍경을 연출했다.[11] 종국 당시 신진서의 남은 시간은 30분 20초.
4.3. 8강
대국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3월 10일 | 이지현 | 최 정 | 275수 흑 불계승 |
2국 | 2025년 3월 11일 | 신진서 | 박정환 | 137수 흑 불계승 |
3국 | 2025년 3월 17일 | 강동윤 | 김명훈 | 177수 흑 불계승 |
4국 | 2025년 3월 18일 | 안성준 | 변상일 | 192수 백 불계승 |
- 1국에서는 이지현이 역전패 위기를 몇번이나 탈출 한 끝에 준결승에 진출했다. 초반부터 이지현이 우세한 형세로 가고 있었으나 중앙 백을 패로 잡으러 갔다가 손해를 보면서 역전을 허용했다. 그러나 팻감에서 유리했던 최정이 느슨하게 패를 이어서 다시 형세가 이지현에게 넘어간 상황이었다. 이지현은 두 번째 위기를 맞았는데 상변에서 변화가 생긴 것. 그러나 이지현은 이번엔 거기서 약점을 잘 찌른 끝에 결국 항복을 받아내는데 성공했다. 이지현은 이날 승리로 최근 전체기전 17연승을 달리게 됐다.
- 한국랭킹(2025년 3월) 1위와 2위의 빅매치로 주목받았던 신진서와 박정환 두 기사의 68번째 공식대국이자 맥심커피배에서의 첫 맞대결은 신진서의 압승으로 끝이 났다. 초반 박정환이 준비된 포석으로 시작된 바둑에서 하변에서 신진서가 결정적인 묘수를 발견하면서 하변 흑돌이 살아갔고 이후 박정환의 돌들이 곤마가 되었다. 신진서는 양곤마를 몰아친 끝에 마지막엔 대마를 잡고 대국 시작 1시간 15분 만에 항복을 받아냈다. 신진서는 준결승 진출과 함께 박정환 상대 16연승, 최근 전체기전 19연승을 달리게 됐다.
- 3국은 김명훈이 우변 침투를 한 상황에서 시작된 우변과 중앙까지 이어진 전투에서 우세를 잡은 강동윤이 그 이후에는 시종일관 우위를 이어간 끝에 완승을 거두고 준결승에 진출했다. 여담으로 국후 인터뷰에서 지난 15일 바둑리그에서 신진서와의 대국[12]이 언급됐는데 설욕의 의지를 담은 인터뷰를 했다.
- 4국은 좌변 전투에서 안성준이 두 집내고 사는 상황에서 손해를 보았고 여기서 우위를 잡은 변상일에 끝까지 우세를 지키며 완승을 거뒀다. 변상일은 지난 대회에 이어 2년 연속 4강에 진출했다.
4.4. 4강
대국 | 일정 | 흑번 | 백번 | 결과 |
1국 | 2025년 3월 24일 | 신진서 | 변상일 | 173수 흑 불계승 |
2국 | 2025년 3월 25일 | 이지현 | 강동윤 | 165수 흑 불계승 |
- 준결승 첫 판은 신진서의 압승이었다. 초반부터 우위를 잡고 마지막까지 우세를 지켜내 변상일에게 항복을 받아낸 신진서는 최근 전체기전 23연승을 달리면서 3년 연속 맥심커피배 결승에 진출해 대회 3연패 도전에 나서게 됐다. 또한 지난 대회부터 시작해 맥심커피배 16연승을 달리고 있다.
- 준결승 둘째 판은 두 기사의 치열한 수읽기 대결이 펼쳐진 가운데 이지현이 중반부터 우위를 잡고 이어갔다. 강동윤이 빈삼각 묘수등으로 추격의 기회가 있었으나 놓치면서 이지현의 승리 분위기가 굳어졌고 결국 마지막엔 이지현이 강동윤의 대마를 잡으며 결승에 진출했다. 이지현은 22회 대회 이후 4년 만의 결승진출이다.
4.5. 결승
제26회 맥심커피배 입신최강전 결승 3번기 | ||||||||
신진서 | 1 | 2 | 이지현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 대국장: 한국기원 바둑TV 스튜디오(1,3국) / 경기도 가평군 마이다스 호텔&리조트(2국) | |||||||
대국 | 일정[13] | 흑번 | 백번 | 결과 | ||||
1국 | 2025년 3월 31일 | 신진서 | 이지현 | 94수 백 불계승 | ||||
2국 | 2025년 4월 2일 | 이지현 | 신진서 | 164수 백 불계승 | ||||
3국 | 2025년 4월 7일 | 신진서 | 이지현 | 178수 백 불계승 | ||||
우승 | 이지현 九단 (맥심커피배 두 번째 우승 및 5년 만에 우승) | }}} |
제26회 맥심커피배 대망의 결승 3번기는 부동의 한국랭킹 1위로 다시 한 번 결승에 오른 전기 우승자 신진서와 최근 한국랭킹 5위(2025년 3월)까지 오르며 전체기전 18연승을 거뒀던 기세를 보여주는 중인 이지현이 결승에서 격돌한다. 두 기사의 첫 번기 승부이다. 상대전적은 신진서가 12승 3패로 앞서있지만 두 기사간의 최근 5판으로 좁히면 신진서 기준 3승 2패 그리고 최근 대국에서는 이지현이 승리를 거뒀다. 신진서는 6~8회 대회 3연패을 기록한 이세돌 이후 18년 만에 맥심커피배 3연패에 도전하며 이지현은 21회 대회 우승 이후 5년 만의 두 번째 우승에 도전하는 결승 3번기이다.
결승 1국은 충격적인 결과로 끝이 났다. 이지현이 대국 시작 단 1시간 5분 만에 신진서의 대마를 잡았다. 좌상귀와 좌변 젼투에서 신진서의 무리수가 나와 이지현이 격차를 벌리더니 마지막엔 신진서의 돌들이 대마 사활에 걸려버렸고 끝내는 신진서가 대국 시작 1시간이 조금 지나서 돌을 던지며 단명국이 되었다. 무려 94수 만에 끝이 났는데 패배를 당한 신진서는 자신의 프로 입단 후 처음으로 100수를 넘기지 못하고 돌을 거뒀다. 신진서는 결승 직전 열린 쏘팔배 세계대회에서 중국의 투샤오위에게 패해 전체기전 25연승이 깨진 데 이어 연패를 당하고 말았다. 또한 맥심커피배 16연승까지 끊어졌다.
가평 마이다스 호텔로 무대를 옮긴 2국은 상변 전투에서 신진서의 공격과 이지현의 타개로 바둑의 양상에 이어졌다. 여기서 우세를 잡은 신진서의 페이스로 바둑이 이어지다 좌하에서 변화가 생겼는데 여기서 이지현이 기회를 놓쳤고, 결국 신진서의 파상공세에 시간이 없었던 이지현이 무너지면서 바둑은 신진서에게 기울어졌다. 패배를 직감한 이지현이 던질 곳을 찾으면서 형세가 크게 더 벌어져 결국 마지막엔 대마를 잡는 결과로 항복을 받아낸 신진서가 승부를 최종 3국으로 끌고 갔다. 이로써 이번 맥심커피배 결승은 20회 대회 이후 6년 만에 결승 3국이 열리게 됐다.
바둑TV 스튜디오로 다시 돌아온 마지막 판은 이지현의 완승이라고 할 정도로 좋은 내용을 보여주었다. 좌상귀에서 이지현이 우위를 잡으며 시종일관 우세한 상황으로 끌고 온 가운데 신진서가 비세를 의식해 승부수를 걸었지만 잘 대처해낸 끝에 마지막엔 하변 대마를 잡는데 성공하여 항복을 받아낸 이지현이 신진서의 3연패 도전을 저지하고, 21회 대회 우승 이후 5년 만의 자신의 맥심커피배 두 번째 우승'을 달성했다.
[1] 수를 읽어주는 여자, 바둑TV 유튜브에서 중간 광고 시간을 이용해 진행된 바둑의 내용을 짧게 해설해 주는 코너이며 주로 세계 기전 중계에서 진행되었으나. 이번 맥심배에서 처음으로 국내기전 결승에도 수읽녀를 지원하게 됐다.[2] 괄호 안의 숫자는 초청 기준인 2024년 11월 한국랭킹[NEW] 대회 첫 출전[NEW] 대회 첫 출전[NEW] 대회 첫 출전[NEW] 대회 첫 출전[NEW] 대회 첫 출전[NEW] 대회 첫 출전[NEW] 첫 출전[10] 박하민의 대우세 흐름으로 가고 있었으나 상변에서 나온 대착각 하나로 바둑이 뒤집혀버리고 말았다.[11] 신진서는 24-25 바둑리그 8라운드에서 한태희를 상대로 1분+추가 10초 피셔룰에서 4~5분 정도 쌓아놓고 대국을 이어간 적이 있다.[12] 당시 그 경기에서 강동윤이 패하면서 전체기전 13연승이 끝났었다.[13] 1, 3국은 저녁 7시, 결승 2국은 오후 2시부터 시작한다. 이번 대회는 결승 2국도 생방송으로 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