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고3
1.1. 3월 학력평가 (2011. 3. 10)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언어 | 86 | 78 | 70 |
수리 가형 | 69 | 56 | 45 |
수리 나형 | 59 | 47 | 37 |
외국어 | 92 | 81 | 69 |
고등학교 3학년을 대상으로 치러진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는 전년도 불수능 기조를 이어가서 그런지 헬게이트 그 자체였다.* 언어 영역의 경우 매우 어려운 지문은 없었으나 전체적으로 수준이 높았다. 특히 물리학과 생명과학을 융합한 지문은 문과생에게 다소 난해하였을 것으로 보인다. 작년 수능의 언어영역과 수준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다.* 수리 영역(가형)의 경우 작년 수능과 마찬가지로 매우 어렵게 출제되었다. 역대 전국연합학력평가 수학 시험 중에서는 가장 어려웠다고 봐도 무방하다. 12번 문항에 무리방정식의 해의 개수를 구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는데, 3점 문항임에도 불구하고 수준이 매우 높아 정답률 23%를 기록하였다. 지수로그함수 실생활을 ㄱㄴㄷ으로 내는 등, 매우 까다로웠으며, 20번 문항의 경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어렵지 않았으나 계산이 상당히 지저분하여 정답률이 상당히 낮았다. 주관식은 24번부터 모든 문제의 실제 정답률이 E, 20%를 넘기지 못했다. 29번 나형과 공통인 그래프 문항은 이 시험에서 최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 경로의 경우의 수를 모두 헤아려야 했고, 몇 가지를 찾지 못해 오답을 찍었기에 정답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실제 정답률이 1% 미만이라는 얘기가 있을 정도. 거기에 시험지도 12장이 아닌 8장으로 나와서 여백이 매우 빡빡했다.* 수리 영역(나형)의 경우 역대 최고난도로 출제되어 1등급 컷 59점을 기록하였다. 이는 2005학년도부터 2023학년도까지의 모든 고3 교육청 및 평가원 주관 모의고사의 수리영역 1등급 커트에서 가장 낮은 커트라인이다. 만점자 표준점수 또한 196점에 달하며, 단 8명만이 만점을 받았다. 12번까지는 평이하고 비교적 쉬운 문항으로 출제되었으나, 13번부터 21번까지 매우 빡빡한 구성으로 인해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정답률을 기록하였다.*외국어영역의 경우 앞의 시험들보다는 무난했으나 결코 쉬운 시험은 아니었다. 1등급에서 3등급컷 사이의 간격이 매우 넓은 것으로 보아 중상위권에게는 상당히 어려웠음을 알 수 있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경제 | 41 | 35 | 27 | 경제지리 | 45 | 42 | 37 | 국사 | 42 | 33 | 22 |
법과 사회 | 37 | 30 | 24 | 사회문화 | 41 | 36 | 32 | 세계사 | 44 | 39 | 31 |
세계지리 | 45 | 40 | 34 | 윤리 | 41 | 36 | 29 | 정치 | 41 | 37 | 33 |
한국지리 | 45 | 40 | 35 | 한국근현대사 | 34 | 27 | 21 |
- 사회탐구 과목의 경우 전체적으로 어렵게 출제되었다. 특히 법과 사회, 한국근현대사가 어렵게 출제되었는데, 한국근현대사의 경우 1등급컷이 난이도에 비해 낮다는 의견이 많다.[1]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물리 I | 42 | 34 | 26 | 화학 I | 38 | 30 | 23 |
생물 I | 40 | 35 | 29 | 지구과학 I | 41 | 35 | 29 |
- 과학탐구 과목의 경우 전체적으로 어렵게 출제되었다. 특히 화학 I의 경우 1~2페이지까지는 무난했으나 3~4페이지가 매우 난해하게 출제되어 등급컷이 낮게 형성되었다.
1.2. 4월 학력평가 (2011. 4. 12)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언어 | 94 | 88 | 80 |
수리 가형 | 82 | 70 | 57 |
수리 나형 | 72 | 60 | 47 |
외국어 | 94 | 85 | 72 |
2011년 4월에 치러진 전국연합학력평가는 3월보다 쉽게 출제되었다.* 언어 영역의 경우 3월과는 달리 평이한 난이도로 출제되었다. 상당수의 문제가 내용 일치만으로도 해결되었고, 시간을 소모하게 하는 지문도 없었다. 만점 표준점수는 135점, 만점자 비율은 0.4%이다.* 수리 영역(가형)의 경우 3월보다는 쉬웠으나 여전히 어려웠다. ㄱㄴㄷ문제(8번, 11번)에서 특히 정답률이 낮았다. 행렬 문제인 11번에서 ㄷ에서 단체로 낚시에 걸리고 정답마저 1번인 바람에 정답률이 28%를 기록하였다. 까다로웠던 객관식 문제들에 비해 주관식은 평이했다. 30번 문항의 경우 구간을 나눠 정적분을 계산한 후 실근을 도출해 내면 답이 쉽게 나온다. 오히려 수학I 파트인 27, 29번이 더 까다로웠다.* 수리 영역(나형)의 경우 3월보다는 대폭 하향된 난이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나형 표본의 수준을 고려하더라도, 상당히 어렵게 출제되었다.* 외국어 영역의 경우 3월보다 약간 쉬웠다. 1등급컷~3등급컷이 소폭 상향 조정되었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경제 | 47 | 41 | 34 | 경제지리 | 40 | 34 | 28 | 국사 | 47 | 40 | 28 |
법과 사회 | 40 | 33 | 25 | 사회문화 | 46 | 42 | 37 | 세계사 | 42 | 35 | 26 |
세계지리 | 40 | 34 | 28 | 윤리 | 42 | 37 | 30 | 정치 | 42 | 37 | 32 |
한국지리 | 41 | 34 | 29 | 한국근현대사 | 47 | 45 | 38 |
- 사회탐구 과목의 경우 난이도가 양 극단을 오갔다. 쉽게 출제된 과목은 매우 쉽게, 어렵게 출제된 과목은 매우 어렵게 출제되었다. 지리 교과목의 경우 어렵게, 역사 교과목의 경우 1등급 컷 47점을 기록할 정도로 쉽게 출제되었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물리 I | 43 | 35 | 26 | 물리 II | 44 | 36 | 27 |
화학 I | 43 | 36 | 30 | 화학 II | 40 | 32 | 24 |
생물 I | 43 | 37 | 30 | 생물 II | 40 | 35 | 30 |
지구과학 I | 41 | 37 | 32 | 지구과학 II | 41 | 33 | 25 |
- 과학탐구 과목의 경우 중상 수준의 난이도로 출제되었다. 1등급 컷이 40~44점으로 비교적 고른 것으로 보아 난이도 조절이 잘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지구과학 교과목이 상당히 어렵게 출제된 것을 제외하면 별다른 특이점은 없다.
1.3. 7월 학력평가 (2011. 7. 13)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언어 | 95 | 91 | 84 |
수리 가형 | 84 | 74 | 63 |
수리 나형 | 67 | 51 | 36 |
외국어 | 91 | 81 | 67 |
2011년 7월에 치러진 전국연합학력평가를 요약하자면 "언어 쉽고, 수리 외국어 어렵고"가 되겠다.* 언어 영역의 경우 4월 학력평가보다 쉽게 출제되었다. 소재는 하르트만의 층 이론, 알레로파시, 주식거래였는데, 대부분이 내용 일치로 풀렸고 <보기> 문제마저도 간단한 추론으로 해결되었다.* 수리 영역(가형)의 경우 6월 모의평가가 12페이지로 출제되었던 것과 달리 7월에는 8페이지로 출제되었다. 학생들은 6월 모의평가에 비해 난이도가 매우 어려워 당황했을 것이다.[2] 객관식 문항은 적당히 어려웠으나 주관식 28번~30번이 매우 어려웠다.
* 28번은 순열과 조합 단원에서 출제했는데, 대칭수라는 신선한 소재를 활용한 문제였다.
* 29번은 정십오각형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규칙에 따라 수를 도출해내는 문제였다.
* 30번은 쌍곡선을 활용하여 정사각형 내부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는 문제였다.* 수리 영역(나형)의 경우 난이도가 3월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그 쉬웠던 6월 모의평가 수준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웠다. 특히 30번은 다항함수의 적분에서 나왔는데, 정적분할 부분의 넓이를 어떻게 쪼개느냐가 관건이었다.* 외국어 영역의 경우 4월보다 약간 어려운 수준으로 출제되었다. 다만 현역만 응시한다는 점, 기말고사 기간과 시험이 겹친다는 점 때문에 등급컷은 낮게 형성되었다.
* 28번은 순열과 조합 단원에서 출제했는데, 대칭수라는 신선한 소재를 활용한 문제였다.
* 29번은 정십오각형에서 규칙성을 발견하고 규칙에 따라 수를 도출해내는 문제였다.
* 30번은 쌍곡선을 활용하여 정사각형 내부 회전체의 부피를 구하는 문제였다.* 수리 영역(나형)의 경우 난이도가 3월 수준으로 회귀하였다. 그 쉬웠던 6월 모의평가 수준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어려웠다. 특히 30번은 다항함수의 적분에서 나왔는데, 정적분할 부분의 넓이를 어떻게 쪼개느냐가 관건이었다.* 외국어 영역의 경우 4월보다 약간 어려운 수준으로 출제되었다. 다만 현역만 응시한다는 점, 기말고사 기간과 시험이 겹친다는 점 때문에 등급컷은 낮게 형성되었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경제 | 47 | 41 | 31 | 경제지리 | 44 | 38 | 32 | 국사 | 48 | 43 | 33 |
법과 사회 | 38 | 33 | 27 | 사회문화 | 47 | 44 | 39 | 세계사 | 46 | 41 | 34 |
세계지리 | 45 | 41 | 35 | 윤리 | 48 | 45 | 38 | 정치 | 37 | 31 | 26 |
한국지리 | 41 | 34 | 29 | 한국근현대사 | 47 | 42 | 36 |
- 사회탐구 과목의 경우 대체로 쉽게 출제되었다. 다만 법과 사회, 정치는 약간 어렵게 출제되었다. 이정도 등급컷이 나올 만큼 어려운 시험은 아니었으나 현역만 응시한다는 점, 기말고사 기간과 시험이 겹친다는 점 때문에 등급컷은 낮게 형성된 것으로 보인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물리 I | 42 | 35 | 26 | 물리 II | 38 | 29 | 21 |
화학 I | 40 | 34 | 28 | 화학 II | 42 | 37 | 30 |
생물 I | 42 | 37 | 31 | 생물 II | 42 | 35 | 26 |
지구과학 I | 45 | 41 | 34 | 지구과학 II | 40 | 33 | 26 |
- 과학탐구 과목의 경우 중상 수준의 난이도로 출제되었다.
1.4. 10월 학력평가 (2011. 10. 12)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언어 | 95 | 90 | 85 |
수리 가형 | 96 | 88 | 79 |
수리 나형 | 87 | 70 | 51 |
외국어 | 90 | 80 | 68 |
2011년 10월 학력평가는 당해 시행된 6월 모의평가 기조를 충실히 반영하여 전반적으로 쉽게 출제되었다.
* 언어 영역의 경우 9월 모의평가 수준으로 쉽게 출제되었다.
* 수리 영역(가형)의 경우 3,4,7월이 8페이지인것과는 달리 6, 9월 모의평가처럼 12페이지로 늘어났다.(나형도 동일) 까다로웠던 문제가 거의 없었다.
* 수리 영역(나형)의 경우 9월 모의평가 수준으로 매우 쉽게 출제되었다. 2011년 10월 나형 30번 문제는 등차수열 문제로 2012년 10월 나형 30번 다음으로 쉬운 30번이었다. 킬러 문제가 단 한 문제도 없었기 때문에 1등급 컷은 87점으로, 교육청 나형 등급컷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
* 외국어 영역의 경우 쉬웠던 언어, 수리 영역과 달리 높은 수준을 보였다.
* 언어 영역의 경우 9월 모의평가 수준으로 쉽게 출제되었다.
* 수리 영역(가형)의 경우 3,4,7월이 8페이지인것과는 달리 6, 9월 모의평가처럼 12페이지로 늘어났다.(나형도 동일) 까다로웠던 문제가 거의 없었다.
* 수리 영역(나형)의 경우 9월 모의평가 수준으로 매우 쉽게 출제되었다. 2011년 10월 나형 30번 문제는 등차수열 문제로 2012년 10월 나형 30번 다음으로 쉬운 30번이었다. 킬러 문제가 단 한 문제도 없었기 때문에 1등급 컷은 87점으로, 교육청 나형 등급컷 중에서는 높은 편이다.
* 외국어 영역의 경우 쉬웠던 언어, 수리 영역과 달리 높은 수준을 보였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경제 | 43 | 38 | 31 | 경제지리 | 44 | 39 | 32 | 국사 | 48 | 44 | 34 |
법과 사회 | 43 | 37 | 28 | 사회문화 | 44 | 40 | 36 | 세계사 | 47 | 41 | 32 |
세계지리 | 50 | 47 | 42 | 윤리 | 50 | 45 | 41 | 정치 | 45 | 41 | 36 |
한국지리 | 47 | 45 | 41 | 한국근현대사 | 44 | 40 | 33 |
- 사회탐구 과목의 경우 대체로 쉽게 출제되었다. 윤리, 세계지리는 수능 때 출제되었다면 2등급 블랭크가 뜰 난이도였다.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물리 I | 45 | 40 | 32 | 물리 II | 45 | 37 | 26 |
화학 I | 47 | 43 | 36 | 화학 II | 47 | 40 | 34 |
생물 I | 43 | 37 | 31 | 생물 II | 45 | 39 | 32 |
지구과학 I | 48 | 47 | 42 | 지구과학 II | 47 | 42 | 34 |
- 과학탐구 과목의 경우 대체로 쉽게 출제되었다. 만점자 1% 정책에 맞춰 과목의 난이도를 조절한 것으로 보인다.
2. 고2
2.1. 3월 학력평가 (2011. 3. 10)
<rowcolor=#000,#ddd> 과목 | 1등급컷 | 2등급컷 | 3등급컷 |
언어 | 83 | 76 | 68 |
수리 가형 | 77 | 62 | 46 |
수리 나형 | 54 | 39 | 30 |
외국어 | 87 | 74 | 60 |
고등학교 3학년과 마찬가지로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는 전년도 불수능 기조를 이어가서 그런지 헬게이트 그 자체였다.
* 언어 영역의 경우 평균 52.2점, 표준편차 18.8점으로 매우 어렵게 출제되었다. 1등급 커트라인은 83점.* 수리 영역의 경우 역대 고2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 수학 시험 중에서는 가장 어려웠다. 과탐 선택자 기준 1등급 커트라인은 77점이었으며, 사탐 선택자 기준 평균 23.3점, 표준편차 13.5점이었고, 1등급 커트라인은 무려 54점으로 전년도 6월 나형 1컷 최저치(55점)를 단 1점 차로 제치고 전국연합학력평가 역사상 역대 최저점수를 기록했다. 원점수 100점 표준점수는 무려 214점으로, 성적표 상으로는 200점으로 나오기 때문에 100점 학생 수를 추정할 수 없다. 고2 3월 전국연합학력평가는 문제지가 같으므로 통합 표본 환산이 가능한데, 원점수 만점 표준점수가 192점이 나온다.
*외국어영역의 경우 전년도 고2 6월 전국연합 수준으로 출제, 만점자 표준점수가 154점에 달한다. 평균 45점, 표준편차 20.3점. 1등급 커트라인은 전년도 6월과 같은 87점이다.
[1] 2014학년도 6월 한국사나 동아시아사가 난이도에 비해 컷이 낮은 이유와 비슷하다. 재수생들의 영향력이 없거나 미미하며, 아직 공부가 덜 된 수험생들이 많기 때문이다.[2] 7월 학력평가는 6월 모의평가가 시행되기 전에 만든다. 10월 학력평가는 6월~9월 사이에 제작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