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正近, 발해 유민
발해가 망한 지 3년째인 929년(태조 12) 무리 300여 명과 함께 고려로 온 인물.2. 동요 작곡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근(작곡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근(작곡가)#|]][[정근(작곡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鄭根, 1960년 생 의사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근(의사)#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근(의사)#|]][[정근(의사)#|]]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대월 후 레 왕조 찐 주의 군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찐깐(6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찐깐(6대)#|]][[찐깐(6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보이그룹 HAWW의 멤버 정근(HAWW)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근(HAWW)#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정근(HAWW)#|]][[정근(HAWW)#|]]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精勤
일정한 기간 동안 부지런하고 정성스럽게 학업이나 근무에 임했다는 뜻으로, 이러한 사람에게 주는 상을 정근상이라고 한다.초중고의 출석에 있어서 정근은 보통 1~2회 정도 지각, 결석, 조퇴를 한 경우[1]를 뜻하며, 보통 3년 정근상을 준다.
[1] 결석 3일 미만(지각, 조퇴, 결과를 합산하여 3회를 결석 1회로 간주)을 정근으로 보기도 한다. 즉 결석이 없다면 지각, 조퇴, 결과를 합산하여 8회까지 정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