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유희왕의 일반 함정 카드.2. 설명
2.1. 원작
| 한글판 명칭 | 적습경보-옐로얼러트 (비공식 번역명) |
| 일어판 명칭 | [ruby(敵襲警報, ruby=てきしゅうけいほう)]-イエローアラート- |
| 영어판 명칭 | Intruder Alarm - Yellow Alert |
| 일반 함정 | |
| 상대 플레이어가 공격을 선언했을 때, 발동. 패에서 몬스터 1마리를 특수 소환한다. 배틀 페이즈 종료 후에 패로 되돌린다. | |
유희왕 R 1권에서 커크 딕슨이 어둠의 유우기와의 듀얼 중 사용. 블랙 매지션 걸이 공격을 선언하자 발동하여 패에서 파워드캐터필러를 특수 소환해 역공을 노렸다.[1]
이후 5권에서 텐마 야코가 어둠의 유우기와의 2차전 중 사용. 저승사자 카이엔의 직접 공격시 발동하여 천사족 몬스터인 소천사 테루스를 특수 소환해 공격을 막아냈다. 사신 아바타를 꺼내서 고즈를 역공할 수도 있었지만 야코의 진짜 노림수는 테루스가 파괴되어 묘지로 보내졌을 때 특수 소환되는 테루스의 날개 토큰이었고, 이후 이들을 제물로 사신 아바타가 소환되었다.
2.2.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
[include(틀:유희왕/카드, 함정=,
한글판 명칭=적습경보-옐로얼러트,
일어판 명칭=<ruby>敵襲警報<rp>(</rp><rt>てきしゅうけいほう</rt><rp>)</rp></ruby>-イエローアラート-,
영어판 명칭=Intruder Alarm - Yellow Alert,
효과외1=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효과1=①: 상대 몬스터의 공격 선언시에 발동할 수 있다. 패에서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한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가 자신 필드에 앞면 표시로 존재하는 한\, 상대는 다른 몬스터를 공격 대상으로 선택할 수 없다. 이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는\, 배틀 페이즈 종료시에 패로 되돌아간다.)]
#!if style="margin:3px 4px; background-color: #000000; border:1px solid #FF0000; color: #FFCE00; display:inline-block; border-radius: 5px; width:90px; text-align: center"
리미트 레귤레이션
#!if OCG
[[리미트 레귤레이션/OCG|{{{#!wiki style=""
'''O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if TCG
[[리미트 레귤레이션/TCG|{{{#!wiki style=""
'''T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if KCG
[[리미트 레귤레이션/KCG|{{{#!wiki style=""
'''KCG'''}}}]][[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if 마스터듀얼
[[유희왕 마스터 듀얼/리미트 레귤레이션|{{{#!wiki style=""
'''마스터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if 듀얼링크스
[[유희왕 듀얼링크스/금지 및 제한 카드|{{{#!wiki style=""
'''듀얼링크스'''}}}]][[파일:유희왕_제한됨 1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제한됨 1}}}#!if 리모트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TCG#리모트 듀얼|{{{#!wiki style=""
'''리모트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if 러시듀얼
[[리미트 레귤레이션(유희왕 러시 듀얼)|{{{#!wiki style=""
'''러시 듀얼'''}}}]][[파일:유희왕_ 아이콘.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if 제네시스
[[제네시스 룰|{{{#!wiki style=""
'''제네시스 룰'''}}}]][[파일:유희왕_TCG_Genesys_아이콘_mini.png|width=24]] {{{#!wiki style="padding-left: 2px; display:inline-block;"
점}}}컬렉션 팩 2020에서 OCG화되었다. 원작과 유사하게 OCG화되었지만, 카드 명칭 제약이 생긴 대신 이 카드의 효과로 특수 소환한 몬스터만 공격하도록 하는 효과가 추가되어 상향되었다. 공격 억제용으로 배틀 페이더나 고철의 허수아비, 체크섬 드래곤보다 밀리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자신이 원하는 몬스터를 특수 소환할 수 있다는 점으로 차별화가 가능하다.
파워드 크로울러가 자신 필드 위에 있으면 상대는 공격 가능한 몬스터는 전부 공격해야한다.
소환한 몬스터가 패로 되돌아간다는 점을 역이용할 수 있는데, 그 중 지박신 Aslla Piscu의 궁합이 매우 강력하다. 어차피 지박신 덱에서는 필드 마법이 필수라서 미리 깔아놓았을 테니 자괴할 일도 없고, 이 카드로 Aslla Piscu를 기습 소환하면 상대는 공격을 할 수 없으며, 배틀 페이즈 종료시 최대 4000 데미지를 상대에게 줄 수 있다.
| 수록 시리즈 |
2020-06-20 | CP20-JP003 | コレクションパック 2020 |
2020-07-24 | BLAR-EN003 | BATTLES OF LEGEND: ARMAGEDDON |
2020-09-09 | CP20-KR003 | 컬렉션 팩 2020 |
[1] 작중 당시의 룰로는 배틀 스텝을 철회할 수가 없으며, 몬스터가 배틀 중에 특수 소환되었을 경우엔 그 몬스터로 대상이 변경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