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04 12:18:30

정책결정모형


1. 개요2. 종류3. 유형
3.1. 합리모형3.2. 만족모형3.3. 점증모형3.4. 혼합탐사모형3.5. 최적모형3.6. 쓰레기통모형3.7. 사이버네틱스모형3.8. 엘리트모형3.9. 회사모형3.10. 앨리슨모형

[clearfix]

1. 개요

/ The Policy Decision Model

정책결정모형(모델)은 정책학, 행정학의 주요 이론으로 정책이 어떠한 조건에서 어떠한 과정을 통해 어떻게 결정되는지를 각각의 모형에 따라 주장한다. 개별 이론이 아니라 학자마다 각자의 모형을 통해 정책 결정 과정을 주장한다.

이러한 정책결정모형은 각각의 정책 대안의 장, 단점을 비교, 분석, 평가하는 틀이다. 실제 현실 정책결정은 생각보다 합리적, 분석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러한 제약 조건 및 변수를 고려해 모형화 하면 다양한 문제상황에 적용 가능한 모형이 되어 다양한 의사결정 행위를 설명할 수 있다.

2. 종류

의사결정주체에 따른 분류로 개인적 의사결정모형, 집단적 의사결정모형이 있다.

3. 유형

3.1. 합리모형

3.2. 만족모형

3.3. 점증모형

3.4. 혼합탐사모형

3.5. 최적모형

3.6. 쓰레기통모형

3.7. 사이버네틱스모형

3.8. 엘리트모형

3.9. 회사모형

3.10. 앨리슨모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