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9-22 12:58:51

정해정

<nopad> 파일:정해정 프로필.jpg
<colbgcolor=#FF7210><colcolor=#fff> 이름 <colbgcolor=#fff,#1c1d1f> 정해정(丁海廷)
출생 1961년 1월 12일 ([age(1961-01-12)]세)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현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학력 부산상업고등학교 (졸업)
동아대학교 (법학 / 학사)
병역 육군 병장 소집해제
소속 정당
약력 통합민주당 부산진구 갑 지역위원장
민주당 부산진구 갑 지역위원장
민생당 부산시당위원장
새로운선택 부산광역시당위원장
링크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1. 개요2. 생애3. 주요 경력4. 선거 이력5. 소속 정당6. 둘러보기

1. 개요

대한민국의 정치인.

2. 생애

1961년 부산직할시 부산진구(부산광역시 부산진구)에서 태어났다. 광무국민학교, 개성중학교, 부산상업고등학교, 동아대학교 법학과를 졸업하였다.

부산진구에서 오래 거주하면서 정치 활동을 하고 있다. 손학규 대표 정책특보를 하면서 18대 총선에서 통합민주당 소속으로 부산진구 갑에 출마하여 13.35%의 지지를 얻으며 한나라당 허원제 후보에 밀려 3위로 낙선하였다.

5회 지선에서 야권 단일 후보가 되어 민주당 소속으로 부산진구청장에 출마하여 40.97%를 지지를 받으며 한나라당 하계열 후보에 밀려 2위로 낙선했다. 하지만 부산 지역 야권 단일 후보 중에서 유일하게 40%를 넘기며 유력한 차기 주자로 대두되었다.

이후에는 본업인 건설 사업에 집중하면서 잠시 정치를 쉬었다가 제7회 지선에서 민주평화당 소속으로 부산진구청장에 재도전하였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강세와 오랜 정치 휴식으로 인해 서은숙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

이후에는 지역 활동을 강화하면서 차기를 기약하고 있으며 당권파와 비당권파의 내홍 이후에는 민주평화당 잔류를 선언하여 부산광역시당위원장 직무대행을 맡아서 민생당 창당을 주도하여 부산광역시당위원장에 취임했다.

21대 총선에서 민생당 소속으로 부산진구갑에 출마하였으나 미래통합당 서병수 후보에 밀려 5위로 낙선하였다.[1]

민생당 부산시당위원장으로서 다른 시도당위원장들과 함께 이수봉 비상대책위원장 편에 섰던 인물이다. 2021년 재보궐선거 참패로 이수봉 비대위원장 사퇴 후 이수봉 측에서 설립한 전당대회준비위원회 위원을 역임했으나 5월 25일 전준위 회의에서 전당원 투표를 통한 당대표 선출을 주장하면서 이수봉 측과 마찰을 빚었다. 결국 정해정 등이 주장한 전당원 투표가 아닌 중앙위원회를 통한 대의원 투표로 이수봉 지도부가 출범했으나 절차상 하자로 인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등록되지 않았다.

2025년 21대 대통령선거에서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였다.

3. 주요 경력

4. 선거 이력

연도 선거 종류 선거구 소속 정당 득표수 (득표율) 당선 여부 비고
2008 제18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부산진 갑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9,052 (13.35%) 낙선 (3위)
2010 제5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부산 부산진구청장

[[민주당(2008년)|
민주당
]]
62,421 (40.97%) 낙선 (2위)
2018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1,721 (0.96%) 낙선 (5위)
202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부산 부산진 갑

431 (0.40%)
특이하게도 출마했던 당의 당색이 모두 초록색이다.

5. 소속 정당

소속 기간 비고


[[통합민주당(2008년)|
통합민주당
]]
2008 정계 입문


[[민주당(2008년)|
민주당
]]
2008~2011 당명 변경


[[민주통합당|
민주통합당
]]
2011~2013 합당[2]


[[민주당(2013년)|
민주당
]]
2013~2014 당명 변경


[[새정치민주연합|
새정치민주연합
]]
2014~2015 합당[3]

2015~2016 당명 변경


2016 탈당[4]


[[국민의당(2016년)|
국민의당
]]
2016~2018 창당


2018 탈당[5]


[[민주평화당|
민주평화당
]]
2018~2020 창당


2020~2022 합당[6]


2022 탈당[7]


2022~2023 입당


2023 탈당[8]


[[새로운선택|
새로운선택
]]
2023~2024 창당

2024~현재 합당[9]

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7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부산진구청장 동래구청장 기장군수 사하구청장 강서구청장
정해정 정상원 손현경 배명수 김진옥
수영구청장 사상구청장
김성발 이영철
}}}}}}}}}}}}


[1] 여담으로 이때 민생당 소속으로 출마했을때 당내 노선과는 전혀달리 문재인 탄핵 청구 등의 구호를 선거 공보물에 걸어놓을 정도로 보아 정치 성향 자체는 강성 우파 성향인 것으로 보인다.[2] 시민통합당과 신설 합당.[3] 새정치민주연합에 흡수 합당.[4]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5]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6] 바른미래당, 대안신당과 신설 합당.[7] 국민의힘 입당을 위한 탈당.[8] 새로운선택 창당을 위한 탈당.[9] 개혁신당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