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3 21:50:08

잼민이는 못 깨는 타워

잼못타에서 넘어옴
파일:Roblox 아이콘.svg

파일:잼민이는 못 깨는 타워.png

잼민이는 못 깨는 타워
surin0410
파일:1px 투명.svg

파일:Roblox 플레이 단추.svg
 파일:1px 투명.svg

제작 날짜
{{{#000 최근 업데이트 날짜
}}}
{{{#000 최대 플레이어 수
12명
}}}
{{{#000 플랫폼
#!wiki style="margin-top:2px''
[[PC|{{{#000 PC}}}]] / [[휴대 전화|{{{#000 모바일}}}]] / [[콘솔|{{{#000 콘솔}}}]]
}}}
{{{#000 장르
전체 장르
}}}
{{{#000 권장 연령
해당 없음
}}}
{{{#000 기어 허용
파일:사용 가능 장비 (X).png
}}}
SNS

1. 개요2. 특징3. 단계4. 배지5. 버그6. 문제점
6.1. 무개념 유저6.2. 저연령층 양산형 콘텐츠
6.2.1. 감성팔이 및 저작권 문제
7. 여담

[clearfix]

1. 개요

타워 이름 어그로 끄는거임...
팬 타워 만들지 마세요 카피도 하지 말아주세요[1]^.^
Roblox타워형 점프맵 게임. 약칭은 잼못타이다.

후속작으로 급식들은 못 깨는 타워가 있다. 약칭은 급못타이다.

2. 특징

2021년에 제작되어 2022년부터 선풍적인 인기를 끌기 시작한 타워형 오비로 긴 타워의 길이와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타워 단계는 색깔에 따라 나뉘며 초반부엔 난이도가 쉬우며 지름길이 많지만 후반부로 갈수록 난이도가 어려워진다. 가는 곳마다 '올 수 있음 와바ㅋ'같은 승부욕을 자극하는 메세지와 '월홉 아니에요..'등의 힌트 메세지가 다수 존재한다.

3. 단계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잼민이는 못 깨는 타워/단계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배지

5. 버그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잼민이는 못 깨는 타워/버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문제점

일단 이름부터 '잼민이는 못 깨는 타워'이기에 저연령층 유저가 정말 많이 유입된다. 게다가 저연령층 유저 사이에서 인기가 많은 점프맵 장르를 지니고 있으니 더더욱. 이 게임의 대부분의 문제점은 작품 내적인 것이 아니라 무개념 유저들에 의한 것이다.

6.1. 무개념 유저

Roblox의 거의 모든 게임이 겪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점 중 하나이기도 하다. 보통 친목질을 하거나, 욕을 하고 서로를 비하하며 싸우거나, 서로의 사적인 대화를 굳이 공개 채팅으로 말한다.[2]하지만 이러한 행동을 지적하면 '님이 채팅을 끄세요.' 또는 '우리가 대화하는데 님이 뭔 상관임?'[해결법1] 등등 적반하장식 태도를 보인다. 이외에도 상황극이나 도배 등 무개념 행위가 거의 모든 서버에서 보여진다.
지금으 로블록스 유저들이 힘을 합쳐서 물리치는 경우가 늘거나, 한 유저가 잘 말해서 없에버리거나, 제작자 또는 부제작자가 벤하거나, 신고해서 로블록스 내에서 영구 정지를 당한다거나, 그렇게 됄수 있으니, 제발 저딴거 하지 말자. 벤할수 있으며, 다른 게임에서도 마찬가지로, 어떤 게임이든지 저따구로 행동하면 영구정지까지 가니 저런 악질같은 것은 하지 말자.

6.2. 저연령층 양산형 콘텐츠

특히 이 게임이 YouTube Shorts 또는 TikTok의 저연령층 유저들의 타겟으로 정말 많이 선정된다. 보통 로블계라고 부른다. 이 게임의 평가가 극도로 안 좋은 대표적인 이유.

6.2.1. 감성팔이 및 저작권 문제

위에서 말한 이런 양산형 콘텐츠는 십중팔구 유명 아이돌의 노래를 틀고 점프맵을 하는 모습을 올려[4][5]감성팔이를 하며 인기를 얻으려는 경우가 대다수다.

그나마 멜로우처럼 이 게임을 정말 재미를 이유로 깨는 모습을 찍어 올리는 건전한 유튜버들도 있으나, 이러한 유튜버들을 시청하는 시청자도 대부분 저연령층이다. 게임 자체도 양산형 타워인데 저연령층 유튜버도 유입되어 게임 인식이 안 좋아진다.

7. 여담



[1] 하지만 이 타워가 나온 후로 ○○은 못깨는 타워 같은 제목의 타워가 많이 생겼다.[2] 전화번호나 본명, 나이 등을 공개채팅으로 밝히는 경우가 비일비재 한데, 이는 개인정보가 유출 될수도 있는 행동이다.[해결법1] 이때는 "개인채팅 만들어서 하세요. 다른 사람한테 민폐끼치잖아요"라고 말하면 "어떻게 만드는지 모름"을 50%로 말하는데,그때는 그거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자. 또한 40%는 "귀찮음" 이라고 말하는데, 이때는"님의 채팅이 남을 괴롭게 하고, 민폐 끼치고 있으니, 개인으로 만들어라."라고 말하면 됀다.[4] 夢の恋人류현준의 난간[5] 저작권을 의식한 것인지 틱톡 특유의 배속 문화 때문인지 피치업이나 배속을 거는 경우도 많다.[6] 이 점이 문제가 되는 가장 큰 이유는 유저가 그룹에 가입하여 제작자에게 직접 환불을 요청해도 무시를 한다는 것이다. 이는 현금으로 무려 유저의 10만 5천원에 달하는 돈을 먹튀한거다.